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아동복시장 향후 연평균 3.9% 성장 전망 -
- 출산 연령 증가로 고소득 부모 증가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아동복
ㅇ HS Code: 6111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2012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미국 아동복 시장규모는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
- 미국 아동복시장은 2012~2017년 연평균 2.9%의 성장을 지속한 결과, 2017년 시장규모가 319억4580만 달러를 기록함.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7~2022년 미국 여성용 위생용품시장은 연평균 3.9% 성장을 지속해 2020년 시장규모가 387억7200만 달러에 이를 전망
미국 아동복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백만 달러)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31,945.8 | 33,559.7 | 35,079.7 | 36,438.9 | 37,639.9 | 38,772.0 |
자료원: Euromonitor
ㅇ 최근 미국 아동복시장의 성장은 여성 및 남성의류시장 성장세를 상회
- 2012~2017년 5년간 미국 아동복시장은 연평균 2.9% 성장을 보인 반면 여성의류는 0.7%, 남성의류는 1.4% 성장에 그쳤음.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인구 구성의 변화, 거시적 요인, 사회적 트렌드 등이 혼합돼 아동복시장의 성장을 자극한 것으로 분석
- 출산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오랜 기간 커리어를 쌓고 소득이 높아 자녀를 위한 지출 여력이 높은 부모가 증가
- 고소득 부모의 증가로 값비싼 디자이너 아동복시장이 성장한 반면, 여전히 예산에 민감한 부모들에게서 감각적이면서 중저가의 브랜드가 인기를 끌고 있음.
ㅇ 미니미(Mini-me) 패션의 유행
- 미니미 패션이란 소셜 미디어의 사용이 활발해지면서 자녀에게 자신을 축소한 것과 같은 패션으로 꾸미는 것을 의미함. 자녀의 사진을 찍고 팔로워들과 공유하는 것을 즐기는 부모들이 증가하고 있음.
- '미니미' 패션의 유행으로 전통적인 아동복 디자인을 벗어난 성인복과 같은 디자인의 신발과 의류가 인기
구찌(Gucci)의 아동복 라인 미니미(Mini Me) 광고
자료원: designerchildrenswear.com
ㅇ 아동복시장에도 온라인 소매 열풍 지속
- 맞벌이 부부가 많은 미국 가정의 특성상 매장 방문없이 간편히 자녀 옷을 구매하기 원하는 부모들은 온라인 소매를 많이 이용
- 미국의 대표적 아동복 브랜드인 카터스(Carter's)는 온라인 유통업체 아마존(Amazon)의 유료회원(Prime)에게만 독점 판매되는 심플조이(Simple Joys)라는 브랜드를 론칭해 판매하는 등 온라인 판매를 위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음.
□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미국의 아동복 수입액은 2017년 기준 18억4300만 달러로 전년대비 1.7% 증가
ㅇ 미국 아동복 수입 시장점유율 1위는 중국으로 전체 시장의 48.4%를 점유하고 있음. 캄보디아(11.3%), 베트남(10.1%), 인도(7.6%), 방글라데시(4.4%) 등이 뒤를 잇고 있음.
- 스리랑카(35.8%), 베트남(22.4%)산 수입액이 전년대비 대폭 성장한 반면, 태국(-21.0%), 인도네시아(-11.4%)산 수입액은 감소함.
미국 아동복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6111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2015 | 2016 | 2017 | 2015 | 2016 | 2017 |
전체 | 1,989 | 1,813 | 1,843 | 100.0 | 100.0 | 100.0 |
1 | 중국 | 997 | 897 | 893 | 50.1 | 49.5 | 48.4 |
2 | 캄보디아 | 220 | 204 | 209 | 11.1 | 11.2 | 11.3 |
3 | 베트남 | 163 | 153 | 187 | 8.2 | 8.4 | 10.1 |
4 | 인도 | 132 | 136 | 140 | 6.6 | 7.5 | 7.6 |
5 | 방글라데시 | 96 | 81 | 80 | 4.8 | 4.5 | 4.4 |
6 | 인도네시아 | 82 | 73 | 65 | 4.1 | 4.0 | 3.5 |
7 | 태국 | 89 | 76 | 60 | 4.5 | 4.2 | 3.2 |
8 | 스리랑카 | 41 | 41 | 56 | 2.1 | 2.3 | 3.0 |
9 | 과테말라 | 24 | 24 | 23 | 1.2 | 1.4 | 1.2 |
10 | 페루 | 18 | 19 | 20 | 0.9 | 1.1 | 1.1 |
21 | 한국 | 4 | 4 | 3 | 0.2 | 0.2 | 0.2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ㅇ 미국의 한국산 아동복 수입액은 2017년 기준 약 316만5000달러로 전년대비 15.9% 감소함.
- 의류의 경우 대부분이 한국에서 봉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한국 기업의 해외 생산시설에서 생산된 제품의 미국 수출 통계는 누락된 것으로 추정됨.
ㅇ 수입 시장점유율은 0.17%로 미미한 수준이나 미국 아동복 수입의 약 80%가 수입 시장점유율 상위 5개 국가로부터 이루어지고 있어, 이외의 국가들은 매우 작은 점유율로 시장을 세분화해 경쟁하고 있음.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미국 아동복시장에는 무수히 많은 기업들이 존재하며 시장점유율 상위 10개 기업을 제외한 모든 기업이 1% 미만의 시장만을 점유
- 미국 아동복 시장점유율 1위 기업은 Carter's Inc.로 전체 시장의 11.7%를 점유하고 있음. Gap Inc.(7.2%), Walmart Inc.(4.8%), Nike Inc.(4.6%), Children's Place Retail Store Inc.(4.1%) 등이 뒤를 잇고 있음.
- Cater's Inc.는 미국의 대표적인 중저가 아동복업체로 Carter's와 Oshkosh B'gosh의 브랜드를 보유
- Gap, Nike 등 성인 캐주얼 브랜드의 아동복 라인이 인기가 많은 편이며 저렴한 가격의 Walmart 제품도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
ㅇ 밀레니얼 부모를 중심으로 중립적 색깔의 유니섹스 아동복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Svaha, Girls Will Be, Handsome in Pink, buddingSTEM 등 유니섹스 아동복 브랜드가 등장해 시장의 호응을 얻고 있음.
미국 주요 아동복업체 시장점유율
자료원: Euromonitor
□ 유통구조
ㅇ 미국 아동복 유통채널 진입방식은 크게 아래와 같이 2가지로 구분 가능
- Target, Walmart 등 대형 유통업체 및 Carter's Children's Place, Gap Baby/Kids 등과 유아/아동용 전문 의류업체에 직접 납품
- 바이어, 현지 판매법인, 세일즈랩(또는 에이전트) 등 중간 유통업체를 통한 간접 납품
미국의 아동복 유통구조
자료원: KOTRA 뉴욕 무역관 보유 자료
□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
ㅇ 관세율
HS Code | 일반관세율 | 한미 FTA 관세율 |
6111.20.10 | 19.7% | 무관세 |
6111.20.20 | 14.9% | 무관세 |
6111.20.30 | 14.9% | 무관세 |
6111.20.40 | 11.5% | 무관세 |
6111.20.50 | 14.9% | 무관세 |
6111.20.60 | 8.1% | 무관세 |
6111.30.10 | 28.2% | 무관세 |
6111.30.20 | 32% | 무관세 |
6111.30.30 | 32% | 무관세 |
6111.30.40 | 30% | 무관세 |
6111.30.50 | 16% | 무관세 |
6111.90.05 | 13.6% | 무관세 |
6111.90.10 | 14.9% | 무관세 |
6111.90.20 | 17.3% | 무관세 |
6111.90.30 | 무관세 | 무관세 |
6111.90.40 | 26% | 무관세 |
6111.90.50 | 14.9% | 무관세 |
6111.90.70 | 0.9% | 무관세 |
6111.90.90 | 5.6% | 무관세 |
ㅇ 수입규제 및 인증
- 특별한 인허가 사항이나 인증 필요없이 일반적인 통관절차를 통해 수입 가능
□ 시사점
ㅇ 아동복 소매업체 B사 관계자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성장으로 인해 오래 입지 못하고 자주 구매해야 하는 아동복 특성상 가격경쟁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조언함.
- 실제로 정가가 중저가 이상인 고급 제품들의 경우에도 세일기간에는 매우 큰 폭으로 할인 판매하고 있어 경쟁력 있는 단가가 매우 중요함.
- B사 관계자에 따르면 저가 제품 대비 한국 제품이 품질 면에서 확실히 우수한 편이나, 가격 측면에서 40% 이상 차이나는 것이 경쟁력이 떨어지는 원인이라고 지적함.
ㅇ 미국 시장진출을 위해서는 중국, 캄보디아, 베트남 등 중저가 수입제품들과의 경쟁이 불가피해 가격경쟁력 제고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서는 중간단계를 줄이고 생산부터 미국 판매까지 총괄하는 수직적 생산 및 판매방식을 구축하는 것이 적합함.
ㅇ 최근 패션시장에서 SNS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어 소셜인플루언서와 SNS를 통한 마케팅이 필수적
ㅇ 공정무역, 천연/유기농을 선호하는 밀레니얼 소비자 공략을 위해 투명한 생산공정 및 비용을 강조한 마케팅, 유해성분의 염료 등이 사용되지 않은 자연주의를 강조 등 비가격적 경쟁력 제고가 필요
자료원: Euromonitor, designerchildrenswear.com, World Trade Atlas, KOTRA 뉴욕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