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본 보고서 (2)편에서는 러시아의 원유 수출 동향, 수출 인프라 및 수입국(중국, 한국 및 일본)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함. □ 원유 수출 ○ 원유 수출 동향 - 2000년 이후 러시아의 원유 생산 확대에 따라 러시아산 원유 수출도 급증해 2000~2004년에 걸쳐 매년10%를 크게 웃도는 증가를 나타냈음. 그 후, 원유 수출은 정체해 원유 생산이 감소한 2008년을 제외하고 2010년까지는 2억 5,000만t 전후로 추이하였음. 그러나, 2010년을 경계로, 원유 생산은 점차 증가하는 반면,수출 감소가 눈에 띄기 시작, 2014년은 전년 대비 5.6% 감소한 2억 2,340만t에 그쳤음. ○ 원유 수출 촉진을 위한 세제개혁 - 러시아 정부의 대담한 세제개혁을 통한 석유 수출 촉진 시책에 힘입어 2015년 상반기 원유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하였음. 아직, 개혁은 시작단계지만 향후 3년간 그 동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음. ○ 원유 수출 루트 - 러시아에서는 각 유전에서 생산된 원유를 주로 파이프라인을 통해 직접 수요국가와 수출 터미널항까지 수송하는 방법으로 수출하고 있음. 또, 파이프라인이 정비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소량이지만 철도탱크차 등으로도 수송되고 있음. ○ 러시아산 원유의 수입국 ㅇ 중국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동향 - 중국의 러시아 원유 수입은 1998년의 14만t에서 시작해, 10년 후에는 1,500만t대에 달하였음. 2010년 10월 ESPO 파이프라인의 완성으로 급증하며 2014년에는 전년 대비 35% 증가한 3,310만 7,000t으로 확대되었음. - 2014년 중국에서는 원유 수입의 중동의존도가 52.1%였음. 중국은 구미에 비해 중동의존도가 높지만 일본이나 한국에 비하면 매우 낮아지고 있음. 러시아와의 협력관계 확대로 원유 소스의 다양화는 성과를 올리고 있음. ㅇ 한국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동향 - 최근 한국은 중동산 원유의 안정공급을 꾀하는 한편,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통해 원유 소스의 다양화를 꾀하려 하고 있음. 한국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은 2000년의 135만 6,000t에서 증가로 전환해 2010년에는 672만 7,000t으로 급증하였음. 그 후, 2014년은 535만 4,000t으로 한국 원유 수입의 4.3%를 점하고 있음. ㅇ 일본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동향 - 일본은 2001년부터 Vityaz 원유의 수입을 개시하고 2006년부터 Sokol 원유의 수입이 더해졌음. 또, 2014년에는 사할린-2의 신 브랜드 원유인 Sakhalin Blend 원유의 수입도 개시하였음. 사할린산 원유 이외에서는, ESPO 파이프라인의 Phase-1이 본격 가동한 2010년부터 ESPO 원유의 수입을 개시하고 있음. - 일본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증가에는, ESPO Pipeline 및 사할린 1·2가 크게 공헌하고 있음. 2014년 일본의 중동의존도는 약 83%로, 중동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러시아산 원유의 수입 확대가 중요해질 것으로 보임. ㅇ 그 밖의 아시아 국가들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동향 - 2014년 5월 베트남 국영 Petro Vietnam은, Rosneft와 25년간에 걸쳐 연간 600만t의 ESPO 원유를, 동 사 Dung Quat 정유소에서 처리하는 것에 합의하였음. 동 원유는 러시아의 Kozmino항에서 수출됨. 이 밖에 말레이시아와 태국 등도 ESPO 원유의 수입을 증가시키고 있음. - 한중일을 제외하고 아직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량은 적으나, ESPO Pipeline 가동 전인2009년과 2014년을 비교하면, 각국(말레이시아 : 0 ⇒ 165만t, 태국 : 8만t ⇒ 151만t, 싱가포르 : 43만t ⇒ 143만t, 필리핀 : 27만t ⇒ 120만t) 모두 수입량을 증가시키고 있음. □ 맺음말 - 본 보고서에서는 러시아산 원유의 수입을 둘러싼 러시아 및 아시아 국가들의 동향을 보고하였음. 일본으로서는 경제성, 중동의존도 경감을 통한 에너지 안전보장의 향상, 기술상의 과제, 타 경쟁사와 국제 정세 등을 충분히 고려한 상태에서, 향후에도 러시아산 원유 수입 증가에 대한 가부(可否) 판단 및 러시아의 동향에 주시가 요구됨.
자료 출처 : http://www.pecj.or.jp/japanese/minireport/pdf/H27_2015/2015-016.pd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