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어가는 우리말 - 그저 매서운 추위? 두 개의 뜻을 가진 ‘강추위’ ![]() 쉬어 가는우리말 우리말 탐구 그저 매서운 추위? ‘여름이 더우면 겨울이 춥다.’는 속설이 있다. 올 여름에 불볕더위가 심했던 탓에 올 겨울에는 ‘강추위’가 기승을 부릴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강추위’라는 말을 두고 ‘심한 추위’만을 뜻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강추위’는 두 가지 뜻이 있는 동음이의어다. 일 음절 한자어 접사 ‘강(强)-’과 ‘추위’가 합해진 ‘강(强)추위’와 순우리말인 ‘강추위’는 소리와 모양은 같으나 그 뜻이 다르다. 많은 사람들이 ‘심한 추위’라는 뜻으로 쓰는 ‘강추위’는 접사 ‘강(强)-’이 쓰인 ‘강(强)추위’일까? ‘강추위’일까? 접사 ‘강(强)-’은 일부 명사 앞에 붙어 ‘매우 센, 호된’이라는 뜻을 더한다. ‘강(强)추위’는 ‘눈이 오고 매운바람이 부는 심한 추위’를 뜻하며, 다음과 같이 쓰인다 다음 주 초부터 전국에 눈보라를 동반한 강추위가 몰아닥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순우리말인 ‘강추위’는 접사 ‘강-’과 ‘추위’가 합해진 말로 ‘눈도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으면서 몹시 매운 추위’를 뜻한다. 마른하늘에 강추위만 계속되니 마늘 농사가 걱정이다. 순우리말 접사인 ‘강-’은 몇몇 명사 앞에 붙어 ‘마른’ 또는 ‘물기가 없는’이라는 뜻을 더한다. 접사 ‘강-’이 붙은 말로는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고 볕만 내리쬐는 심한 더위인 ‘강더위’, 마른기침을 뜻하는 ‘강기침’, 물기가 없어 바싹 메말랐음을 뜻하는 ‘강마르다’ 등이 있다. |
출처: 하루 시 한 편 읽기 원문보기 글쓴이: 흐르는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