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카라바조의 그림 <젊은 바쿠스>에 대해서 백과사전에 수록된 내용이 앞뒤가 좀 안 맞는 해석이라는 생각이 든다.
카라바조가 그린 바쿠스는 포도주의 신인 디오니소를 그린 것이니까, 이 그림은 장인적인 바쿠스를 그렸다고 보아야 하지 않을까? 전반적으로 그림 속의 바쿠스는 어떤 노동과 관계가 있다고 보인다. 포도가 시들어 가는 것은 먼저 시들려야 포도주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단맛과 산도는 과일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높아지기 때문에. 그리고 바쿠스 손톱에 때는 포도주를 직접 만들었다는 의미가 되지 않을까. 그리고 만든 포도주를 바쿠스는 지금 시음하고 있는 것이다.
한가지 이상한 것은 유리 잔의 형태이다. 카라바조가 16세기 사람이니까...그 당시의 유리잔을 그렸을 텐데, 검색해 보니 저런 형태의 유리잔(와인 글라스)은 쿠프 글라스인데, 쿠프는 카라바조 이후에 나온 거 같은데.., 카라바조는 와인 잔 위의 형태는 안 그린 것일까? 원래 저런 잔인가?
바쿠스의 얼굴은 중성 형태에 가깝고 마치 동양 화장을 한 듯한, 그리고 손은 붉은 데, 이건 술 때문이라기보다는 그을렸거나 술 담그느라고 손을 많이 사용했다는 것이지 않을까. 바쿠스의 실제 모델은 카라바조의 친구로 추정된다고 하는데.......
물론 인생이란 백과사전 안의 내용처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4XX49700057>
"시간이 다해 모든 것이 사라지기 전 즐길 수 있을 때 즐기자는 뜻으로 읽을 수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존재하는 모든 것은 언젠가는 사라진다는 허무함에 대한 은유이기도 하다."
카르페 디엠은 허무하니까 더 가치가 있는 것처럼, 반면에 현재가 지나가지 않으면 미래도 없다. 술은 발효가 되어야 제 맛이 드러난다. 그러니 시간의 허무함은 곧 변화이기도 하다. <젊은 바쿠스>는 바로 현재와 시간의 허무를 딛고 일어나는 변화에 관한 이야기가 아닐까. 언젠가는 다 사라진다는 그 허무함이 과연 현재를 즐길 수 있는 힘을 줄 수 있을까? 현재를 사는 힘은 지나가는 현재의 허무가 변화하여 새로운 것이 되는 바로 그것에서 오는 것이지 않을까. 바로 그것이 아모르 파티라고......
2.
카라바조 자화상을 젊은 그보다 더 어린 유년 그보다 더 어린 5세 이하 시절의 얼굴을 생각하며 수정해 보았다. 물론 폰에서 앱 기능으로. 수염은 완벽히 지워지지 않고 오히려 얼룩만 생겨서 더 지저분해졌다. 그대로 두었다. 피부와 얼굴 형태만 바꾼 셈이다.
카라바조가 그린 바쿠스 얼굴은 아주 어린 아동의 3~5세 정도에 나타나는 얼굴 모양이라고 생각한다. 포동하고 볼이 볼록하고 턱의 윤곽이 아직 드러나지 않은...,
그리고 불화의 보살상은 턱쳐짐이 그려져 있지만 그것을 제외하면 불화의 보살상도 턱선이 드러나지 않은 형태이며, 바쿠스 그림처럼 화장한 듯한 모습이고 중성적이다.
바쿠스의 얼굴 모델을 카라바조의 친구라고 추정한다고 하는데, 내 생각에는 바쿠스의 얼굴은 카라바조 자신의 모습을 그린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미 여러 작품들에 자신의 얼굴을 넣은 카라바조이니 이상할 것은 없다고 생각된다. 휘어진 검은 눈썹 모양은 카라바조와 거의 유사하다. 그리고 눈매 모양도 그러하고, 입술 모양도 그러하다. 카라바조가 그린 바쿠스의 얼굴은 카라바조의 5~6세의 얼굴 모습과 어떤 현재의 의식을 담은 것이지 않을까. 바쿠스의 손의 빛깔은 화가 자신의 손인지도 모른다.
*사진 이미지는 모두 모셔 온 이미지입니다~~
#카라바조_젊은바쿠스
#와인글라스
#바쿠스포도주_장인
#바쿠스포도주_시음
#술의신이려면만들줄도맛볼줄도알아야지_그냥주는거마시기만한다면_디오니소스적이아닐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