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UHDTV User Forum
카페 가입하기
 
 
 
 

친구 카페

 
 
카페 게시글
▣ HTPC 미디어 서버(Data PC)로 즐기는 AV
이군배 추천 0 조회 3,138 11.09.03 14:03 댓글 3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1.09.08 09:30

    첫댓글 저번에본PC에대해 정리를 끝내셨군요 한마디로데이타PC때문에 요즘너무좋습니다 즐길시간이많치않은게아쉬울뿐이죠 데이타 백업도 살짝 기대해봅니다 준비할께요

  • 작성자 11.09.08 13:47

    설 연휴때 즐감하세요.

  • 11.09.08 10:18

    와우 멋지네요^^
    저도 구성했는데 보드가 좋네여^^
    데이터 PC가 있는게 hd영화 볼때는 좋은거 같습니다^^

  • 작성자 11.09.08 13:49

    예. 메인보드와 CPU 궁합이 나름 괜찮아 보여서 선택을 했는데, 특히 3TB HDD를 SATA3로 8개까지 사용할수 있다는게 제일 큰 매력 이었습니다.

  • 11.09.08 12:58

    비용이 얼마나 들었는지요?

  • 작성자 11.09.08 13:52

    비용은 본문에서도 언급을 드렸지만, HDD 비용이 70%가까이 차지합니다. 본체는 50만원 내외면 충분한데, HDD의 가격이 100만원 정도 들어 갑니다. 요즘 2TB HDD의 가격이 8만원 내외바껭 안하기 때에, 2TBX6개=12TB로 구축하시면, 100만원 내외로도 가능합니다. 12TB도 절대 적은 용랴잉 아닙니다.

  • 11.09.08 13:20

    와~우~~ 18TB~~~ 저도 하나 놓고 사용하면 좋을것 같은데, 이런 미디어서버를 조립, 세팅을 해주는덴 없나요?

  • 작성자 11.09.08 13:54

    딱히 저도 아는 업체는 없지만, 우리 카페에서 매월 HTPC를 공구해주는 LCD퍼스트(02-608-1612)로 한번 연락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 11.09.08 13:26

    대단하십니다. 18TB안에 있는 소스가 더 탐납니다. 조만간 한번 구경 가겠습니다.

  • 작성자 11.09.08 13:55

    예. 요즘 방문도 뜸하시고, 많이 바쁘신가 봅니다.

  • 11.09.08 14:00

    정액 끊어 놓으시고 쓸만한 영상은 모조리 받으시는군요 ^_^

  • 작성자 11.09.08 14:04

    ㅋㅋ. 저는 인터넷으론 거의 다운을 받지 않습니다. 대부분은 정품을 구입해서, 그것을 립핑(복사)해서 미디어 서버에 놓고 봅니다.

  • 11.09.10 16:55

    그런데 이렇게 조립할때 하드가 전부 용량이 같아야하죠?하드마다 용량이 다른건 안되죠? 하드를 통합시키지 않으면 디빅스 플레이어가 네트워크로는 여러개의 하드는(파티션이 나눠진) 인식을 못하는건가요?
    업그레이드할땐 하드만 옮기고 메인보드등 조립하는거 다 바꾸는건가요?

  • 작성자 11.09.10 19:01

    예. 기본적으론 HDD가 같은 용량이어야 합니다. / 디비코 HD디빅스 플레이어에서 여러개의 HDD를 인식하는건 가능하지만, 쉐어에서 정해진 홀더만 가능하기에 한계가 있습니다. 다만, 제가 제안한 통으로 구성한 경우는 HD디빅스에서 1개의 HDD로 인식이 되어 모두 보여줍니다. / 업그레이드가 어떤걸 업그레이드 하는건지는 모르겠으나, 통상 CPU계열이달라지면 메인보드는 바뀌게 됩니다. 또한 RAM도 상황에 따라서 바뀔수 있습니다. 그외는 바꾸지 않아도 되지만, 파워 상태가 좋지 않거나, 또는 케이스가 여러개의 HDD를 달기에 부족하거나, DVD-ROM의 상태에 자신이 판단해서 골라 사용할건 사용하시면 됩니다.

  • 11.09.16 00:18

    ps3의 경우 dlna서버 서버구성을 하여 ps3에서 미디어서버를 검색하여 가져오는 방법이 있는데 pc에서 dlna서버구성하는 방법이 어려서 사용 못하고 있습니다 미디어 서버 구성도 중요하지만 타 장비에서 미디어서버 접속하는 방법도 소개 되었으면 하는데요 주제에서 벗어나는 질문인가요?

  • 작성자 11.09.16 06:53

    그렇진 않습니다. PC와 각종 AV기기간 연결 방법은 각사에서 제공한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물론 미디어서버에서 특정 공유홀더를 만들어 공유를 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보완상의 문제로 인해 그리 추천을 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아울러 외부 기기간 연결은 유선(LAN)을 기준으로 설명을 드린 것입니다. 무선은 속도상 사용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이렇게속도를 중요시 한 이유는 동영상 소스가 영화 한편당 20~30GB이기 때문에, 그러한 소스을 재생할 도영상 기기는 PC와 일부 HD디빅스 플레이어 밖에 없습니다.

  • 11.10.06 20:55

    마침 집사람 컴퓨터가 고장이 나서 새로 구입할까 생각하다가 용기를 내어 직접 조립해보기로 했습니다. CPU와 메인보드는 카페지기님과 동일한 제품으로 구입하였습니다. 나머지 부품들이 도착되는대로 정성껏 조립하여 마눌님께 헌납할 생각입니다. 덕분에 항상 많은 것을 배웁니다.

  • 작성자 11.10.07 07:31

    ㅎㅎ. 꼭!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기본적인 컴퓨터 상식만 있으면, 조립 세팅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다만, 차세대오디오나 3D영상까지 감상을 하려면, 그러한 부분들이 다소 세팅하기가 힘들수 있습니다.

  • 11.10.13 08:49

    오랜만에 들어와서 좋은글 잘봤습니다. 한가지 궁금한 것이 있는데... 실사용시 계속 켜놓고 사용하시나요? 그러면 소비전력도 꽤 많을것같은데... 안방에 두고 쓰는경우면 거의 Data 저장용으로 쓰는 상황일텐데 오히려 저전력 시스템으로 하는 것은 어떨까해서요. 그래도 하드가 많아서 소비전력이 어느정도 이상은 되겠지만...

  • 작성자 11.10.13 09:15

    미디어 서버는 필요할때만 켜서 사용합니다. 일주일에 2~3번 키는데, 한번 켜년 보통 영화 2~3편 보고 끄거나, Data을 복사할때 4~5시간 정도 켜 놓는게 전부입니다. 그리고 HDD가 많다고 소비전력이 높지 않습니다. 보통 HDD 1개가 5~7W정도 소비가 되고, 메인보드는 일체형이라 소비전력은 거의 먹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파워도 300W정도로 충분합니다. 400W라 해도 실제 전체 소비전력은 100W를 넘지 않습니다. 일반 PC정도도 안나옵니다. 하지만, 이번 조립에 사용된 파워는 스카이디지털 파워(500W)를 하나 공짜로 구할수 있어서, 얻는 것인데, 24시간 사용한다면, 다소 부담은 되겠지만,

  • 작성자 11.10.13 09:17

    현재로선 1주일에 10~15시간 내외 정도밖에 켜질 않기 때문에, 아직은 크게 부담은 되지 않습니다. 물론 정말 제가 24시간 미디어 서버를 켜 놓는다면, 당근 300W내외의 파워를 사용하면, 전체 소비전력은 60~80W내외로 떨어 질 것입니다. 참고로 저는 다운로드는 거의 잘 받지 않습니다. 저는 주로 정품을 립핑(복사)해서 사용합니다.

  • 11.10.13 21:45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다만 파워 저용량으로 바꿔도 소비전력은 별 차이가 없을것 같기도 하네요. 파워 효율이 더 큰 영향이 있을듯...

  • 11.10.21 09:17

    글 잘봤습니다...
    근데 굳이 하드 6개를 하나로 통합할 필요가 잇나요? 추후에 고장나더라도 각각 만드는게 좋은거 같은데..;;;
    3테라 바이트만 해도 엄청난데....진정한 매니아시군요 ㅋ

  • 작성자 11.10.21 14:04

    본문 글에서도 안내를 드렸지만, HDD가 물리적으로 고장날 확률은 기본적인 조치만 해주면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미디어(Data PC) 서버는 사용해보신 분만이 그 진가를 압니다. 물론 3TB HDD 하나로 모든걸 다 사용하고 계신다면, 미디어(Data PC) 서버는 낭비가 맞습니다. 하지만, BD 립핑(복사) 소스의 경우 영화 한편이 30~50GB이기 때문에, 18TB라 해도 영화 500여편밖에 저장을 못합니다. 물론 mkv같은 영화는 수천편 담을수 있겠지만, 원본 그대로의 AV를 느끼시려면, 고용량은 감수해야 합니다. 그런데, 500편의 영화나 음악, 다큐 같은 내용이 각기 다른 HDD(6~개)에 담겨 있다면,

  • 작성자 11.10.21 14:05

    그거 찾아서 영화 한편 보는게 말처럼 그리 간단하지 않습니다. HDD는 발열만 잘 잡아주면, 물리적 고장은 거의 99.9%예방이 됩니다. 그래서 HDD 한개가 나가서 Data가 날라갈 확률은 거의 0 에 가깝습니다. 저를 포함 많은 분들이 이렇게 사용하고 있지만, 5년이 되도록 HDD가 고장난 경우는 한번도 없었습니다. 오히려, 크래들 같은 곳에 사용하기 위해 HDD를 이동하면서 고장이 난 경우는 있어도, 미디어(Data PC) 서버에 장착된 HDD가 고장난 경우는 없었습니다. 그다음 미디어(Data PC) 서버의 Data가 외부 바이러스에 의해 날라갈 수가 있는데, 그 부분은 자신이 미디어(Data PC) 서버 용도로만 활용하면, 크게 문제되지진 않습니다.

  • 작성자 11.10.21 14:07

    즉, 인터넷은 거의 서용하지 않고, 필요한 용도로만 활용한다면, 외부적인 요인으로 HDD의 Data가 날라갈 이유는 없습니다. 정말이지 사용해 보시면 생각 이상의 편리하고 좋습니다. 수백편의 영화를 순식간에 불러와서, 보고 싶을때 리모컨 하나로 골라보는 재미와 편리성은 직접 경험해 보신 분들만이 알수 있습니다. 정말 어려운건 18TB에 넣고 볼만한 콘텐츠를 구하는 일일 것입니다.

  • 12.01.31 12:58

    정말 엄청난 시스템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12.11.21 11:38

    저도 서버에 넣고 노트북에서 와이다이(WIDI)로 운영중인데요 영상은 문제가 없는데 음성출럭이 PCM 2채널만 되서 고민이네요 서버에서 내부및 외부에서 스트리밍이 가능하게 세팅 했는데 서버에 사운드카드를 달까 고민입니다. 현재는 DAC만 연결되어 2채널로만 영화를 보자니 조금 아쉽네요

  • 작성자 12.11.21 17:51

    HD영상에 관해선 무선이 아직도 한계가 있는듯 보이네요. 3D영상은 되는지요? 아직 WiDi를 직접 사용해 보진 않았지만, 예전에 LG전자 무선 AV제품을 사용하면서, 혼선이 생기는 문제점을 겪고는 무선 HDMI에 대한 신뢰가 없는터라. 전 요즘 4TB HDD가 출시되어, 가격만 좀 내려가면, 미디어 서버를 현재 18TB-->24TB로 업글 하려고 합니다. 현재 4TB HDD 6개 값만 170만원이 넘네요.

  • 12.11.21 18:20

    3D는 아직 안하고 있습니다. 리시버도 아직 hdmi미지원 인걸요. 인테그라 리서치 rdc.rda 시용중입니다. 2채널로 들어도 hd 안부럽습니다. 아직은요. 그런데 스트라이프로 구성하셨는데 raid도 한방에 훅가는 경우가 있는데 차라리ㄴ라이브러리 활용이나 테그를 입히는게 더 좋을것 같습니다. 예전에 사진 날려 먹어봐서 2중 백업을 하고 있습니다. 기업용 하드가 아닌담엔....

  • 12.12.13 22:21

    너무 좋은글 감사합니다. 잘 보고 있습닏.

  • 13.01.21 11:44

    너무 좋은 글입니다. 조만간 데이타 pc 마련해야겠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