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참사 희생자 故김애린 KBS광주 기자의 마지막 가는 길] 사회 약자 관심갖고 공부 좋아한 서른 살 기자 "남 이야기 잘 들어주던 친구"
동료들은 말했다. “남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친구”였고 “능력 있고 따뜻한 보도국 애굣덩어리”였으며 “유독 현장중계를 잘해 MNG의 여왕”으로 불렸고, 선배한테 깨지고 오면 “가자, 술 한잔 살게!”라며 어깨를 툭 치던 기자였다.
그는 외국인 노동자 문제, 일제 강제동원, 5·18 등에 관심이 많았다. 구두닦이 시민군, 5·18 당시 시민군 밥을 지었던 여고생을 만나 그들의 목소리를 <영상채록 5·18>에 담았다. 그 보도로 지난해 7월 5·18 언론상을 받자 이렇게 말했다. “5·18과 아무 상관 없는 사람처럼 1년을 보내다 매년 5월18일만 되면 관련 보도를 내놓는 게 기자로서 면목이 없었습니다.”
붕어빵 노점은 그가 생전에 보도한 마지막 기사였다. 발달장애인을 돕기 위해 지원한 붕어빵 노점이 이틀 만에 문을 닫은 사연을 토대로 노점 허가제 논의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기사(사라지는 붕어빵…“노점허가제 논의를”-2024년 12월20일)였다. 1분40초짜리 리포트로 아쉬웠던지, 부장이 말하지 않았는데도 다 담지 못한 얘기를 디지털 기사로 내놨다.
고 김애린 기자의 아버지는 고인이 어릴 때 함께 찍은 사진을 자신의 휴대전화 배경화면으로 설정했다. /김성후 선임기자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