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마의태자의 풍경산방 원문보기 글쓴이: 풍경 송은석
|
1949년 이전 |
1949년 이후 – 현재(대구향교 기준) |
대성전 |
주향: 공자, 배향: 4성인, |
주향:공자, 배향:4성인, |
동·서무 |
공문72현, 한당송원22현, 동국18현 (112위) |
제기고, 전사청으로 사용 |
배향위 합 |
133위 |
25위 |
향교의 배향위가 현재의 모습을 갖춘 것은 1949년에 있었던 전국유림대회의 결의결과였다. 기존의 배향위가 지나친 사대사상의 결과물로 보고 이를 당시의 현실에 맞게 혁파한 것이었다.
참고로 일부지역에서는 향교의 신위가 처음에는 초상화였다. 하지만 고려 말에 이르러 공자, 4성인, 공문10철의 경우는 초상화를 소상(塑像·흙으로 빚은 형상)으로 대체하고 나머지는 그대로 초상화를 유지했다. 이후 조선 성종 때에 이르러 모든 신위는 오늘날과 같은 위패로 대체되었다.
대설위·중설위·소설위
향교의 문묘에 배향되는 성현들의 위패는 향교마다 차이가 있었다. 큰 고을의 향교에서는 ‘133위’를 모시는 대설위(大設位), 중간규모의 향교에서는 ‘39위’를 모시는 ‘중설위(中設位)’, 작은 고을의 향교는 ‘27위’를 모시는 ‘소설위(小設位)’를 취했다. 이를 표로 나타내보면 다음과 같다.
|
대성전 |
동·서무 |
신위수 |
비고 |
대설위 |
공자·4성, 공문10철, 송조6현 |
공문72현, 한당송원22현, 동국18현 |
133위 |
관찰사가 머무는 큰고을 (전주·강릉·경주·상주) |
중설위 |
공자·4성, 공문10철, 송조6현 |
동국18현 |
39위 |
부·목·도호부 |
소설위 |
공자·4성, 송조4현 |
동국18현 |
27위 |
군·현 |
대성전 성현봉안 위차도
아래의 그림은 대구향교 대성전의 위패 위차도(位次圖)이다. 위패 위차도는 위패의 순서에 따른 자리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가운데 가장 북쪽에서 남향한 신위가 주향인 공자이고, 그 앞은 안자, 증자, 자사, 맹자 4성인의 신위이다. 4성위는 안자와 자사는 동쪽에서 서향하고 있고, 증자와 맹자는 서쪽에서 동향을 하고 있다. 또한 동종의 신위는 동쪽 벽면에서 서향을 하고, 서종의 신위는 서쪽 벽면에서 동향을 하고 있다.
서종(西從) |
공자, 4성위(聖位)·(5성위) |
동종(東從) | |
|
|
| |
대성지성문선왕 大成至聖文宣王(孔子) |
| ||
문창후 고운 최치원 (文昌侯 孤雲 崔致遠) |
홍유후 빙설재 설총 (弘儒侯 氷雪齋 薛聰) | ||
휘국공 회암 주희 (徽國公 晦菴 朱熹) |
|
예국공 명도 정호 (豫國公 明道 程顥) | |
문충공 포은 정몽주 (文忠公 圃隱 鄭夢周) |
성국종성공증자 (郕國宗聖公曾子) |
연국복성군안자 (兗國復聖公顔子) |
문성공 회헌 안향 (文成公 晦軒 安珦) |
문헌공 일두 정여창 (文獻公 一蠹 鄭汝昌) |
문경공 한훤당 김굉필 (文敬公 寒暄堂金宏弼) | ||
문원공 회재 이언적 (文元公 晦齋 李彦迪) |
|
문정공 정암 조광조 (文正公 靜庵 趙光祖) | |
문정공 하서 김인후 (文正公 河西 金麟厚) |
추국아성공맹자 (鄒國亞聖公孟子) |
기국술성공자사 (沂國述聖公子思) |
문순공 퇴계 이황 (文純公 退溪 李滉) |
문간공 우계 성혼 (文簡公 牛溪 成渾) |
문성공 율곡 이이 (文成公 栗谷 李珥) | ||
문렬공 중봉 조헌 (文烈公 重峯 趙憲) |
|
문원공 사계 김장생 (文元公 沙溪 金長生) | |
문정공 우암 송시열 (文正公 尤庵 宋時烈) |
문경공 신독재 김집 (文敬公 愼獨齋 金集) | ||
문순공 현석 박세채 (文純公 玄石 朴世采) |
문정공 동춘당 송준길 (文正公 同春堂 宋浚吉) |
이상끝..
송은석(대구시청년유도회 사무국장·대구시문화관광해설사)
018-525-8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