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래는 스님이 직접 안내문을 작성하려 했는데요..
정식 논문을 만드는 것이 아니고
간단한 문서 작성팁이라 그냥 영상과 다른분이 만들어놓은 글로 올립니다.
영상에서는 복잡하게 합니다만...
기본 문서형식은 그냥 그대로 두고 각주만 눌러
경전 번역자가 낱말풀이를 해놓은 것을
각주로 달아주면 경전보기가 수월해집니다.
또 스님이 지적하여 번역문이 바뀔 경우 해당 부분에다 각주를 달아
원본은 뭐였는데 스님이 번역을 바꾸라고 하여 바꿈이라고 달아주면 됩니다.
'각주(脚註, 脚注, footnote)'는 본문(本文) 밑에 붙인 풀이를 말하는데요
본문(本文)의 어떤 부분(部分)의 뜻을 보충(補充)하거나
풀이, 설명하기 위(爲)한 글로
페이지 비로 아래쪽에 따로 달아 놓은 풀이를 말하고요.
'미주(尾註, endnote)'는 미주(尾註, endnote) 혹은 후주(後註)라고 말하며
많은 양의 주석을 (서적, 보고서, 문서 기준으로) 마지막 페이지에
전부 기재한 것을 말합니다.
실제 읽어보면 미주는 보기가 굉장히 사납습니다.
각주로 다는게 좋아요.
황당한 것은 '미주'라는 단어는 자주 사용하는 것인데 사전에 안나옵니다.
어찌 이런 일이...@@
주의하실점은 한글의 버전이 다양하기에
여러분들이 소유하신 한글의 버전이
아래 설명자들의 한글버전이 같지 않을 경우
각주가 위치한 매뉴가 바뀔 수 있다는거 참고하세요..
또 정식 논문은 각주나 미주의 형식, 번호 매김 등이 다 지정되어 있어서
논문작성 난이도가 매우 높습니다.
참고로 알아두세요.
맨 아래에 실제 논문 작성법을 올려드릴께요..
2019년 스님이 한국정토학회에 논문 제출시 요청받은 형식입니다.
동국대학교도 그렇게 한다고 보심 되요.
한글문서작성 20강] 각주와 미주를 사용해 인용한 자료의 출처와 보충 설명을 표시하는 방법 | 04-2 - YouTube
-----------------------------
한글주석 각주 미주 다는법(넣기 달기 입력 편집 삭제 없애기) (tistory.com)
각주 달기 한글 각주 다는 법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1. 먼저 각주를 달고자 하는 단어나 문장 끝부분에 마우스 커서(예: 3·1 운동)를 위치시킨 후, 상단 탭 메뉴 중 입력 - 주석 - 각주 순으로 클릭하면 선택한 문장인 3·1 운동 끝부분에 숫자 괄호 1)이 생기는데 이 기호가 각주 기호이다. 이때 키보드 자판의 Ctrl 키 + 알파벳 N키, N키를 동시에 눌러줘도 각주 넣기가 가능한다. 2. 각주기호 1)이 생성됨과 동시에 페이지 하단에 구분선이 생기면서 각주 기호 1)이 함께 생성 나고 바로 뒤에서 커서가 깜빡거리는데, 이처럼 각주는 주석을 달고자 하는 단어나 문장이 있는 해당 페이지의 마지막에 구분선과 함께 생성된다. 3. 이 각주 하단 부분에 문장 풀이나 해설을 입력해 넣으면 된다. 4. 그리고 이어서 다음 각주를 넣으면 자동으로 다음 각주 번호가 매겨지고 주석을 달고자 하는 단어나 문장이 있는 해당 페이지의 마지막에 구분선과 함께 생성된다. ----------------------------------------------- 미주 달기 이번에는 한글 미주 다는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한글 미주를 다는 법도 동일하다. 먼저 미주를 달고자 하는 단어나 문장 끝부분에 마우스 커서(예: 4·19 운동)를 위치시킨 후, 상단 탭 메뉴 중 입력 - 주석 - 미주 순으로 클릭하면 선택한 문장인 '4·19 운동' 끝부분에 숫자 괄호 1)이 생기는데 이 기호가 미주 기호이다. 이때 키보드 자판의 Ctrl 키 + 알파벳 N키, E키를 동시에 눌러줘도 미주 넣기가 가능한다. 2. 미주기호 1)이 생성됨과 동시에 마지막 페이지에 미주 기호 1)이 함께 생성 나고 바로 뒤에서 커서가 깜빡거리는데, 이처럼 미주는 각주와는 달리 주석을 달고자 하는 문서의 가장 끝, 마지막 페이지에 생성이 된다. 각주 미주 수정 및 편집 1. 각주와 미주의 수정 및 편집을 원할 시에는 상단 탭 메뉴 중 '입력'항목을 선택한 후 '주석' - '각주/'미주 모양' 문구를 순서대로 클릭한 다음, 2. 번호 서식, 여백, 번호 매기기 항목 영역을 열어 번호 모양, 길이, 종류, 굵기, 위치 등 다양하게 수정 및 서식 편집을 할 수 있다. 또한 각주나 미주 삭제를 원할 경우에는 삭제를 원하는 해당 각주 또는 미주의 번호 앞에 마우스 커서를 갖다 댄 후, 키보드 자판의 백스페이스(Backspace) 키를 눌러주면 삭제 창이 뜨는데 이때 삭제를 진행하면 된다. |
---------------------------------
한국정토학회 논문 작성법(동국대학교도 동일 추정) 아래는 스님이 논문작성 원고청탁을 받을때의 논문 작성 규정입니다. 이게 작성 시기에 따라 기준이 달리기도 합니다. 과거 논문작성법과 현재가 불일치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수문자는 다음게시판에서 읽어내질 못하네요. 당시 스님이 [제5주제] 「점찰법회, 작법의 고증과 재현의 제문제」 이걸 촉탁받았고요.. 실제 논문은 5.占察法會와 占察行法의 재현과 실행의 제문제(월공스님) (점찰법회와 점찰행법의 재현과 실행의 제문제)로 발표했습니다. ----------------------- No. 한국정토학회 18-09 원 고 청 탁 서 소 속 : 남원 영선사 성 명 : 월공스님 귀의삼보하옵고, 정토학의 연구와 염불신앙의 실천수행을 통하여 정토교학의 발전과 아미타불신앙의 홍포를 위한 사업을 전개하는 본 학회에서 오는 2019년도 10월에 전북 금산사의 주최로 제23차 학술세미나를 아래와 같이 개최할 예정이기에 귀한 옥고를 청탁드립니다. - 아 래 - ∘ 주 제 : 점찰신앙과 금산사 ∘ 일 시 : 2019년 10월 ∘ 장 소 : 전북 금산사 처영기념관 ∘ 주 최 : 금산사 ∘ 주 관 : 한국정토학회(☎ 02-581-3138) ∘ 세부주제 : [기조강연] 「점찰신앙의 현대적 의의」 발제자 : 한보광스님(동국대 총장) [제1주제] 「점찰법회의 유래와 점찰선악업보경의 구성」 발제자 : 박미선(대림대 외래교수) [제2주제] 「금산사 점찰법회의 설행과 미륵신앙」 발제자 : 김상영(중앙승가대 교수) [제3주제] 「불교 점찰사상과 문화의 연관성」 발제자 : 한상길(동국대 불교학술원 조교수) [제4주제] 「불교 점찰사상의 보급을 위한 현대적 포교 프로그램 –템플스테이의 접목을 중심으로」 발제자 : 최현주(동국대 평생교육원 교수) [제5주제] 「점찰법회, 작법의 고증과 재현의 제문제」 발제자 : 월공스님(남원 영선사 주지) ∘ 원고마감일 : 2019년 8월 중순(기한을 꼭 지켜주시기 바라며, 논문 제출시 반드시 원고 요약문이 아닌 완성된 논문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원고작성 및 투고 요령 : 별첨 참조(정토학연구 논문 투고규정) 2018년 7월 31일 한국정토학회 회장 김광식 정토학연구 논문 투고규정 1. 정규 발행 학회지 원고 제출 마감일은 학회지 발간일로부터 2개월 이전(60일)으로 한다. (6월 발간은 4월까지, 12월 발간은 10월까지 마감) 2. 투고 요령 및 규정 1) 논문은 반드시 워드프로세서(한글 2007 이상)로 작성한다. 2) 제출된 본 논문의 분량은 200자 원고지 최저 100매에서 최대 150매를 기준으로 한다. 3) 학회 E-mail로 투고한다. 4) 제목 및 투고자의 이름, 직함은 영문을 병기한다. 5) 공동집필의 경우 제1집필자와 공동집필자의 구분을 명시한다. 6) 투고자의 소속, 직위, 주소, 전화번호, E-mail을 명기한다. 7) 제출된 논문은 반드시 ①영문초록, ②키워드(10개), ③한글요약, ④국문주제어(10개), ⑤ 참고문헌을 수록해야 한다. 8) 투고한 원고는 淨土學硏究 논문심사규정에 따라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3. 접수처 : 한국정토학회 사무실 (06653)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14길 36 현대전원오피스텔 201호 전화: 02-581-3138 팩스: 02-581-3137 Email; jungtohak@naver.com 4. 제출된 원고와 파일은 반환하지 않으며, 게재논문은 정토학회 홈페이지 및 기타 온라인상에서 무상 혹은 유상으로 서비스 됩니다. 5. 작성 시 주의사항 ★★★★★ ※ 본 학회에 논문을 투고할 경우 반드시 다음 사항을 준수해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1) 본문 : 편집의 일관성을 위하여 논문의 장, 절, 항, 목의 구분은 Ⅰ- 1 - 1) - (1) - ① 로 표시한다. 글씨체 : 신명조 / 글자크기 : 11포인트 / 줄간격 : 160 2) 인용문 : 본문보다 글자의 크기를 작게 하고 인용절 위와 아래의 한 줄씩을 띈다. 글자크기 : 10.5 포인트 / 줄간격 : 150 3) 각주 ★★ : 1), 2) 등으로 표시한다. 글자크기 : 9포인트 / 줄간격 : 130 동양어권 논문은 「 」(꺽쇠 한개짜리), 저서 및 학술지는 (꺽쇠 두 개짜리), 신문 등은 < > 또는 ≪ ≫로 표기한다. 쪽수 표기는 모두 영문자 ‘p’로 통일하여 표기하며 두 쪽 이상의 표기에는 숫자 사이에 ‘ - ’를 넣고 끝에 마침표를 찍는다.(문장의 경우에도 마침표 표기) ① 문헌 인용의 경우 <동양어권> 저자, 저서명, 출판장소: 출판사, 발행년도, 페이지. 예) 한보광, 정토삼부경, 서울: 여래장, 2000, pp.13-25. <서양어권> 저자, 저서명, 출판장소: 출판사, 발행년도, 페이지. ※ 서양어권 논문의 경우 “ ”, 단행본 및 잡지는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예) Heinrich Dumoulin, Zen Buddhism: A History, New York: Macmillan Pulishing Company, 1988, p.211. ② 논문 제목 및 品ㆍ篇 등은, <동양어권> 예) 강동균, 「정토사상에서의 본원사상」, 정토학연구 10집, 한국정토학회, 2007, pp.55-59. <서양어권> 예) David W. Chappell, “The Teachings of the Fourth Ch'an Patriarch Tao-hsin(580-651)”, Early Ch'an In China And Tibet, California: Asian Humanisties Press, 1983, p.89. ③ 대장경이나 한국불교전서 등 원전에서의 인용. 전등록의 내용을 신수대장경에서 인용할 경우, 예) 傳燈錄(大正藏45, 247,하), “인용 내용” 4) 참고문헌★★ ㆍ참고문헌에서는 출판지와 출판사명은 괄호를 하지 않는다. ㆍ외국인 저자의 경우 last name(성)을 쓰고 쉼표 후 한 칸 띄어 first name(이름)을 쓴 다. 한국인의 경우 성과 이름을 붙여 쓴다. ㆍ순서 - 원전자료, 사전류, 저서, 논문, 신문기사, 홈페이지 순서로 수록한다. - 국한문의 문헌을 먼저 수록하고 그 다음에 구미문헌을 수록한다. - 국한문의 문헌은 성명의 “가나다”순으로 하고, 구미문헌은 “알파벳” 순으로 한다. - 한 필자의 문헌이 여러 개 있을 경우에는 출판연도 순으로 한다. - 한 필자의 문헌이 여러 개 있을 경우에는 처음에 나오는 문헌에만 필자를 쓰고 두 번 째 문헌부터는 필자명을 밑줄만 같은 길이로 쓴다. 그러나 앞에 나온 필자가 공저인 경우에는 필자명을 써야 한다. - 한 문헌의 길이가 두 줄 이상이 될 경우에는 필자의 이름이 끝나는 곳부터 다음 줄이 시작되도록 한다. 5) 기타 사항 ㆍ본인이 강조하고 싶은 단어나 구절은 고딕체로, 타인의 설을 인용할 경우 ‘ ’로, 긴 구절 이나 문장의 인용은 “ ”로, 인용문 가운데 한 구절이나 단어의 생략은 줄임표(…)로, 문 장이나 완전한 생략은 중점줄임표(……)로 표기한다. ㆍ각주에서 바로 앞주의 인용 저술이나 논문을 재인용할 경우 ‘위의 책’, 혹은 ‘위의 논문’ 으로, 이전에 이미 인용한 저술이나 논문을 재인용할 경우에는 ‘앞의 책’, 또는 ‘앞의 논 문’으로 통일한다. ㆍ모든 한문은 반드시 본문에서 우리말로 번역하여 인용하고 각주에서 원문과 함께 출처 를 표기한다. ㆍ기타 사항은 일반적인 논문 작성요령에 따른다. 6. 논문 구성 및 체제 논문 제목 ㆍ 집필자 성명 및 소속(공동집필의 경우 제1집필자와 구분명시) ㆍ 목차 ㆍ 한글요약과 주제어 ㆍ 본문 ㆍ 참고문헌 ㆍ 영문초록(Abstract)과 및 키워드 ※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저작권은 투고자 뿐 아니라 본 학회에도 있음을 알려드리며, 게재된 논문은 학회 홈페이지와 한국연구재단 KCI, 기타 온라인상에서 무상 혹은 유상으로 서비스 된다. ※ 한국연구재단과 학교를 포함한 연구소 등 소속 기관 및 조계종의 지원 논문은 30만원의 게재료를 납입해야하며, 이 경우 논문 첫 페이지의 사사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 문의사항 연락 담당자 : 간사 한제인 (010-4797-9296) 전화 : 02)581-3137, 3138 팩스 : 02)581-3137 Email : jungtohak@naver.com ----------------- 학위논문 작성법 � 논문작성가이드/학위논문작성법 � 2018.08.06 12:59 일반적인 학위논문작성법을 안내합니다. 작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서관 소장 학위논문 작성법 관련 단행본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학위논문이란? 학위 취득을 목적으로 어떠한 주제에 대해 저자가 자신의 학문적 연구 결과나 의견, 주장을 논리에 맞게 풀어 써서 일관성 있고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체계적으로 쓴 글 학위논문 제출 과정 논문 예비계획서 작성 내용 논문예비계획서를 통해 연구에 대한 논리적인 일관성을 유지, 논문이 완성되었을 때의 예상되는 내용, 구체적인 조사방법, 참고자료의 규모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논문예비계획서에 포함되어야할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연구의 필요성 � 연구의 목적 � 연구의 의의(기여도) � 이론적 배경 � 가설의 설정 � 기대되는 결과 � 참고문헌 학위논문의 요건 � 주제, 연구방법, 결과의 독창적이어야 한다. � 내용이 정확하여야 한다. � 논문의 구조, 연구가 치밀하여야 한다. � 연구방법, 연구결과가 윤리적이어야 한다. 학위논문의 구조 목차의 구성 목차는 논문내용의 계층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조화 되어야 하며 장, 절, 항의 3단계까지만 기술한다. <목차 구성의 예시> 본문의 작성 1. 서론 � 서론에는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연구의 방법론, 특수용어의 정의, 선행연구, 가설 등을 기술한다. � 서론에서 기술되는 모든 사항은 본론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질 내용을 간추려 미리 소개하는 것이기에 논문의 전체적 흐름으로 본다면 미래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본론 � 논문을 가장 논문답게 하는 핵심적인 부분으로 서론에서 소개한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자신의 연구 과제를 논리적으로 전개한다. � 필요한 경우 선행 연구로부터 지원을 받는다. � 내용의 효율적인 표현을 위해 표, 도표, 그림을 사용한다. � 본론의 서술 형태는 현재형을 사용한다. � 서론이나 결론과 달리 본론이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3. 결론 � 논문을 마무리하는 부분으로 본문의 요약, 연구의 결과 및 성과, 연구의 문제점과 향후 연구의 과제 등을 기술한다. � 결론의 서술 형태는 진행된 연구를 요약한 것이므로 과거형 사용한다. 표의 작성 표의 사용 목적은 문자에 의해 표현되는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항목간의 관계가 명확하게 작성한다. 1. 표의 위치 � 관련 내용의 기술이 끝난 다음에 작성한다. � 표의 수가 많을 경우 본문에서 설명을 하도 부록으로 처리한다. 2. 표의 모양 � 본문의 목과 같거나 약간 작게 작성한다. � 세로선은 표가 막히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가로선만 사용한다. 3. 표의 제목 붙이기 � 표의 제목은 표 번호를 먼저 표시하고 마침표를 찍거나 표 번호를 괄호 등으로 싸줌으로서 식별이 용이하게 표현한다. � 표의 제목 뒤에는 구두점을 찍지 않으며 표의 제목과 표 사이에는 한줄을 띄운다. 예) 표 1. 2017년 도서구입비 집행 현황 1. 2017년 도서구입비 집행 현황 표 1> 2017년 도서구입비 집행 현황 그림의 작성 1. 그림의 위치 � 관련된 본문과 가까운 위치에 작성한다. 2. 그림의 작성 요령 � 그림의 제목은 일련번호를 붙이고 마침표를 찍거나 괄호 등으로 묶어서 표시한다. 예) “그림 1.”, “圖 2.”, “fig 1.” � 그림의 종류가 많을 경우 드림번호는 그림의 종류별로 구분한다. 예) “그림 1.”, “지도 1.”, “사진 1.” � 그림의 제목 뒤에는 구두점을 찍지 않는다. � 그림의 제목과 그림 사이에는 한 줄을 띄운다. 인용, 주, 참고문헌의 작성 � 인용이란 다른 이의 글이나 생각을 빌어 와서 연구자 자신의 주장이나 이론을 정당화하는 행위이다. 아무리 사소한 부분이라 하더라도 타인의 논문에서 인용한 것이라면 인용의 근거를 정확하게 맞추어 출처를 밝혀야 한다. � 주는 본문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하며 본문의 하단에 작성한다. � 본문에서 인용한 모든 참고문헌은 논문의 말미에 모두 기술하여야 한다. 초록의 작성 � 초록의 내용은 간결하게 연구 목적, 연구방법, 결과의 핵심적은 부분과 제언으로 작성한다. � 초록은 본문에 사용한 언어로 작성한다. � 한글 논문에는 외국어(영어) 초록을, 외국어 논문에는 한글초록을 권말에 추가할 수 있다. 부록의 작성 본문에서 작성하기 번잡한 자료나 보충적인 성격을 내용을 기술한다. 경우에 따라 표나 그림을 부록으로 모아서 본문을 간결하게 하기도 한다. 감사의 글 감사의 글은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한 페이지 분량으로 논문 작성에 도움을 주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표현한다. 출처: https://khuresearch.tistory.com/11 [중앙도서관 학과전담연구지원서비스] https://item.jd.com/32176889906.html http://db.itkc.or.kr/ https://translate.googleusercontent.com/translate_c?depth=1&hl=ko&prev=search&rurl=translate.google.co.jp&sl=en&sp=nmt4&u=http://kabc.dongguk.edu/&xid=17259,15700021,15700186,15700190,15700256,15700259,15700262,15700265,15700271&usg=ALkJrhjIY4Z1MN0RxS_IO1gGYnaJtN-Kpg http://21dzk.l.u-tokyo.ac.jp/SAT/satdb2015.php http://kabc.dongguk.edu/ https://papago.naver.com/ 증일아함경(增⼀阿含經)(T.2, 558c) : “修習⽇光三昧。 所謂彌奚比丘是.” 5. 작성 시 주의사항 ★★★★★ ※ 본 학회에 논문을 투고할 경우 반드시 다음 사항을 준수해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1) 본문 : 편집의 일관성을 위하여 논문의 장, 절, 항, 목의 구분은 Ⅰ- 1 - 1) - (1) - ① 로 표시한다. 글씨체 : 신명조 / 글자크기 : 11포인트 / 줄간격 : 160 2) 인용문 : 본문보다 글자의 크기를 작게 하고 인용절 위와 아래의 한 줄씩을 띈다. 글자크기 : 10.5 포인트 / 줄간격 : 150 3) 각주 ★★ : 1), 2) 등으로 표시한다. 글자크기 : 9포인트 / 줄간격 : 130 동양어권 논문은 「 」(꺽쇠 한개짜리), 저서 및 학술지는 (꺽쇠 두 개짜리), 신문 등은 < > 또는 ≪ ≫로 표기한다. 쪽수 표기는 모두 영문자 ‘p’로 통일하여 표기하며 두 쪽 이상의 표기에는 숫자 사이에 ‘ - ’를 넣고 끝에 마침표를 찍는다.(문장의 경우에도 마침표 표기) ① 문헌 인용의 경우 <동양어권> 저자, 저서명, 출판장소: 출판사, 발행년도, 페이지. 예) 한보광, 정토삼부경, 서울: 여래장, 2000, pp.13-25. <서양어권> 저자, 저서명, 출판장소: 출판사, 발행년도, 페이지. ※ 서양어권 논문의 경우 “ ”, 단행본 및 잡지는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예) Heinrich Dumoulin, Zen Buddhism: A History, New York: Macmillan Pulishing Company, 1988, p.211. ② 논문 제목 및 品ㆍ篇 등은, <동양어권> 예) 강동균, 「정토사상에서의 본원사상」, 정토학연구 10집, 한국정토학회, 2007, pp.55-59. 蔡印幻, 1986 「新羅 眞表律師 硏究(Ⅰ)」 佛敎學報23 ; 1987 「新羅 眞表律師 硏究(Ⅱ)」 佛敎學報24 ; 1988 「新羅 眞表律師 硏究(Ⅲ)」 佛敎學報25 <서양어권> 예) David W. Chappell, “The Teachings of the Fourth Ch'an Patriarch Tao-hsin(580-651)”, Early Ch'an In China And Tibet, California: Asian Humanisties Press, 1983, p.89. ③ 대장경이나 韓國佛敎전서 등 원전에서의 인용. 전등록의 내용을 신수대장경에서 인용할 경우, 예) 傳燈錄(大正藏45, 247,하), “인용 내용” 宋高僧傳 卷14(大正藏50, 794.a~b). 一然 撰, 三國遺事 卷4, 「眞表傳簡」, 一然 撰, 三國遺事 卷4, 義解第五, 「眞表傳簡」(大正藏 49, 三國遺事 卷4, 義解第五, 「眞表傳簡」(大正藏49, 1007,b18), 三國遺事 卷4, 義解第五, 「關東楓岳缽淵藪石記」(大正藏49, 1008,a23), 三國遺事 卷4, 義解第五, 「心地繼祖」(大正藏49, 三國遺事 卷3, 塔像第四, 「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大正藏49, 卷 第三 > 제4 탑상(塔像第四) > 낙산이대성 관음 정취 조신(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 占察善惡業報經 卷上(大正藏17, X21n0370_001 占察善惡業報經玄義 第1卷 卍續藏 (X) » 第 21 冊 » No.0370 » 第 1 卷 [0406b06] 占察善惡業報經玄義 第1卷(卍續藏21, 0406,b06), 宋高僧傳 卷14(大正藏50, 794.a~b), 傳燈錄(大正藏45, 247,하), “인용 내용” 蔡印幻, 「1新羅 眞表。律師 硏究(Ⅰ)」, 佛敎學報 23, 1986 pp.12-13. 강동균, 「정토사상에서의 본원사상」, 정토학연구 10집, 한국정토학회, 2007, pp.55-59. 한보광, 정토삼부경, 서울: 여래장, 2000, pp.13-25. 표 1> 2017년 도서구입비 집행 현황 No. 한국정토학회 18-09 원 고 청 탁 서 소 속 : 남원 영선사 성 명 : 월공스님 귀의삼보하옵고, 정토학의 연구와 염불신앙의 실천수행을 통하여 정토교학의 발전과 아미타불신앙의 홍포를 위한 사업을 전개하는 본 학회에서 오는 2019년도 10월에 전북 금산사의 주최로 제23차 학술세미나를 아래와 같이 개최할 예정이기에 귀한 옥고를 청탁드립니다. - 아 래 - ∘ 주 제 : 점찰신앙과 금산사 ∘ 일 시 : 2019년 10월 ∘ 장 소 : 전북 금산사 처영기념관 ∘ 주 최 : 금산사 ∘ 주 관 : 한국정토학회(☎ 02-581-3138) ∘ 세부주제 : [기조강연] 「점찰신앙의 현대적 의의」 발제자 : 한보광스님(동국대 총장) [제1주제] 「점찰법회의 유래와 점찰선악업보경의 구성」 발제자 : 박미선(대림대 외래교수) [제2주제] 「금산사 점찰법회의 설행과 미륵신앙」 발제자 : 김상영(중앙승가대 교수) [제3주제] 「불교 점찰사상과 문화의 연관성」 발제자 : 한상길(동국대 불교학술원 조교수) [제4주제] 「불교 점찰사상의 보급을 위한 현대적 포교 프로그램 –템플스테이의 접목을 중심으로」 발제자 : 최현주(동국대 평생교육원 교수) [제5주제] 「점찰법회, 작법의 고증과 재현의 제문제」 발제자 : 월공스님(남원 영선사 주지) ∘ 원고마감일 : 2019년 8월 중순(기한을 꼭 지켜주시기 바라며, 논문 제출시 반드시 원고 요약문이 아닌 완성된 논문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원고작성 및 투고 요령 : 별첨 참조(정토학연구 논문 투고규정) 2018년 7월 31일 한국정토학회 회장 김광식 정토학연구 논문 투고규정 1. 정규 발행 학회지 원고 제출 마감일은 학회지 발간일로부터 2개월 이전(60일)으로 한다. (6월 발간은 4월까지, 12월 발간은 10월까지 마감) 2. 투고 요령 및 규정 1) 논문은 반드시 워드프로세서(한글 2007 이상)로 작성한다. 2) 제출된 본 논문의 분량은 200자 원고지 최저 100매에서 최대 150매를 기준으로 한다. 3) 학회 E-mail로 투고한다. 4) 제목 및 투고자의 이름, 직함은 영문을 병기한다. 5) 공동집필의 경우 제1집필자와 공동집필자의 구분을 명시한다. 6) 투고자의 소속, 직위, 주소, 전화번호, E-mail을 명기한다. 7) 제출된 논문은 반드시 ①영문초록, ②키워드(10개), ③한글요약, ④국문주제어(10개), ⑤ 참고문헌을 수록해야 한다. 8) 투고한 원고는 淨土學硏究 논문심사규정에 따라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3. 접수처 : 한국정토학회 사무실 (06653)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14길 36 현대전원오피스텔 201호 전화: 02-581-3138 팩스: 02-581-3137 Email; jungtohak@naver.com 4. 제출된 원고와 파일은 반환하지 않으며, 게재논문은 정토학회 홈페이지 및 기타 온라인상에서 무상 혹은 유상으로 서비스 됩니다. 5. 작성 시 주의사항 ★★★★★ ※ 본 학회에 논문을 투고할 경우 반드시 다음 사항을 준수해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1) 본문 : 편집의 일관성을 위하여 논문의 장, 절, 항, 목의 구분은 Ⅰ- 1 - 1) - (1) - ① 로 표시한다. 글씨체 : 신명조 / 글자크기 : 11포인트 / 줄간격 : 160 2) 인용문 : 본문보다 글자의 크기를 작게 하고 인용절 위와 아래의 한 줄씩을 띈다. 글자크기 : 10.5 포인트 / 줄간격 : 150 3) 각주 ★★ : 1), 2) 등으로 표시한다. 글자크기 : 9포인트 / 줄간격 : 130 동양어권 논문은 「 」(꺽쇠 한개짜리), 저서 및 학술지는 (꺽쇠 두 개짜리), 신문 등은 < > 또는 ≪ ≫로 표기한다. 쪽수 표기는 모두 영문자 ‘p’로 통일하여 표기하며 두 쪽 이상의 표기에는 숫자 사이에 ‘ - ’를 넣고 끝에 마침표를 찍는다.(문장의 경우에도 마침표 표기) ① 문헌 인용의 경우 <동양어권> 저자, 저서명, 출판장소: 출판사, 발행년도, 페이지. 예) 한보광, 정토삼부경, 서울: 여래장, 2000, pp.13-25. <서양어권> 저자, 저서명, 출판장소: 출판사, 발행년도, 페이지. ※ 서양어권 논문의 경우 “ ”, 단행본 및 잡지는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예) Heinrich Dumoulin, Zen Buddhism: A History, New York: Macmillan Pulishing Company, 1988, p.211. ② 논문 제목 및 品ㆍ篇 등은, <동양어권> 예) 강동균, 「정토사상에서의 본원사상」, 정토학연구 10집, 한국정토학회, 2007, pp.55-59. <서양어권> 예) David W. Chappell, “The Teachings of the Fourth Ch'an Patriarch Tao-hsin(580-651)”, Early Ch'an In China And Tibet, California: Asian Humanisties Press, 1983, p.89. ③ 대장경이나 한국불교전서 등 원전에서의 인용. 전등록의 내용을 신수대장경에서 인용할 경우, 예) 傳燈錄(大正藏45, 247,하), “인용 내용” 4) 참고문헌★★ ㆍ참고문헌에서는 출판지와 출판사명은 괄호를 하지 않는다. ㆍ외국인 저자의 경우 last name(성)을 쓰고 쉼표 후 한 칸 띄어 first name(이름)을 쓴 다. 한국인의 경우 성과 이름을 붙여 쓴다. ㆍ순서 - 원전자료, 사전류, 저서, 논문, 신문기사, 홈페이지 순서로 수록한다. - 국한문의 문헌을 먼저 수록하고 그 다음에 구미문헌을 수록한다. - 국한문의 문헌은 성명의 “가나다”순으로 하고, 구미문헌은 “알파벳” 순으로 한다. - 한 필자의 문헌이 여러 개 있을 경우에는 출판연도 순으로 한다. - 한 필자의 문헌이 여러 개 있을 경우에는 처음에 나오는 문헌에만 필자를 쓰고 두 번 째 문헌부터는 필자명을 밑줄만 같은 길이로 쓴다. 그러나 앞에 나온 필자가 공저인 경우에는 필자명을 써야 한다. - 한 문헌의 길이가 두 줄 이상이 될 경우에는 필자의 이름이 끝나는 곳부터 다음 줄이 시작되도록 한다. 5) 기타 사항 ㆍ본인이 강조하고 싶은 단어나 구절은 고딕체로, 타인의 설을 인용할 경우 ‘ ’로, 긴 구절 이나 문장의 인용은 “ ”로, 인용문 가운데 한 구절이나 단어의 생략은 줄임표(…)로, 문 장이나 완전한 생략은 중점줄임표(……)로 표기한다. ㆍ각주에서 바로 앞주의 인용 저술이나 논문을 재인용할 경우 ‘위의 책’, 혹은 ‘위의 논문’ 으로, 이전에 이미 인용한 저술이나 논문을 재인용할 경우에는 ‘앞의 책’, 또는 ‘앞의 논 문’으로 통일한다. ㆍ모든 한문은 반드시 본문에서 우리말로 번역하여 인용하고 각주에서 원문과 함께 출처 를 표기한다. ㆍ기타 사항은 일반적인 논문 작성요령에 따른다. 6. 논문 구성 및 체제 논문 제목 ㆍ 집필자 성명 및 소속(공동집필의 경우 제1집필자와 구분명시) ㆍ 목차 ㆍ 한글요약과 주제어 ㆍ 본문 ㆍ 참고문헌 ㆍ 영문초록(Abstract)과 및 키워드 ※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저작권은 투고자 뿐 아니라 본 학회에도 있음을 알려드리며, 게재된 논문은 학회 홈페이지와 한국연구재단 KCI, 기타 온라인상에서 무상 혹은 유상으로 서비스 된다. ※ 한국연구재단과 학교를 포함한 연구소 등 소속 기관 및 조계종의 지원 논문은 30만원의 게재료를 납입해야하며, 이 경우 논문 첫 페이지의 사사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 문의사항 연락 담당자 : 간사 한제인 (010-4797-9296) 전화 : 02)581-3137, 3138 팩스 : 02)581-3137 Email : jungtohak@naver.com ----------------- 학위논문 작성법 � 논문작성가이드/학위논문작성법 � 2018.08.06 12:59 일반적인 학위논문작성법을 안내합니다. 작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서관 소장 학위논문 작성법 관련 단행본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학위논문이란? 학위 취득을 목적으로 어떠한 주제에 대해 저자가 자신의 학문적 연구 결과나 의견, 주장을 논리에 맞게 풀어 써서 일관성 있고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체계적으로 쓴 글 학위논문 제출 과정 논문 예비계획서 작성 내용 논문예비계획서를 통해 연구에 대한 논리적인 일관성을 유지, 논문이 완성되었을 때의 예상되는 내용, 구체적인 조사방법, 참고자료의 규모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논문예비계획서에 포함되어야할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연구의 필요성 � 연구의 목적 � 연구의 의의(기여도) � 이론적 배경 � 가설의 설정 � 기대되는 결과 � 참고문헌 학위논문의 요건 � 주제, 연구방법, 결과의 독창적이어야 한다. � 내용이 정확하여야 한다. � 논문의 구조, 연구가 치밀하여야 한다. � 연구방법, 연구결과가 윤리적이어야 한다. 학위논문의 구조 목차의 구성 목차는 논문내용의 계층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조화 되어야 하며 장, 절, 항의 3단계까지만 기술한다. <목차 구성의 예시> 본문의 작성 1. 서론 � 서론에는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연구의 방법론, 특수용어의 정의, 선행연구, 가설 등을 기술한다. � 서론에서 기술되는 모든 사항은 본론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질 내용을 간추려 미리 소개하는 것이기에 논문의 전체적 흐름으로 본다면 미래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본론 � 논문을 가장 논문답게 하는 핵심적인 부분으로 서론에서 소개한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자신의 연구 과제를 논리적으로 전개한다. � 필요한 경우 선행 연구로부터 지원을 받는다. � 내용의 효율적인 표현을 위해 표, 도표, 그림을 사용한다. � 본론의 서술 형태는 현재형을 사용한다. � 서론이나 결론과 달리 본론이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3. 결론 � 논문을 마무리하는 부분으로 본문의 요약, 연구의 결과 및 성과, 연구의 문제점과 향후 연구의 과제 등을 기술한다. � 결론의 서술 형태는 진행된 연구를 요약한 것이므로 과거형 사용한다. 표의 작성 표의 사용 목적은 문자에 의해 표현되는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항목간의 관계가 명확하게 작성한다. 1. 표의 위치 � 관련 내용의 기술이 끝난 다음에 작성한다. � 표의 수가 많을 경우 본문에서 설명을 하도 부록으로 처리한다. 2. 표의 모양 � 본문의 목과 같거나 약간 작게 작성한다. � 세로선은 표가 막히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가로선만 사용한다. 3. 표의 제목 붙이기 � 표의 제목은 표 번호를 먼저 표시하고 마침표를 찍거나 표 번호를 괄호 등으로 싸줌으로서 식별이 용이하게 표현한다. � 표의 제목 뒤에는 구두점을 찍지 않으며 표의 제목과 표 사이에는 한줄을 띄운다. 예) 표 1. 2017년 도서구입비 집행 현황 1. 2017년 도서구입비 집행 현황 표 1> 2017년 도서구입비 집행 현황 그림의 작성 1. 그림의 위치 � 관련된 본문과 가까운 위치에 작성한다. 2. 그림의 작성 요령 � 그림의 제목은 일련번호를 붙이고 마침표를 찍거나 괄호 등으로 묶어서 표시한다. 예) “그림 1.”, “圖 2.”, “fig 1.” � 그림의 종류가 많을 경우 드림번호는 그림의 종류별로 구분한다. 예) “그림 1.”, “지도 1.”, “사진 1.” � 그림의 제목 뒤에는 구두점을 찍지 않는다. � 그림의 제목과 그림 사이에는 한 줄을 띄운다. 인용, 주, 참고문헌의 작성 � 인용이란 다른 이의 글이나 생각을 빌어 와서 연구자 자신의 주장이나 이론을 정당화하는 행위이다. 아무리 사소한 부분이라 하더라도 타인의 논문에서 인용한 것이라면 인용의 근거를 정확하게 맞추어 출처를 밝혀야 한다. � 주는 본문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하며 본문의 하단에 작성한다. � 본문에서 인용한 모든 참고문헌은 논문의 말미에 모두 기술하여야 한다. 초록의 작성 � 초록의 내용은 간결하게 연구 목적, 연구방법, 결과의 핵심적은 부분과 제언으로 작성한다. � 초록은 본문에 사용한 언어로 작성한다. � 한글 논문에는 외국어(영어) 초록을, 외국어 논문에는 한글초록을 권말에 추가할 수 있다. 부록의 작성 본문에서 작성하기 번잡한 자료나 보충적인 성격을 내용을 기술한다. 경우에 따라 표나 그림을 부록으로 모아서 본문을 간결하게 하기도 한다. 감사의 글 감사의 글은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한 페이지 분량으로 논문 작성에 도움을 주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표현한다. 출처: https://khuresearch.tistory.com/11 [중앙도서관 학과전담연구지원서비스] https://item.jd.com/32176889906.html http://db.itkc.or.kr/ https://translate.googleusercontent.com/translate_c?depth=1&hl=ko&prev=search&rurl=translate.google.co.jp&sl=en&sp=nmt4&u=http://kabc.dongguk.edu/&xid=17259,15700021,15700186,15700190,15700256,15700259,15700262,15700265,15700271&usg=ALkJrhjIY4Z1MN0RxS_IO1gGYnaJtN-Kpg http://21dzk.l.u-tokyo.ac.jp/SAT/satdb2015.php http://kabc.dongguk.edu/ https://papago.naver.com/ 증일아함경(增⼀阿含經)(T.2, 558c) : “修習⽇光三昧。 所謂彌奚比丘是.” 5. 작성 시 주의사항 ★★★★★ ※ 본 학회에 논문을 투고할 경우 반드시 다음 사항을 준수해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1) 본문 : 편집의 일관성을 위하여 논문의 장, 절, 항, 목의 구분은 Ⅰ- 1 - 1) - (1) - ① 로 표시한다. 글씨체 : 신명조 / 글자크기 : 11포인트 / 줄간격 : 160 2) 인용문 : 본문보다 글자의 크기를 작게 하고 인용절 위와 아래의 한 줄씩을 띈다. 글자크기 : 10.5 포인트 / 줄간격 : 150 3) 각주 ★★ : 1), 2) 등으로 표시한다. 글자크기 : 9포인트 / 줄간격 : 130 동양어권 논문은 「 」(꺽쇠 한개짜리), 저서 및 학술지는 (꺽쇠 두 개짜리), 신문 등은 < > 또는 ≪ ≫로 표기한다. 쪽수 표기는 모두 영문자 ‘p’로 통일하여 표기하며 두 쪽 이상의 표기에는 숫자 사이에 ‘ - ’를 넣고 끝에 마침표를 찍는다.(문장의 경우에도 마침표 표기) ① 문헌 인용의 경우 <동양어권> 저자, 저서명, 출판장소: 출판사, 발행년도, 페이지. 예) 한보광, 정토삼부경, 서울: 여래장, 2000, pp.13-25. <서양어권> 저자, 저서명, 출판장소: 출판사, 발행년도, 페이지. ※ 서양어권 논문의 경우 “ ”, 단행본 및 잡지는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예) Heinrich Dumoulin, Zen Buddhism: A History, New York: Macmillan Pulishing Company, 1988, p.211. ② 논문 제목 및 品ㆍ篇 등은, <동양어권> 예) 강동균, 「정토사상에서의 본원사상」, 정토학연구 10집, 한국정토학회, 2007, pp.55-59. 蔡印幻, 1986 「新羅 眞表律師 硏究(Ⅰ)」 佛敎學報23 ; 1987 「新羅 眞表律師 硏究(Ⅱ)」 佛敎學報24 ; 1988 「新羅 眞表律師 硏究(Ⅲ)」 佛敎學報25 <서양어권> 예) David W. Chappell, “The Teachings of the Fourth Ch'an Patriarch Tao-hsin(580-651)”, Early Ch'an In China And Tibet, California: Asian Humanisties Press, 1983, p.89. ③ 대장경이나 韓國佛敎전서 등 원전에서의 인용. 전등록의 내용을 신수대장경에서 인용할 경우, 예) 傳燈錄(大正藏45, 247,하), “인용 내용” 宋高僧傳 卷14(大正藏50, 794.a~b). 一然 撰, 三國遺事 卷4, 「眞表傳簡」, 一然 撰, 三國遺事 卷4, 義解第五, 「眞表傳簡」(大正藏 49, 三國遺事 卷4, 義解第五, 「眞表傳簡」(大正藏49, 1007,b18), 三國遺事 卷4, 義解第五, 「關東楓岳缽淵藪石記」(大正藏49, 1008,a23), 三國遺事 卷4, 義解第五, 「心地繼祖」(大正藏49, 三國遺事 卷3, 塔像第四, 「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大正藏49, 卷 第三 > 제4 탑상(塔像第四) > 낙산이대성 관음 정취 조신(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 占察善惡業報經 卷上(大正藏17, X21n0370_001 占察善惡業報經玄義 第1卷 卍續藏 (X) » 第 21 冊 » No.0370 » 第 1 卷 [0406b06] 占察善惡業報經玄義 第1卷(卍續藏21, 0406,b06), 宋高僧傳 卷14(大正藏50, 794.a~b), 傳燈錄(大正藏45, 247,하), “인용 내용” 蔡印幻, 「1新羅 眞表。律師 硏究(Ⅰ)」, 佛敎學報 23, 1986 pp.12-13. 강동균, 「정토사상에서의 본원사상」, 정토학연구 10집, 한국정토학회, 2007, pp.55-59. 한보광, 정토삼부경, 서울: 여래장, 2000, pp.13-25. 표 1> 2017년 도서구입비 집행 현황 No. 한국정토학회 18-09 원 고 청 탁 서 소 속 : 남원 영선사 성 명 : 월공스님 귀의삼보하옵고, 정토학의 연구와 염불신앙의 실천수행을 통하여 정토교학의 발전과 아미타불신앙의 홍포를 위한 사업을 전개하는 본 학회에서 오는 2019년도 10월에 전북 금산사의 주최로 제23차 학술세미나를 아래와 같이 개최할 예정이기에 귀한 옥고를 청탁드립니다. - 아 래 - ∘ 주 제 : 점찰신앙과 금산사 ∘ 일 시 : 2019년 10월 ∘ 장 소 : 전북 금산사 처영기념관 ∘ 주 최 : 금산사 ∘ 주 관 : 한국정토학회(☎ 02-581-3138) ∘ 세부주제 : [기조강연] 「점찰신앙의 현대적 의의」 발제자 : 한보광스님(동국대 총장) [제1주제] 「점찰법회의 유래와 점찰선악업보경의 구성」 발제자 : 박미선(대림대 외래교수) [제2주제] 「금산사 점찰법회의 설행과 미륵신앙」 발제자 : 김상영(중앙승가대 교수) [제3주제] 「불교 점찰사상과 문화의 연관성」 발제자 : 한상길(동국대 불교학술원 조교수) [제4주제] 「불교 점찰사상의 보급을 위한 현대적 포교 프로그램 –템플스테이의 접목을 중심으로」 발제자 : 최현주(동국대 평생교육원 교수) [제5주제] 「점찰법회, 작법의 고증과 재현의 제문제」 발제자 : 월공스님(남원 영선사 주지) ∘ 원고마감일 : 2019년 8월 중순(기한을 꼭 지켜주시기 바라며, 논문 제출시 반드시 원고 요약문이 아닌 완성된 논문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원고작성 및 투고 요령 : 별첨 참조(정토학연구 논문 투고규정) 2018년 7월 31일 한국정토학회 회장 김광식 정토학연구 논문 투고규정 1. 정규 발행 학회지 원고 제출 마감일은 학회지 발간일로부터 2개월 이전(60일)으로 한다. (6월 발간은 4월까지, 12월 발간은 10월까지 마감) 2. 투고 요령 및 규정 1) 논문은 반드시 워드프로세서(한글 2007 이상)로 작성한다. 2) 제출된 본 논문의 분량은 200자 원고지 최저 100매에서 최대 150매를 기준으로 한다. 3) 학회 E-mail로 투고한다. 4) 제목 및 투고자의 이름, 직함은 영문을 병기한다. 5) 공동집필의 경우 제1집필자와 공동집필자의 구분을 명시한다. 6) 투고자의 소속, 직위, 주소, 전화번호, E-mail을 명기한다. 7) 제출된 논문은 반드시 ①영문초록, ②키워드(10개), ③한글요약, ④국문주제어(10개), ⑤ 참고문헌을 수록해야 한다. 8) 투고한 원고는 淨土學硏究 논문심사규정에 따라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3. 접수처 : 한국정토학회 사무실 (06653)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14길 36 현대전원오피스텔 201호 전화: 02-581-3138 팩스: 02-581-3137 Email; jungtohak@naver.com 4. 제출된 원고와 파일은 반환하지 않으며, 게재논문은 정토학회 홈페이지 및 기타 온라인상에서 무상 혹은 유상으로 서비스 됩니다. 5. 작성 시 주의사항 ★★★★★ ※ 본 학회에 논문을 투고할 경우 반드시 다음 사항을 준수해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1) 본문 : 편집의 일관성을 위하여 논문의 장, 절, 항, 목의 구분은 Ⅰ- 1 - 1) - (1) - ① 로 표시한다. 글씨체 : 신명조 / 글자크기 : 11포인트 / 줄간격 : 160 2) 인용문 : 본문보다 글자의 크기를 작게 하고 인용절 위와 아래의 한 줄씩을 띈다. 글자크기 : 10.5 포인트 / 줄간격 : 150 3) 각주 ★★ : 1), 2) 등으로 표시한다. 글자크기 : 9포인트 / 줄간격 : 130 동양어권 논문은 「 」(꺽쇠 한개짜리), 저서 및 학술지는 (꺽쇠 두 개짜리), 신문 등은 < > 또는 ≪ ≫로 표기한다. 쪽수 표기는 모두 영문자 ‘p’로 통일하여 표기하며 두 쪽 이상의 표기에는 숫자 사이에 ‘ - ’를 넣고 끝에 마침표를 찍는다.(문장의 경우에도 마침표 표기) ① 문헌 인용의 경우 <동양어권> 저자, 저서명, 출판장소: 출판사, 발행년도, 페이지. 예) 한보광, 정토삼부경, 서울: 여래장, 2000, pp.13-25. <서양어권> 저자, 저서명, 출판장소: 출판사, 발행년도, 페이지. ※ 서양어권 논문의 경우 “ ”, 단행본 및 잡지는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예) Heinrich Dumoulin, Zen Buddhism: A History, New York: Macmillan Pulishing Company, 1988, p.211. ② 논문 제목 및 品ㆍ篇 등은, <동양어권> 예) 강동균, 「정토사상에서의 본원사상」, 정토학연구 10집, 한국정토학회, 2007, pp.55-59. <서양어권> 예) David W. Chappell, “The Teachings of the Fourth Ch'an Patriarch Tao-hsin(580-651)”, Early Ch'an In China And Tibet, California: Asian Humanisties Press, 1983, p.89. ③ 대장경이나 한국불교전서 등 원전에서의 인용. 전등록의 내용을 신수대장경에서 인용할 경우, 예) 傳燈錄(大正藏45, 247,하), “인용 내용” 4) 참고문헌★★ ㆍ참고문헌에서는 출판지와 출판사명은 괄호를 하지 않는다. ㆍ외국인 저자의 경우 last name(성)을 쓰고 쉼표 후 한 칸 띄어 first name(이름)을 쓴 다. 한국인의 경우 성과 이름을 붙여 쓴다. ㆍ순서 - 원전자료, 사전류, 저서, 논문, 신문기사, 홈페이지 순서로 수록한다. - 국한문의 문헌을 먼저 수록하고 그 다음에 구미문헌을 수록한다. - 국한문의 문헌은 성명의 “가나다”순으로 하고, 구미문헌은 “알파벳” 순으로 한다. - 한 필자의 문헌이 여러 개 있을 경우에는 출판연도 순으로 한다. - 한 필자의 문헌이 여러 개 있을 경우에는 처음에 나오는 문헌에만 필자를 쓰고 두 번 째 문헌부터는 필자명을 밑줄만 같은 길이로 쓴다. 그러나 앞에 나온 필자가 공저인 경우에는 필자명을 써야 한다. - 한 문헌의 길이가 두 줄 이상이 될 경우에는 필자의 이름이 끝나는 곳부터 다음 줄이 시작되도록 한다. 5) 기타 사항 ㆍ본인이 강조하고 싶은 단어나 구절은 고딕체로, 타인의 설을 인용할 경우 ‘ ’로, 긴 구절 이나 문장의 인용은 “ ”로, 인용문 가운데 한 구절이나 단어의 생략은 줄임표(…)로, 문 장이나 완전한 생략은 중점줄임표(……)로 표기한다. ㆍ각주에서 바로 앞주의 인용 저술이나 논문을 재인용할 경우 ‘위의 책’, 혹은 ‘위의 논문’ 으로, 이전에 이미 인용한 저술이나 논문을 재인용할 경우에는 ‘앞의 책’, 또는 ‘앞의 논 문’으로 통일한다. ㆍ모든 한문은 반드시 본문에서 우리말로 번역하여 인용하고 각주에서 원문과 함께 출처 를 표기한다. ㆍ기타 사항은 일반적인 논문 작성요령에 따른다. 6. 논문 구성 및 체제 논문 제목 ㆍ 집필자 성명 및 소속(공동집필의 경우 제1집필자와 구분명시) ㆍ 목차 ㆍ 한글요약과 주제어 ㆍ 본문 ㆍ 참고문헌 ㆍ 영문초록(Abstract)과 및 키워드 ※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저작권은 투고자 뿐 아니라 본 학회에도 있음을 알려드리며, 게재된 논문은 학회 홈페이지와 한국연구재단 KCI, 기타 온라인상에서 무상 혹은 유상으로 서비스 된다. ※ 한국연구재단과 학교를 포함한 연구소 등 소속 기관 및 조계종의 지원 논문은 30만원의 게재료를 납입해야하며, 이 경우 논문 첫 페이지의 사사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 문의사항 연락 담당자 : 간사 한제인 (010-4797-9296) 전화 : 02)581-3137, 3138 팩스 : 02)581-3137 Email : jungtohak@naver.com ----------------- 학위논문 작성법 � 논문작성가이드/학위논문작성법 � 2018.08.06 12:59 일반적인 학위논문작성법을 안내합니다. 작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서관 소장 학위논문 작성법 관련 단행본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학위논문이란? 학위 취득을 목적으로 어떠한 주제에 대해 저자가 자신의 학문적 연구 결과나 의견, 주장을 논리에 맞게 풀어 써서 일관성 있고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체계적으로 쓴 글 학위논문 제출 과정 논문 예비계획서 작성 내용 논문예비계획서를 통해 연구에 대한 논리적인 일관성을 유지, 논문이 완성되었을 때의 예상되는 내용, 구체적인 조사방법, 참고자료의 규모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논문예비계획서에 포함되어야할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연구의 필요성 � 연구의 목적 � 연구의 의의(기여도) � 이론적 배경 � 가설의 설정 � 기대되는 결과 � 참고문헌 학위논문의 요건 � 주제, 연구방법, 결과의 독창적이어야 한다. � 내용이 정확하여야 한다. � 논문의 구조, 연구가 치밀하여야 한다. � 연구방법, 연구결과가 윤리적이어야 한다. 학위논문의 구조 목차의 구성 목차는 논문내용의 계층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조화 되어야 하며 장, 절, 항의 3단계까지만 기술한다. <목차 구성의 예시> 본문의 작성 1. 서론 � 서론에는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연구의 방법론, 특수용어의 정의, 선행연구, 가설 등을 기술한다. � 서론에서 기술되는 모든 사항은 본론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질 내용을 간추려 미리 소개하는 것이기에 논문의 전체적 흐름으로 본다면 미래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본론 � 논문을 가장 논문답게 하는 핵심적인 부분으로 서론에서 소개한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자신의 연구 과제를 논리적으로 전개한다. � 필요한 경우 선행 연구로부터 지원을 받는다. � 내용의 효율적인 표현을 위해 표, 도표, 그림을 사용한다. � 본론의 서술 형태는 현재형을 사용한다. � 서론이나 결론과 달리 본론이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3. 결론 � 논문을 마무리하는 부분으로 본문의 요약, 연구의 결과 및 성과, 연구의 문제점과 향후 연구의 과제 등을 기술한다. � 결론의 서술 형태는 진행된 연구를 요약한 것이므로 과거형 사용한다. 표의 작성 표의 사용 목적은 문자에 의해 표현되는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항목간의 관계가 명확하게 작성한다. 1. 표의 위치 � 관련 내용의 기술이 끝난 다음에 작성한다. � 표의 수가 많을 경우 본문에서 설명을 하도 부록으로 처리한다. 2. 표의 모양 � 본문의 목과 같거나 약간 작게 작성한다. � 세로선은 표가 막히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가로선만 사용한다. 3. 표의 제목 붙이기 � 표의 제목은 표 번호를 먼저 표시하고 마침표를 찍거나 표 번호를 괄호 등으로 싸줌으로서 식별이 용이하게 표현한다. � 표의 제목 뒤에는 구두점을 찍지 않으며 표의 제목과 표 사이에는 한줄을 띄운다. 예) 표 1. 2017년 도서구입비 집행 현황 1. 2017년 도서구입비 집행 현황 표 1> 2017년 도서구입비 집행 현황 그림의 작성 1. 그림의 위치 � 관련된 본문과 가까운 위치에 작성한다. 2. 그림의 작성 요령 � 그림의 제목은 일련번호를 붙이고 마침표를 찍거나 괄호 등으로 묶어서 표시한다. 예) “그림 1.”, “圖 2.”, “fig 1.” � 그림의 종류가 많을 경우 드림번호는 그림의 종류별로 구분한다. 예) “그림 1.”, “지도 1.”, “사진 1.” � 그림의 제목 뒤에는 구두점을 찍지 않는다. � 그림의 제목과 그림 사이에는 한 줄을 띄운다. 인용, 주, 참고문헌의 작성 � 인용이란 다른 이의 글이나 생각을 빌어 와서 연구자 자신의 주장이나 이론을 정당화하는 행위이다. 아무리 사소한 부분이라 하더라도 타인의 논문에서 인용한 것이라면 인용의 근거를 정확하게 맞추어 출처를 밝혀야 한다. � 주는 본문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하며 본문의 하단에 작성한다. � 본문에서 인용한 모든 참고문헌은 논문의 말미에 모두 기술하여야 한다. 초록의 작성 � 초록의 내용은 간결하게 연구 목적, 연구방법, 결과의 핵심적은 부분과 제언으로 작성한다. � 초록은 본문에 사용한 언어로 작성한다. � 한글 논문에는 외국어(영어) 초록을, 외국어 논문에는 한글초록을 권말에 추가할 수 있다. 부록의 작성 본문에서 작성하기 번잡한 자료나 보충적인 성격을 내용을 기술한다. 경우에 따라 표나 그림을 부록으로 모아서 본문을 간결하게 하기도 한다. 감사의 글 감사의 글은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한 페이지 분량으로 논문 작성에 도움을 주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표현한다. 출처: https://khuresearch.tistory.com/11 [중앙도서관 학과전담연구지원서비스] https://item.jd.com/32176889906.html http://db.itkc.or.kr/ https://translate.googleusercontent.com/translate_c?depth=1&hl=ko&prev=search&rurl=translate.google.co.jp&sl=en&sp=nmt4&u=http://kabc.dongguk.edu/&xid=17259,15700021,15700186,15700190,15700256,15700259,15700262,15700265,15700271&usg=ALkJrhjIY4Z1MN0RxS_IO1gGYnaJtN-Kpg http://21dzk.l.u-tokyo.ac.jp/SAT/satdb2015.php http://kabc.dongguk.edu/ https://papago.naver.com/ 증일아함경(增⼀阿含經)(T.2, 558c) : “修習⽇光三昧。 所謂彌奚比丘是.” 5. 작성 시 주의사항 ★★★★★ ※ 본 학회에 논문을 투고할 경우 반드시 다음 사항을 준수해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1) 본문 : 편집의 일관성을 위하여 논문의 장, 절, 항, 목의 구분은 Ⅰ- 1 - 1) - (1) - ① 로 표시한다. 글씨체 : 신명조 / 글자크기 : 11포인트 / 줄간격 : 160 2) 인용문 : 본문보다 글자의 크기를 작게 하고 인용절 위와 아래의 한 줄씩을 띈다. 글자크기 : 10.5 포인트 / 줄간격 : 150 3) 각주 ★★ : 1), 2) 등으로 표시한다. 글자크기 : 9포인트 / 줄간격 : 130 동양어권 논문은 「 」(꺽쇠 한개짜리), 저서 및 학술지는 (꺽쇠 두 개짜리), 신문 등은 < > 또는 ≪ ≫로 표기한다. 쪽수 표기는 모두 영문자 ‘p’로 통일하여 표기하며 두 쪽 이상의 표기에는 숫자 사이에 ‘ - ’를 넣고 끝에 마침표를 찍는다.(문장의 경우에도 마침표 표기) ① 문헌 인용의 경우 <동양어권> 저자, 저서명, 출판장소: 출판사, 발행년도, 페이지. 예) 한보광, 정토삼부경, 서울: 여래장, 2000, pp.13-25. <서양어권> 저자, 저서명, 출판장소: 출판사, 발행년도, 페이지. ※ 서양어권 논문의 경우 “ ”, 단행본 및 잡지는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예) Heinrich Dumoulin, Zen Buddhism: A History, New York: Macmillan Pulishing Company, 1988, p.211. ② 논문 제목 및 品ㆍ篇 등은, <동양어권> 예) 강동균, 「정토사상에서의 본원사상」, 정토학연구 10집, 한국정토학회, 2007, pp.55-59. 蔡印幻, 1986 「新羅 眞表律師 硏究(Ⅰ)」 佛敎學報23 ; 1987 「新羅 眞表律師 硏究(Ⅱ)」 佛敎學報24 ; 1988 「新羅 眞表律師 硏究(Ⅲ)」 佛敎學報25 <서양어권> 예) David W. Chappell, “The Teachings of the Fourth Ch'an Patriarch Tao-hsin(580-651)”, Early Ch'an In China And Tibet, California: Asian Humanisties Press, 1983, p.89. ③ 대장경이나 韓國佛敎전서 등 원전에서의 인용. 전등록의 내용을 신수대장경에서 인용할 경우, 예) 傳燈錄(大正藏45, 247,하), “인용 내용” 宋高僧傳 卷14(大正藏50, 794.a~b). 一然 撰, 三國遺事 卷4, 「眞表傳簡」, 一然 撰, 三國遺事 卷4, 義解第五, 「眞表傳簡」(大正藏 49, 三國遺事 卷4, 義解第五, 「眞表傳簡」(大正藏49, 1007,b18), 三國遺事 卷4, 義解第五, 「關東楓岳缽淵藪石記」(大正藏49, 1008,a23), 三國遺事 卷4, 義解第五, 「心地繼祖」(大正藏49, 三國遺事 卷3, 塔像第四, 「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大正藏49, 卷 第三 > 제4 탑상(塔像第四) > 낙산이대성 관음 정취 조신(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 占察善惡業報經 卷上(大正藏17, X21n0370_001 占察善惡業報經玄義 第1卷 卍續藏 (X) » 第 21 冊 » No.0370 » 第 1 卷 [0406b06] 占察善惡業報經玄義 第1卷(卍續藏21, 0406,b06), 宋高僧傳 卷14(大正藏50, 794.a~b), 傳燈錄(大正藏45, 247,하), “인용 내용” 蔡印幻, 「1新羅 眞表。律師 硏究(Ⅰ)」, 佛敎學報 23, 1986 pp.12-13. 강동균, 「정토사상에서의 본원사상」, 정토학연구 10집, 한국정토학회, 2007, pp.55-59. 한보광, 정토삼부경, 서울: 여래장, 2000, pp.13-25. 표 1> 2017년 도서구입비 집행 현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