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억대 임금체불 '대유위니아'...환노위 '질타'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대규모 임금체불로 논란이 되고 있는
대유위니아그룹이 지난해 임금 117억 원을
추가 체불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실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유위니아그룹은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117억7100만 원의 임금을 추가로 체불했답니다.
하반기 추가 체불액을 포함해
2022년 4월부터 지난해까지 위니아전자,
위니아, 위니아전자매뉴팩쳐링 등
3개 계열사에서 287명의 임금 1196억6200만 원을
체불한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현재까지 대유위니아의 청산 금액은
정부의 대지급금을 포함해 320억7100만 원으로,
남은 체불액은 875억9100만 원입니다.
앞서 대유위니아는
2023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체불임금 변제 지원 계획안 ’을 제출하고
대유몽베르 CC 골프장, 성남 대유위니아타워를 매각해
변제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지키지 않고 있습니다.
골프장 매각 대금 3000억 원 중
30억원만 변제에 투입했고,
성남 대유위니아타워는 아직 팔리지 않았답니다.
지난해 7월에는 박영우 회장 일가가 소유한
선릉 대유타워가 670억 원에 팔렸지만,
체불임금 변제에는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집니다.
정부가 대유위니아를 대신해 지급한
대지급금 94억3700만 원도
사실상 돌려받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12월까지 고용노동부의
대지급금 회수율은 0.6%(6400만 원)에 불과했답니다.
김 의원은
"대유위니아에 체불임금 청산,
대지급금 변제 의지가 있기나 한 것인지 매우 우려된다"며
"정부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강구해
대유위니아 임금체불 사태를 종식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도 21일 청문회를 열고
대유위니아그룹의 임금체불 문제를
강하게 비판했답니다.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은
"일을 했는데도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하는 것은
노동자 한 사람만 죽이는 게 아니라,
가족의 생계도 사지로 모는 사회악"이라면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팔아서라도
체불된 임금을 청산해야 한다"고 말했답니다.
강득구 민주당 의원은
"대유위니아그룹 임금체불 사건은
한마디로 이야기하면 '가족 절도단'이다.
2천여 명 노동자를 상대로 '노동 사기'를 친 것"이라며
"국회와 시민사회가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전했답니다.
다만 이날 청문회에는
핵심 책임자들이 참석하지 않았답니다.
박영우 회장은 현재 진행중인 재판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불출석했습니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답니다.
박 회장을 대신해 박현철 위니아전자 전 대표,
박은진 대유에이택 부사장이 참석했는데요.
박 부사장은 박영우 대유위니아그룹 회장의 차녀이며
박 전 대표는 조카입니다.
그러나 이 두 사람도 "모른다"는 답변만 되폴이하며
책임 공방만 이어졌습니다.
참고인으로는
강용석 위니아전자 노조위원장이 참석해 성토했답니다.
강 위원장은
"체불임금은 노동자와 가족을 파탄내는
경제적 살인 행위이며 박영우 회장은
체불임금 해결 의지가 전혀 없다"며 "
2년 넘게 이어진 체불로 인해 노동자와 가족들은
생지옥 같은 생활을 연명하고 있다"고 말했답니다.
이어 "(박 회장이) 돈이 없어 임금체불을
해결할 수 없다는 말은 핑계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강 위원장은 "임금체불 문제 해결을 위해
박 회장과 그의 가족이 보유한 지분과
재산의 행방을 끝까지 추적해야 한다"며
"국회 차원의 특별기구를 통해
체불임금을 해결해 달라"고 요구했답니다.
한국노총도 지난 20일 성명을 내고
'정부와 국회는 임금체불 근절을 위한
근본대책 마련에 총력을 다하라'고 촉구했답니다.
한국노총은 "고용노동부는 매번 명절을 앞두고
임금체불 집중감독과 청산 활동을 추진한다고 말은 하지만,
매해 늘어만 가는 임금체불액과 실효성 없이
반복되는 대책은 공허할 뿐"이라며
"입으로만 노동 현장의 임금체불 제로를 외치지 말고,
하루빨리 강화된 관리·감독을 통한
임금체불 근절 사회를 실현해야 한다"고 했답니다.
이어 "2024년 사상 처음으로
체불임금이 2조 원을 넘어선 것은
대유그룹 임금체불 사태가 주요 원인이다"라며
"대유그룹의 임금체불 사태는
단순히 기업 경영의 실패를 넘어
대한민국 노동자의 기본권과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고
이들의 생계를 위태롭게 만들었다.
반드시 이번 국회청문회를 통해
임금체불 범죄자를 철저하게 추궁하고
다시는 우리 사회에서 임금체불이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하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답니다.
한국노총은 "박영우 회장은
회사 자산인 골프장과 건물 매각금액으로
수천억 원 이익이 발생했음에도
노동자의 임금체불을 변제하겠다는
국회와의 약속을 아직도 이행하지 않고 있다"며
"오히려 ‘배째라 식’ 횡포로 자신의 가족들에게
불법 증여 및 꼼수 매각을 통해 수천억 원을 착복한
악질 중의 악질 경영인이다"고 질타했답니다.
그러면서 정부와 국회에도 촉구한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
한국노총은 "지난해 국회를 통과한 ‘임금체불방지법’에 더해
▲임금채권 소멸시효 연장 ▲반의사불벌죄 조항 전면 폐지
▲국회 차원의 임금체불 대책 특별위원회 구성 등
추가적인 입법 조치를 조속히 진행하길 바란다"며
"이번 청문회를 기점으로 단순히 임금체불에 대한
책임 추궁을 넘어 우리나라 노동현장의 임금체불 문제를
근절하는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노동자의 이름으로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