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성적이다” 라는 단어의 의미를 보통 부끄럼이 많다, 쑥스럼을 많이 타는 이라고 오해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 입니다. 하지만 사실 내성적인 은 성격의 여러가지 성향 중 하나를 뜻하고 부끄럼이 많고 쑥스러워하는 것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쑥스럼을 타는 사람들은 자신이 모르는 사람들과 상호작용 해야 하는 상황에 있어서 걱정을 하고 불편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내성적인 사람들은 본인의 에너지를 채우기 위해서 혼자 있는 것을 선호하지만 사회적 상황에 있어서 큰 어려움을 느끼지는 않는다라고 합니다.
내성적인 아이들은 외향적인 아이들과는 정반대의 성격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내성적인 아이들도 외향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을 수 있고 그 반대로 외향적인 아이들도 내성적 성향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다른 점은 어떤 성향이 행동에 있어서 더 우세하게 나타나는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 입니다. 우리 아이가 내성적인 성향을 가진 아이인지, 외향적인 성향을 가진 아이인지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우리 아이의 성향을 알게 되신 다면 아이를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실 것 입니다.
내성적인 아이가 보이는 특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과 시간을 보낼 때 에너지 소비가 큰 것 같다 느낍니다.
혼자 시간을 보내는 것을 즐겨 합니다.
친구의 수는 작지만 깊은 관계를 맺습니다.
많은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집중하는 것에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이 높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행동이나 상황을 관찰함으로 습득하고 배웁니다.
그렇다면 내성적인 우리 아이 어떻게 양육해야 할까요?
1. 아이가 새로운 환경이나 새로운 사람을 접할 때 천천히 다가가 주세요.
내성적인 아이들은 새로운 환경이나 새로운 사람들 주변에 둘러 쌓이게 되면 그 안에서 부담감이나 불안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가능하시다면 아이가 새로운 장소를 가서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야 하는 상황이라면 다른 분들이 오기 전에 먼저 그 장소에 도착하셔서 아이가 그 장소가 먼저 익숙해질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게 해주신다면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게 되더라도 아이가 자신의 공간에 다른 사람들을 초대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습니다.
또 하나의 방법으로는 아이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며 상황을 둘러볼 수 있도록 시간을 허락해주세요. 만약 아이가 일찍 가거나 상황을 둘러볼 시간적 여유가 없다면 아이가 마주하게 될 새로운 상황에 대해서 미리 이야기해주세요. 이야기 함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을지 상상하고 만약 그 상황이 일어난다면 어떤 기분이 들지, 새로운 친구들과 어떻게 대화를 시작 할 수 있을지 미리 대비할 수 있을 것 입니다.
2. 사회적 상황에서 아이가 큰 도전을 한 것에 대해 칭찬과 격려를 해주세요.
아이의 도전에 대해 존경의 마음을 담아서 칭찬해주세요. 아이에게 칭찬을 하실 때 다음 이야기를 하시면 좋습니다.
“어제 새로운 친구랑 이야기하는 거 봤어~ ㅇㅇ이한테 정말 너무 어려운 일이었을 텐데 그 일을 해내다니 정말 멋있다!”
3. 아이가 자신의 의견 표현을 해야할 때 확실히 할 수 있도록 가르쳐 주세요
만약 다른 친구가 아이의 장난감을 뺏으려 하는 상황에서 “하지마”, “안돼!” 라고 이야기 할 수 있도록 가르쳐 주세요. 학교에서 부당한 일을 당하거나 괴롭힘을 당한다면 괴롭히는 아이나 사람에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4. 아이의 가장 친한 친구가 적은 것에 대해 너무 큰 걱정은 하지 마세요.
내성적인 아이들은 인간관계를 맺을 때 넓게 맺기 보다는 적은 사람들과 깊은 관계를 맺는 것을 선호한다고 합니다. 내성적 아이들은 “유명세”에 큰 관심을 두지 않고 자신과 정말 친한 친구 몇 명만 두는 것을 좋아한다고 하니 아이가 친구가 많지 않은 것에 대해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괜찮으실 것 입니다.
[소장님 칼럼 및 인터뷰] >> 중앙일보 기사 ‘청소년들의 낮은 행복지수에 대한 해결방안’
[상담 후기] >> 최민우 (가명) 모 상담 후기
[온라인상담하러가기]
*참고문헌
Granneman, J. (2022). For Extroverts: 15 Ways to Be a Better Parent to Your Introverted Kid . Susan Cain. Retrieved November 24, 2022, from https://quietrev.com/15-ways-to-parent/
Wahyuni, K., Sofia, N. Z., Fadhillah, M., & Ihsan, M. T. (2022). The Differences Between Introvert and Extrovert Students on Their Speaking Performence. Education and Talent Development Center Indonesia , 1(2), 70–79.
*사진첨부: pixabay
*작성자: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안예슬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