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조미김 시장동향 | |||||||||||||||||||||||||||||||||||||||||||||||||||||||||||||||
게시일 | 2019-01-28 | 작성자 | TerrieJeon | ||||||||||||||||||||||||||||||||||||||||||||||||||||||||||||
---|---|---|---|---|---|---|---|---|---|---|---|---|---|---|---|---|---|---|---|---|---|---|---|---|---|---|---|---|---|---|---|---|---|---|---|---|---|---|---|---|---|---|---|---|---|---|---|---|---|---|---|---|---|---|---|---|---|---|---|---|---|---|---|
국가 | 미국 | ||||||||||||||||||||||||||||||||||||||||||||||||||||||||||||||
무역관 | 워싱톤무역관 | ||||||||||||||||||||||||||||||||||||||||||||||||||||||||||||||
HSCODE | 2008999000 1212211010 | ||||||||||||||||||||||||||||||||||||||||||||||||||||||||||||||
첨부파일 | 식품 첨가물 및 색소 첨가제 관련 규정.docx | ||||||||||||||||||||||||||||||||||||||||||||||||||||||||||||||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시장규모 - 미국의 조미김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7,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40% 성장 - 미국 조미김 시장은 한국산이 미국시장의 대부분 차지하고 있으며, 주재국 통계수치는 제공되지 않음.
최근 3년간 미국 조미김제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 US$ 천)
자료원 :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www.kati.net)
2. 수입제도.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 규제 제도
○ 식품 첨가물 및 색소 첨가제 관련 규정 : 첨부파일 참조
□ 관세율 : 한미 FTA 체결로 무관세
□ 주요 유통채널
○ 대부분의 조미김은 한인마트, 중국계 마트등 동양계 마트를 통해 납품이 되어 왔으나 최근 미국의 대형 마트인 코스트코 또는 월마트 등을 통하여도 유통되고 있으며, 아마존과 같은 온라인을 통해서도 유통되는 형태로 발전
○ 김 유통채널 - 동양계 슈퍼마켓 (롯데, H-mart, G-mart, Great Wall 등) - 미국 주류 슈퍼마켓(Costco, Sam's Club, WalMart, Trader Joe’s) - 온라인 (아마존)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주요 경쟁제품 현황
자료원: 현지 판매상 인터뷰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최근 일본 김의 생산량과 수출량이 줄어들면서, 한국 산 김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추세임. 한국산 김이 많이 팔리면서 현지 마트에선 김의 포장지에 일본시 표기인 ‘노리(Nori)대신 ’korean seaweed’, ‘gim’등을 사용한 제품이 늘어나고 있음.
○ 선호 브랜드 - 현지시장에 있는 조미김은 대부분 한국에서 수입 : 동원 양반김, 대천 광천김 - 제품의 질이 전문가들도 구분이 쉽지 않은 만큼 유통업체의 마케팅 전략에 따라 OEM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 증가 - 신안천사김(주)는 미국 현지 유통업체 코스트코와 계약을 체결하고 ‘커클랜드’(Kirkland)라는 자체상표를 달고 판매. - 동원F&B의 ‘Sea Veggies’는 Kroger Group의 전국 2,700개 매장에 입점. - 기타 동양식품 대형 유통망의 자체 브랜드 '아씨' '초립동이' '해오름' 등이 있음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전문 전시회 정보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시 고려사항
○ 바이어 특성 : ①가격경쟁력 중시 ②품질경쟁력 중시 ○ 현지 바이어 구매상담시 우선 고려사항 - 현지 전문가에 따르면, 현지인들이 김 자체의 맛을 구별하기 힘들기 때문에 첨가된 소금의 양이나 기타 첨가물(flavored)이 구매에 영향을 미침. - 현지 유통업계 종사자와 인터뷰에서는 자극적인 맛을 즐기는 현지인들의 입맛을 맞추어, 조미김에 첨가되는 소금의 양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있음.
□ 마케팅 방안 및 타겟고객층
○ 현지에 수출중인 한국업계는 김을 밥에 싸먹는 문화가 없는 현지의 음식문화를 분석하고 현지인들의 입맛에 맞추어 염도 조절 및 향미를 다양화한 스낵 형태로 제품을 개발하는 등 적극적인 현지화 전략으로 청소년 및 20~30대 젊은 층을 타겟 고객층으로 공략
○ 동원F&B는 양반 씨베지스(Sea Veggies) 3종 시리즈(오리지널, 흑후추, 칠리맛)로 현지인들에게 다소 생소한 조미김을 ‘바다 야채’라는 콘셉트로 소비자들에게 어필하며, 팝콘이나 감자칩 대신 칼로리가 낮은 건강스낵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