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에 대한 소고
(일죽 안성수)
‘길’은 크게 나누어 세가지 뜻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첫쩨는 교통수단으로서의 길, 둘째는 방도를 나타내는 길, 셋째는 행위의 규범으로서의 길이 있습니다.
‘길’은 사람들이 정말 자주 쓰는 흔한 단어입니다. 나는 이상하리만큼 이 한 글자 단어가 오래 전부터 참 좋았습니다. 그 어감이 입에 착 감깁니다. 긴 세월 다정한 친구처럼 가슴속에 긴 여운을 남깁니다.
‘에움길’ 이 뜻을 모르는 사람도 있을 것 같습니다. 빙 둘러서 가는 멀고 굽은 길을 뜻합니다. 둘레를 빙 ‘둘러싸다’는 동사 ‘에우다’에서 왔습니다. 지름길은 질러가서 가까운 길이고 에움길은 에둘러가서 먼 길입니다.
‘길’은 순수 우리말입니다. 한자를 쓰기 전부터 길이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신라 향가에도 나옵니다. 길을 칭하는 말들은 대부분 우리말입니다. 그런데 길 이름에는 질러가거나 넓은 길보다 돌아가거나 좁고 험한 길에 붙은 이름이 훨씬 많습니다. 우리 인생사처럼 말입니다.
집 뒤편의 뒤안길, 마을의 좁은 골목길을 뜻하는 고샅길, 꼬불꼬불한 논두렁 위로 난 논틀길, 거칠고 잡풀이 무성한 푸서릿길. 좁고 호젓한 오솔길, 휘어진 후밋길, 낮은 산비탈 기슭에 난 자드락길, 돌이 많이 깔린 돌서더릿길이나 돌너덜길, 사람의 자취가 거의 없는 자욱길, 강가나 벼랑의 험한 벼룻길이 있습니다.
숫눈길을 아시나요? 눈이 소북이 내린 뒤 아직 아무도 지나가지 않은, 그대의 첫 발자국을 기다리는 길입니다.
‘길’이란 단어는 단어 자체만으로도 참으로 문학적이고 철학적이고 사유적입니다. ‘도로’나 ‘거리’가 주는 어감과는 완전 다릅니다.
‘길’ “단순히 사람들이 밟고 지나다니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아무리 생각해 봐도 길이 없다.”거나 “ 내 갈 길을 가야겠다.” 라는 표현에서 보듯 길은 삶에서의 방법이거나 삶 그 자체입니다.
영어‘way' 도 street' 와 달리 같은 중의적 의미를 갖습니다. 서양 사람들도 길에서 인생을 연상하는구나 싶어 신기했습니다.
불교나 유교 도교 등 동양사상에서의 공통적 도(道)라고 부르는 이념의 길입니다. 사람이 마땅히 취해야 할 심성이나 행위를 도의니 도덕이니 하여 길로써 표현합니다. 우리는 평생 길 위에 있습니다. 누군가는 헤매고, 누군가는 잘못된 길로 가고, 누구는 한 길을 묵묵히 갑니다.
오르막 길이 있으면 반드시 내리막 길도 있습니다. 탄탄대로가 있으면 막다른 골목길도 있습니다. 세상에 같은 길은 없습니다. 다만 나만의 길만 있을 뿐입니다.
미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는 명시 “가지 않은 길”에서 이렇게 술회했습니다.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다. 나는 사람들이 덜 다닌 길을 택했다. 그리고 그것이 나의 모든 것을 바꿔놓았다.” 길은 목적지에 가기 위해서도 존재하지만 떠나기 위해서도 존재합니다. ‘길을 간다.’ 라는 말보다 ‘길을 떠난다.’는 말은 왠지 낭만적이거나 애잔하거나 결연합니다. 결국 우리는 길 위에서 길을 물으며 살아가는 겁니다. 그게 입신양명의 길이거나, 고행의 길이거나, 득도의 길이거나, 산티아고 순례길이거나, 바이칼호수의 자작나무 숲길이거나, 동네 둘레길이거나...
우리네 인생이 곧 길이요 우리의 길이 삶입니다. 결국은 마이 웨이를 가는 겁니다. 지름길을 택할 것인가, 에움길로 돌아서 갈 것인가. 인생길은 결국은 속도 방향의 문제입니다. 지름길로 가면 일찍 이루겠지만 그만큼 삶에서 누락되고 생략되는 게 많을 것입니다. 에움길로 가면 늦지만 많이 볼 것입니다. 꽃구경도 하고 새소리 바람소리 물소리도 듣고 동반자와 대화도 나눌 것입니다.
사랑도 그렇지 않을까요? 모든 사랑은 차표 한 장으로 쉽게 가는 지름길이 아니고 수만 갈래의 에움길을 돌고 돌아서 이루는 것입니다. 여기 사랑의 신성함을 에움길로 묘사한 명시가 있습니다.
“너에게로 가지 않으려고 미친 듯 걸었던/
그 무수한 길도/
실은 네게로 향한 것이었다./
(중략)
나의 생애는/
모든 지름길을 돌아서/
네게로 난 단 하나의 에움길이었다.“
우리네 인생은 결국 선택의 길입니다. 지름길길이든 에움길이든 자기에게 맞는 그 길을 선택해서 바르고 올바른 길로 나아가서 행복한 길을 걷기를 희망합니다.
첫댓글
< 길에 대한 소고/ 안성수 > 일죽님의 글 잘 배독합니다.
글 중에 다시 읽게 된
"너에게로 가지 않으려고 미친 듯 걸었던/ 그 무수한 길도/ 실은 네게로 향한 것이었다./
(중략)
나의 생애는/ 모든 지름길을 돌아서/ 네게로 난 단 하나의 에움길이었다."
나희덕의 <푸른밤> 까지 만나고 갑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안성수 이사님
길에 대한 소고
.
.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희망을 꿈꾸세요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더워지는 날씨에 항상 강건하세요
두분 회장님 좋은 댓글 고맙고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시고 은혜로운 축복속에 행복하세요 사랑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