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스카 논쟁 개요
파스카 논쟁(Paschal Controversies)은 2세기 중엽부터 4세기 초까지 아시아 교회와 로마교회(로마가톨릭교회)가 성찬식을 거행하는 문제로 대립했던 사건을 가리킨다.
초대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들의 가르침대로 유월절에 성찬식을 행하는 반면 로마교회가 부활절에 성찬식을 행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논쟁이 촉발되었다.
이후 로마교회의 주장대로 부활절에 성찬을 하기로 확정되고 기독교가 이를 관습으로 여기면서 이 사건을 대하는 논점이 흐려진 탓에 학자들은 부활절 날짜에 관한 분쟁으로 정의해 ‘부활절 논쟁(Easter controversy)’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파스카(πασχα)는 헬라어로 ‘유월절’을 의미한다.
논쟁의 핵심은 부활절을 언제 지킬 것인가 하는 문제가 아닌 성찬식, 즉 예수님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는 예식을 언제 행할 것인가 하는 것이었다.
성찬식을 거행해야 하는 날은 유월절로, ‘유월절 논쟁’이 정확한 표현이다.
요컨대 ‘부활절 논쟁’은 유월절은 간과하고 오직 부활절을 중시한 로마교회의 입장에 치우친 표현인 셈이다.
이는 많은 언어권에서 유월절을 뜻하는 파스카를 부활절로 오용하고 있는 까닭이기도 하다. Pascua(스페인어), Pascha(라틴어), Pâques(프랑스어) 등이 그 예다.
고대 그리스의 신학자이자 역사가 유세비우스(Eusebius)는 그의 저서를 통해 유월절 논쟁 사건이 유월절을 기념하는 날짜에 관한 분쟁이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이 무렵 유월절을 지키는 일에 여러 가지 견해가 있었으므로 상당한 논란이 일어났다. 보다 옛 전승의 가르침을 따르고 있었던 아시아의 교회에서는 정월 14일을 주님의 유월절로 지켜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날은 유대인들에게 유월절 양을 잡으라는 명령이 내려졌던 날이다.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유세비우스 팜필루스, 은성
사실상 성경적 관점으로는 논쟁을 벌일 이유가 전혀 없었다.
성찬식은 성력 1월 14일 유월절 저녁에 그리스도의 죽음을 기념하며 행하는 예식일 뿐 아니라 성경에는 그리스도의 부활을 언제 기념해야 하는지 확실하게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신약시대의 부활절은 구약시대 초실절에서 유래했는데, 그 날짜는 무교절 후 안식일 다음 날, 즉 무교절 후 첫 일요일이다(레위기 23:10~11, 고린도전서 15:20, 사도행전 20:6~7).
다시 말해 유월절과 부활절은 기념하는 의미와 날짜, 예법을 각각 구분하여 지켜야 하는 절기인 것이다.
파스카 논쟁 배경
파스카 논쟁은 사도들이 모두 세상을 떠난 후 교회 내에서 점차 권위가 높아진 로마교회가 초대교회의 성찬식 가르침과 다른 가르침을 주장하면서 일어났다.
초대교회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본보이신 대로 성력 1월 14일 저녁 유월절에 예수님의 죽음을 기념하며 떡과 포도주를 나누는 성찬식을 행했다(고린도전서 5:7, 11:23~26).
그리고 다음 날인 1월 15일 무교절에는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희생하신 일을 기리며 금식하고, 이후에 돌아온 첫 일요일 부활절에는 예수님의 부활을 기념하며 떡을 나누었다(마가복음 2:19~20, 누가복음 24:30~31, 사도행전 20:6~7).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교회는 예수님과 사도들의 전통을 따라 계속해서 1월 14일 저녁 유월절에 성찬식을 행했다.
그러나 사도들이 모두 세상을 떠난 후 로마교회는 유월절 성찬식 전통을 무시하고 예수님이 부활하신 일요일에 성찬식을 행하는 새로운 관습을 만들어냈다.
당시 패권국이었던 로마제국의 수도에 위치한 로마교회는 초기에는 주로 하층민 신자들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점차 중산층과 귀족들까지 입교하면서 점점 교회 내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로마교회의 주장은 교회 내에 큰 혼란을 야기시켰다.
파스카 논쟁의 시작
A.D. 155년경 소아시아의 서머나(스미르나)교회 감독이자 사도 요한의 제자인 폴리카르포스(Polycarpos, 폴리캅)는 로마를 방문했을 때 로마교회 감독(오늘날의 교황) 아니케투스(Anicetus, 아니체토)와 유월절에 대해 논의했다.
당시 폴리카르포스는 자신이 여러 사도들과 함께 해마다 유월절을 니산(1월) 14일에 지켜왔다며 유월절에 성찬식을 거행하는 것이 예수님과 사도들의 전승임을 강조했다.
그러나 폴리카르포스와 아니케투스는 서로를 설득하지 못하고 각자 전임 감독들의 관습을 따르기로 했다.
이후 또다시 유월절에 관한 논쟁이 벌어졌을 때 폴리카르포스의 제자 이레나이우스(Irenaeus)가 중재를 위해 로마교회 감독에게 보낸 서신에는 이 당시의 일을 상기시키고 있다.
아니케투스가 로마교회의 감독으로 있을 때, 폴리카르포스가 로마를 방문한 일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여러 가지 문제에 관해 의견의 차이가 있었으나 곧 서로 화해했으며, 이 주제로 서로 논쟁하지도 않았습니다. 아니케투스는 폴리카르포스에게 그 관습을 지키지 말라고 권면할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폴리카르포스는 주의 제자 요한, 그리고 그와 교제한 나머지 사도들과 함께 그것을 지켜왔기 때문입니다. 폴리카르포스도 아니케투스에게 그 관습을 지키라고 권면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아니케투스는 전임 감독들의 관습을 보전해야 한다고 말했기 때문입니다.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유세비우스 팜필루스, 은성
2세기경 유월절 날짜는 당시 교회의 논란의 중심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2세기에 활동했던 사데(사르디스)교회의 감독 멜리토(Melito)가 저술한 《유월절에 관하여(Peri Pascha)》에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세워주신 새로운 예법의 유월절을 주요 주제로 다루며 니산(1월) 14일을 준수해야 한다는 내용과 함께 유대교의 유월절 이야기를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다.
다시 불거진 파스카 논쟁
파스카 논쟁이 또다시 불거진 것은 A.D. 197년경 아니케투스보다 훨씬 유력해진 로마교회 감독 빅토르 1세(Victor Ⅰ, 빅토리오 1세) 때였다.
빅토르 1세는 논란을 잠재우고자 동서방 지역의 모든 교회에게 일요일에 성찬식을 하는 ‘도미닉의 규칙(Dominical Rule, 주의 규칙)’을 받아들일 것을 강요했다.
각지의 교회에서 여러 차례 회의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로마를 중심으로 한 서방 교회들은 이를 수용하기로 했으나 초대교회의 초석이었던 아시아 교회는 반발하며 거부했다.
이때, 소아시아의 에베소(에페수스)교회 8대 감독 폴리크라테스(Polycrates)도 빅토르 1세의 강요에 거부 의사를 밝히며 사도들과 전임 감독들의 관습대로 유월절을 지켜야 한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우리는 진정 올바르게 절기를 지키고 있습니다. 우리는 거기에 아무것도 덧붙이거나 감하지 않았습니다. 아시아에는 위대한 인물들이 잠들어 있습니다. … 열두 사도의 한 사람인 빌립과 … 순교자였던 요한도 에베소에 묻혀 있습니다. … 이 사람들은 모두 조금도 빗나가지 않고 신앙의 규칙을 따르면서 복음에 따라 14일을 유월절로 지켰습니다. 그리고 나 폴리크라테스는 비록 당신들 중에서 가장 보잘것없는 사람에 불과하지만, 전임 감독들의 전승을 따르고 있습니다. 나에게는 일곱 명의 전임 감독들이 있고, 나는 8대 감독입니다. 전임 감독들은 항상 백성(유대인)들이 누룩을 없앤 날(유월절)을 지켜왔습니다.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유세비우스 팜필루스, 은성
폴리크라테스의 편지를 받은 빅토르 1세는 유월절을 지키는 아시아 교회들을 비정통으로 몰아 파문했다. 그러나 감독들의 일치된 견해는 아니었기 때문에 파문 조치를 취소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이때 당시 리옹(갈리아의 수도)의 감독 이레나이우스도 빅토르 1세에게 중재하는 내용의 편지를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유세비우스는 이 일에 대해 이렇게 전했다.
그(이레나이우스)는 자신이 다스리고 있는 고올(갈리아) 지방 형제들의 이름으로 하나의 서신을 썼는데 … 빅톨(빅토르 1세)에게 전승으로 전해진 관습을 지키고 있는 하나님의 교회들을 축출하지 말라고 권고하였다.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유세비우스 팜필루스, 은성
논쟁의 결말
파스카 논쟁은 공교롭게도 로마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Constantinus I)가 개입하면서 종결되었다. A.D. 325년 콘스탄티누스 1세는 니케아로 교회 지도자들을 소집했다. 최초의 종교회의였던 니케아 공의회를 연 것이다. 니케아 공의회를 통해 로마교회가 주장한 대로 성찬식을 부활절에 행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부활절 날짜는 ‘춘분 후 만월 다음의 첫 일요일’로 정해졌다. 유월절과 무교절을 배제하다 보니 ‘춘분 후 만월’이라는 기준을 도입했던 것이다.
니케아 공의회 이후 점차 모든 교회가 이를 수용하면서 부활절에 유월절 성찬식을 행하게 되었다.
오늘날 기독교인들이 유월절과 부활절을 혼용할 수밖에 없고, 하나님이 정하신 최대의 절기인 유월절을 잘 알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파스카 논쟁이 벌어지는 동안 니산(1월) 14일 유월절을 지키는 사람은 ‘십사일파(Quartodecimanism)’로 불리며 이단으로 치부되었는데, 4세기경에는 이 사람들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전해진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제자들과 최후의 만찬을 나누며 세워주신 생명의 진리 새 언약의 유월절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만 것이다. 일찍이 다니엘 선지자는 하나님을 대적하는 세력에 의해 하나님이 정하신 절기가 변경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가 가장 높으신 분께 대항하여 말하며, 가장 높으신 분의 성도들을 괴롭히며, 정해진 때와 법을 바꾸려고 할 것이다. 성도들은 한 때와 두 때와 반 때까지 그의 권세 아래에 놓일 것이다.
(새번역, 다니엘 7:25)
https://youtu.be/2O-ng0CpYtY
첫댓글 성경대로 유월절을 지키는 곳은 오직 하나님의 교회뿐입니다. 하나님의 말씀대로 행하여 구원에 이르는 자녀들이 되어야겠습니다.
네 마귀가 교묘히 가려놓은것을 알게 해주시고 지킬 수 있도록 허락해주신곳은 하나님의 교회뿐입니다
오늘날 A.D. 니케아 회의로 인해 사라졌던 새언약 유월절을 지키는 교회는 하나님의 교회 뿐입니다^^
네 맞습니다 아무도 알지 못하는가운데 안상홍님께서 찾아주시고 하나님의 교회를 세워 주셨으니까요^^
이 시대에 유월절을 다시금 회복하여 주시어 영생의 길을 열어주신 아버지 안상홍님께 감사드립니다.
아멘 아버지가 찿아주시고 어머니께서 지킬 수 있도록 이끌어 주시니 너무나 감사합니다
글 내용처럼 성경대로 본다면 논쟁할 여지조차 없는 일인데도 불구하고 교회의 권위가 커지다보니 하나님의 말씀도 무시하고 마음대로 성찬식을 하게 되었네요...
교회의 권위가 아무리 커진다한들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에 견줄 수가 있는 건지...
안상홍님이 오셔서 1600년간 지켜지지 않았던 유월절을 회복시켜 주지 않으셨다면 우리의 미래는 흑암 그 자체였을 거예요.
유월절을 깨닫고 지키게 해 주셔서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맞습니다 어느 누구도 하나님어 권위에 맞설 수는 없습니다. 그런 세상가운데에서 택해주시고 알게 해주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유월절과 부활절은 각각 다른 절기인데...
오늘날 성경의 가르침대로 온전히 지키는 교회는 하나님의 교회가 유일합니다.
네 그런데 사람들은 다르다는것조차 알지 못하니 가슴이 아픕니다^^
이 또한 예언이겠지만.. 하나님의 떄와 법을 변개시킨 사단은 교묘하기 그지 없습니다.
유월절을 굳이 부활절에 성만찬을 행하려 하는 것도 이해가 되지 않는데 그 상황을 이기지 못하고 많은 영혼들이 사단의 궤략에 넘어갔으니... 이제껏 그래왔으니 괜찮은 것이 아니라.. 기독교 역사를 통해 하나님의 바른 신앙을 이해하고 회복하여 하나님의 진리가 지켜지는 정통교회 하나님의교회에서 바른 신앙의 길을 걸어가길 바래 봅니다.
맞습니다 너무나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그래서 더더욱 많은분들에게 참된길을 알려주고 십습니다^^
이렇게 역사가 알려주는 유월절 이고
부활절과는 다른 절기인데
사람들 마음대로 없애고 제멋대로니 너무 안타까워요
올바른 성경 가르침대로 초대교회 진리를 회복하여 지키는 하나님의교회가 있어 감사합니다.
네 하나님의 교회에서 참과 거짓을 알게 해주시고 참된신앙의 길을 걷게 해주신 아버지 어머니께 감사드립니다
1,600년간 유월절이 지켜지지 않았던 이유 곧 유월절이 폐지된 사건을 교회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