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牛彈琴(대우탄금)
소(牛 : 우)를 마주 대하여 거문고를 뜯는다 함이니, 어리석은 사람을 향하여 道理(도리)를 일러도 알아듣지 못함을 비유한 말. 소에게 거문고를 들려준다, 어리석은 사람에게 道理(도리)를 가르쳐도 소용이 없다. 牛耳讀經(우이독경).
弘明集(홍명집) 理惑論(이혹론)에서는, 後漢(후한) 말기의 牟融(모융)이라는 儒學者(유학자)는 佛敎(불교)를 설명할 때 불전이 아니라 詩經(시경), 書經(서경)을 인용했다.
그러자 유학자들은 모융을 나무랬다.
그러자 모융이 이렇게 말했다.
너희는 佛典(불전)을 읽은 일이 없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너희가 잘 알고 있는 經書(경서)를 인용한 것이다.
이에 公明儀(공명의)의 고사를 들어보라.
魯(노)나라에 공명의라는 어진 사람이 소를 마주 대하여 거문고를 켜 주었다. 그런데 소는 거문고 소리는 듣지 않고 거문고도 거들떠보지도 않고 계속 풀만 먹고 있었다(對牛彈琴 : 대우탄금).
소가 못들은 것은 아니다.
淸角(청각)이라는 고상한 곡조는 소귀에는 맞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모기와 등애의 울음소리와 젖을 먹고 있는 송아지의 울음소리를 흉내 냈다.
그러자 소는 꼬리를 흔들면서 발굽 소리를 내며 걸어 다니고, 귀를 세우고 그 소리를 다소곳이 듣고 있었다.
이는 그 소리가 소의 마음에 맞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내가 너희에게 詩經(시경)을 인용하여 佛敎(불교)를 설명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 말을 들은 儒學者(유학자)들은 머리를 끄덕이며 모융이 말하는 말에 귀를 기울였다.
성완용/ 법고 창신
첫댓글 소통의 부재
각각의 의견도 ~
대우탄금
유동성을 ~
월요일
출근버스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