오경화(吳擎華)-對酒有感(대주유감)(술잔 앞에 감회가 일어)(술잔 들어 봄을 보내며)
對酒還憐白髮多(대주환련백발다) 술잔 앞에 많은 백발 다시금 서글픈데
年光如水不停波(연광여수부정파) 가는 세월 물과 같아 쉼 없이 흘러가네
山鳥傷春春已暮(산조상춘춘이모) 산새도 시름하지만 봄은 이미 저무니
百般啼柰落花何(백반제내낙화하) 아무리 울어본들 지는 꽃을 어이하리
*위 시는 “한시 감상 情정, 사람을 노래하다(한국고전번역원 엮음)”(풍요삼선風謠三選)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 본 것입니다.
*이정원님은 “이 시를 지은 오경화라는 인물에 대해서는 본관은 낙안(樂安), 자는 자형(子馨), 호는 경수(瓊叟)라는 정도의 정보밖에 알려진 것이 없다. 주로 중인 계층인 위항인(委巷人들의 시를 모은 『풍요삼선』이라는 시집에 시인의 이름과 시 1수를 전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신분이 중인이 아닐까 한다.
계절은 봄으로 시작되어 여름과 가을을 거쳐 겨울에 이르러 하나의 고리를 완성한다. 봄은 계절의 시작이면서 동시에 만물이 생겨나 꽃을 피우는 시절이기도 하다. 겨우내 숨죽이고 있던 풀과 나무는 싹을 틔우고 꽃망울을 터트려 화려한 모습으로 세상의 주인공이 된다. 새로운 탄생과 화려함, 그리고 더 많은 성장을 내포하고 있는 봄은 청춘(靑春)’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의 젊은 날을 비유하기도 한다.
봄의 길이는 얼마나 될까? 누가 봐도 노인인데 아직도 청춘임응ㄹ 주장하는 이들도 있고, 아직 꽃도 피우지 않은 나이에 자신의 청춘은 갔다고 시름하는 이들도 있다. 이렇듯 청춘에 대한 저마다의 기준이 다른 것을 볼 때에, 인생의 봄은 계절의 봄과는 달리 자기 자신이 만들어 갈 수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따뜻한 바람이 불고 꽃이 피는 계절이 봄이라면 푸르는 마음을 간직한 인생이 청춘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이 시에서 시인은 꽃잎 지고 녹음이 짙어가고 있는 늦봄 어느 날, 새소리 울리는 산중 어디에선가 술잔을 기울이고 있다. 겨울날의 차가운 기운이 모두 가신 햇살 좋은 자연에서 새소리를 벗하고 있으니 즐겁고 한가로워야 할 것만 같은데, 시인은 술잔 속에 깊은 서글픔을 담아 마시고 있다. 저무는 봄에 꽃잎만 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젊음도 백발로 변해가고 있음을 알기에. 시인은 산새들이 저무는 봄에 꽃이 지는 것을 마음 아파한다고 표현하고 있지만 저 새들이야 어찌 지는 꽃이 서글퍼 울겠는가?, 그저 내 마음이 서글프니 새소리도 서글프게 들리는 것이지. 계절의 봄이야 순환의 연결 고리 속에서 아무리 추운 겨울 속에서도 잉태되었다가 다시 찾아와 새로운 꽃을 피우기 마련이지만, 인생의 봄은 한 번 가면 그만이라 더더욱 시인의 마음을 시름겹게 한다.
지난 과거를 후회하지 않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 오늘 생각해 볼 때 만족스러운 어제는 며칠이나 될까?. 더구나 인생의 황혼기에 젊은 날을 돌아보는 감회는 또 어떠할까? 되돌리고 싶어도 되돌릴 수 없는 것이 시간이고 인생이라면, 웃으면서 되돌아볼 수 있는 인생을 살았다면 그래도 성공한 인생을 살았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요즘 사람들은 바쁜 일상에 봄날이 가는지 돌아볼 여유도 없고, 정신을 차리고 보면 봄뿐만 아니라 여름, 가을도 다 지나고 추운 겨울이 성큼 다가와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다면 지는 꽃잎을 보며 술 한 잔 기울일 수 있는 것도 크나큰 여유라 할 것이다. 어느 노래의 가사처럼, 살아온 날보다 살아갈 날이 짧을지도 모르는 인생의 어느 지점에서 시들어가는 꽃보다는 남은 인생을 위하여 술잔을 들어보는 것도 괜찮을 듯하다.”라고 감상평을 하셨습니다.
*오경화[吳擎華, 생몰년 미상. 자는 자형(子衡 ; 予亨), 호는 경수(瓊叟) · 경화(景化).],《화원악보(花源樂譜)》 등에 다음 3수의 시조가 전한다.
「곡구농(谷口哢) 우는소리에 낫잠깨여 이러보니, 뎍은 아들글 니르고 며늘아지(阿只)배짜는듸 어린 손자는 곳노리다, 맛초아 지어미 술 걸으며 맛보라고 하더라」 「남산(南山)에 봉(鳳)이 울고 북악(北東方)에 린이 논다, 요천순일(堯天舜日)이 아동방(我岳)에 기밝아셰라, 우리도 성주(聖主) 뫼옵고 동락승평(同樂昇平) 하리라」 「묵은 해 보내올 제 시름 한듸 전송(餞送)하세, 흰곤무 콩졀미잔치술국 안주(按酒)에 경신(庚申)을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오랄제, 이윽고 자미승(粢米僧)도라가니, 새해런가 하노라」
*年光(연광) : 1.변하는 사철의 경치(景致)., 2.사람이나 생물(生物)이 세상(世上)에 난 뒤에 살아온 햇수(-數)., 3.지나가는 날이나 달이나 해
*百般(백반) : 모든 것. 또는 여러 가지
*啼(제) : 울 제, 1.울다, 2.(새나 짐승이)울부짖다, 3. 소리내어 울다
謕(동자), 㖷(동자), 㖒(동자)
*柰(내) : 능금나무 내, 어찌 나, 1.(능금나무 내), 2.능금나무(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3. 말리(茉莉: 물푸레나뭇과의 상록 관목. 자스민
첫댓글 흘러가 버린 세월의 서글픔인가요....
지는 꽃을 막을 수 없는 삶의 안타까움인가요.....
그래도 남은 우리네 인생...멋지게 살다 가야지요~~~
네, 회장님 말씀처럼 남은 생의 시간을 유용하게 활용하는 습관을 들이면
참 좋을 듯 합니다,
회장님의 멋진 댓글에 감사드리고,
행복한 금요일과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