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커리의 효능

치커리
분류
국화과(Asteraceae, Compositae)
학명
Cichorium intybus L.
본초명
지상부_국거(菊寶), 뿌리_국거근(菊寶根)
종류
천연 향신료
활용부위
지상부, 뿌리
외국어명
cicoria〈이탈리아어〉

치커리의 효능
영양 및 좋은 점
비타민 A 효력이 있는 카로틴을 함유하고 있고 철분이 풍부
하다.
위장을 강화시켜 주며 눈이 아프고 손발이 저리고 통풍일 때
도움이 된다.
비타민 c가 풍부하며 지친 몸을 추스린다.
모발과 치커리-필수 아미노산
◈ 젊은 피부와 윤기 도는 모발을 만드는데
빠뜨릴 수 없다.
생명을 유지하는데 있어 치커리에 들어 있는 필수 아미노산은
젊은 피부와 윤기 도는 모발, 체지방. 조혈. 유즙을 만드는데
빠뜨릴 수 없다.
몸의 성장 요소 대부분은 이것에 의존하고 있다. 혈액은 리신
으로 배양되어 항체가 형성된다.
이 아미노산이 없으면 소화액의 분비와 부신기능이 정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
소화기관은 이것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기능한다.
성장 증식에 필요하고 신진대사와 동화작용을 진행시킨다.
◈ 간장 및 신장기능 강화-탈모방지
간장의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간장과 신장의 세포재생에 이 아미노산을 필요로 한다.
간장에서 독성이 있는 노폐물을 제거하고 잉여지방을 결합해서
간장을 보호한다.
또 탈모방지 작용도 한다.
◈ 호르몬 분비를 재촉
갑상선의 티록신이라는 호르몬 분비를 재촉한다.
이 호르몬은 신경 활동을 시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정신의 안정화
를 조정한다.
또 혈관의 보호에도 효과가 있다.
이 호르몬은 신경 활동을 시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정신의 안정화를
조정한다.
또 혈관의 보호에도 효과가 있다.
◈ 부족하면 성장장애와 불임증
영양성장에 필요한 아미노산으로 혈액 속에 헤모글로빈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영양, 성장에 빠뜨릴 수 없는 아미노산이다.
두뇌활동에 활력을 부여하고 근육활동의 정합, 정서 안정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안 된다. 활력을 부여하는 아미노산이
부족하면 성장장애와 불임증이 된다.
또 노폐물의 무독화와 독성 있는 결석을 여과하는 기능이 있다.
◈ 영양균형
청각의 신경세포는 이 아미노산에 의해 자극받고 양성된다.
이것들의 아미노산을 식품속의 단백질에서 섭취하지 않으면 몸의
어딘가가 이상이 나타나고 대개 아름다운 피부 만들기에 걸맞지
않는 영양균형으로 되어버리는 것이다.
◈ 간과 쓸개가 좋지 않을 때 효과적
곱슬곱슬한 상치의 일종으로써 시신경에 필요한 영양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또한 담즙분비를 촉진하는 일을 하기 때문에 간과 쓸개가 좋지
않을 때 효과적이다.
◈ 담석증과 간장 질환의 치료제
치커리 잎은 주로 샐러드에 쓰이며 쌉쌀한 맛이 나고 습포제로도
쓰여 염증을 잘 낳게 해준다.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 C가 많고 담즙 분비를 증가시켜 담석증과
간장 질환의 치료제로 쓰인다. 쓴맛을 내는 인비틴이 소화를 촉진
시키고 혈액 순환을 좋게 한다.
◈ 장내 균충개선 및 정장효과
장내 세균 중 유익한 세균으로 알려진 비피더스균(Bifidobacteriad)
과 락토바실러스(latobacillus)는 치커리섭취를 늘릴 경우 크게 그
균수가 증가한다.
또한 치커리 이눌린을 섭취하면 사람의 대장 내 메탄가스이 생성량이
거의 없어지고 젖산과 같은 유기산의 생성량의 두배정도 증가하는
사실이 보고되었다.
◈ 콜레스테롤의 흡수가 50%이상 감소
치커리 섭취하면 장 내에서 각각 콜레스테롤의 흡수가 50%이상
감소하는 뚜렷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치커리 추출물이 콜레스테롤 재흡수를 방해하고 변으로 배설
하게 함으로써 간장이나 혈액내의 총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유익한 콜레스테롤은 증가하고 유해한 콜레스테롤은 감소시키
는 바람직한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 당뇨의 예방이나 치료에 효과
포도당의 섭취에 미치는 치커리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평균
혈당농도를 나타내며 지표로 사용되는 총 당화헤모글로빈의 함량이
치커리 섭취 시에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치커리를 섭취하면 포도당 흡수를 감소시켜 당뇨의 예방이나 치료에
효과가 있다.
특히 건조 치커리가 볶음 치커리보다 혈당 감소 효과가 높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