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수필쓰기에 변화를 주어야 한다는 주장을 해왔다. 앞의 이동민 수필세계 10, 에서도
주장하면서, 예문도 올렸다.
이 예문이 더 맞을 듯하여 여기에 올린다.
어우동 회견기*
미투 운동으로 세상이 어수선하니 문득 성문제로 조선사회를 떠들썩하게 한 어우동을 만나보고 싶었다. 틀림없이 하고 싶은 말이 많으리라 싶다. 그 말이 무엇인지 듣고 싶어 시간 마차를 타고 500년을 거슬러 갔다. 어우동은 치마의 허리춤을 바싹 조여 메고서는 버드나무가 줄지어 서 있는 개울가에서 엉덩이를 살랑거리면서 어슬렁거리고 있었다. 나는 가까이 다가가서도 말을 붙이지 못 하고 머뭇거리기만 했다. 미색으로 따진다면 사내들의 마음을 뻬앗고도 남을 정도였다. 나이가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몇 대인지도 모를 만큼 아득히 올라가지만, 그래도 시간여행을 하여 만나니 새악씨 같은 모습이라서 할머니라는 말이 쉽게 나오지 않았다. 그녀는 인기척을 느꼈는지 흘깃 나를 돌아보았다.
“뉘시오? 행색을 보니 여기 사람은 아닌 듯하네.”
“아닙니다. 여기 사람이 맞습니다. 그러나 이 시대 사람은 아닙니다.”
“왜 내 꽁무니를 졸졸 따라다녀요. 당신도 내 몸뚱아리가 탐이 나오. 몸만 주면 부귀영화를 누린다고 거짓말을 하려는 참이었어요.”
“저어, 그런 사람이 아닙니다. 아가씨, 아니 할머니께서, 이것도 아닌 것 같고, 그냥 어우동씨라고 부르겠습니다. 신문사라는 것이 있거든요. 거기에서 일을 하는데, 매일 매일 글을 써야 밥을 먹고 사는 곳입니다. 어우동씨에 대한 글을 쓰려고 이 먼 시간을 여행했습니다.”
“무슨 소리인지 전혀 알아들을 수 없는 말만 해대네. 나도 바빠요. 여기서 님을 만나기로 해서 기다리는 중이니 요점만 물어보세요.”
“남자와 몸을 섞지 않으면 살 수가 없습니까?”
“왜 못 살아. 사람은 밥만 먹으면 살 수 있지.”
“그런데, 왜 바람을 피우다가 목숨마저 잃었습니까?”
“그 점에 대해서는 무척 억울하네. 당신이 찾아 온 것을 보니 내가 요녀라는 이름으로 수 백 년 동안 살았다는 것이 아닌가.”
“우리는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그렇게 알고 있다면 그렇게 알게나. 그래야 글쟁이들이 파먹고, 또 파먹겠지. 그래야만 팔리는 글을 쓸 수 있잖아. 당신도 나를 팔아서 밥줄이라도 지키려고 찾아오지 않았어?”
“그렇기는 하지만------.”
“먼 시간 여행이 가상하여 말 함세. 이 나라는 어인 일인지 사내란 종자들은 밤 낮 없이 기집 치마 밑을 들쑤시고 다녀도 아무렇지도 않아. 나처럼 반가집에 시집 간 여자는 일년 중에 사내의 손 길을 몇 번이나 맛 보는지 알아.”
“우리도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어우동씨는 사내 밝힘이 좀 심하다고 소문이 났던데요.”
“소문이 나려면 나라지. 내가 잘못이 아니고 여자는 사내를 찾아다니지 말라는 이 나라 법이 잘못된 거지. 나도 사내가 그립더라구. 그래서 찾아나셨을 뿐이라구. 다른 뜻은 없었어. 당신이 사는 세상은 여자들도 큰 소리를 치고 산다면서.”
“우리 세상도 그렇지는 않아요.”
“한 마디 더 하리다. 자기들은 마음대로 여자를 건드리고 다니면서 자기 마누라는 족쇄를 채웠거던. 내가 본보기가 된 거야. 나를 이 세상에서 둘도 없는 요녀로 만들어 놓고는 어우동이를 봐라. 네 년들은 죽을 수도 있어 라고 경고장을 보낸거지. 나보다 더 재미있는 년이 있어. 내가 소개해줄테니 거기를 찾아가 보게.”
“누구인데요.”
“젊은 기생년이야.”
나는 어우동씨가 써 준 소갯장을 들고 초가를 찾아가서 사립문을 조심스레 열고 안으로 들어갔다. 조금 있으니 제법 아름다운 자태를 한 여자가 집에서 나왔다.
“어우동씨가 찾아가 보라고 해서.”
“그 언니 웃기네. 천한 기생한테 사내를 보내다니. 이제는 기생 짓 안 하는데.”
“그게 아니고. 절개를 지키려다 매만 맞았다고 해서 어인 연유인가 싶어서 찾아왔어요.”
“아. 그 일. 아, 글세 곰보든, 곰배팔이든 양반이라면 덮어놓고 수청을 들라지 않소. 나도 어우동씨처럼 멋있는 사내를 고를 수만 있었다면 수청들었지요. 개차반 같은 사내가 꼴에 권력을 쥔 양반이라고 수청을 들라지 않소. 그래서 거절한 죄 밖에 없어.”
“명령 거역죄로 매를 맞았다면서요.”
“억울해서 한 마디 했지. 세상에 법이란 것은 사람을 같이 대하여야지 어우동씨는 음란했다고 목숨을 뻬앗고, 나는 절개를 지키겠다고 매질을 하니 이런 법이 어디에 있소, 했지.”
“그 시대에도 당신이 한 말이 옳다고 여긴 선비도 있었나 봐요. 성현이라는 분이 당신 이야기를 용제총화라는 책에 남긴 것을 보면.”
“그랬을 수도 있겠네요. 허지만 네깐 기생년이 반가 여자처럼 절개를 말하다니, 하는 가소롭다는 뜻으로 올릴 수도 있었잖아요.”
그 기생은 더 이상 말을 하지 않고 집 안으로 들어가 버렸다. 나는 성현 선생을 만나 볼까 하다가 질문거리가 생각나지 않아서 시간 마차를 타고 다시 우리가 사는 세상으로 돌아왔다.
문학 모임에 갔다. 남자분이 여자 사이에 앉아서 열심히 조선 시대 남자의 멋있는 풍류를 퍼트리고 있다. 벽계수도 있었고, 떠돌이로 살던 환쟁이도 있었고 시인도 있었다. 남자의 욕망을 멋으로 포장한 것이 풍류라면, 풍류 뒤에는 어우동도, 매를 맞은 기생도 있을 것이다. 요즘의 미투 운동을 보면 문단의 권력자도, 연극계의 대부도, 유명 배우도 시대를 잘 만났으면 풍류객이 되어서 부러움을 샀을 텐데. 성추행범으로 몰려 성도착증 환자 신세가 되었으니 시대 한탄이나 해야겠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