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이야기제 608화 ♡
[ 경복궁 ]
조선의 으뜸궁궐로 조선왕조의
法宮인 경복궁의 가을야간관람.
9월21일(목)사진
2023가을 경복궁야간관람안내.
65세이상은 신분증제시.바로 입
장가능
흥례문-정문인 광화문과 근정전
정문인 근정전사이 中門으로 중
층목조건축물
흥례문앞 마당에서 인왕산너머
해지는 모습.노을
근정문-조선왕실을 상징하는 근
정전의 대문.보물지정
근정전-경복궁의 正殿으로 경복
궁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건물로
왕의 즉위식이나 외국사절접견
등 국가공식행사를 치르던 곳.
근정전내부 용상과 일월오봉도.
천정
경회루-왕이 신하들에게 큰연회
를 베풀거나 외국사신을 접대하
던 곳. 국보제 224호. 수양버들
경회루내 북악산과 하향亭.
경회루中門동편에서 본 경회루.
함원전-교태전서쪽에 위치. 단층
의 팔각지붕
아미산과 굴뚝-교태전의 후원으
로 화단을 계단식으로 쌓아만든
화계(花階).
교태전- 왕비의 침전.
강녕전- 왕의 일상생활공간인
침전.
사정전- 왕의 집무실인 편전으로
왕이 공식업무를처리하던 곳.
사정전내부 일월오봉도.
(다섯개의 산봉우리. 해와 달)
근정전옆문에서보니 천정에 두
마리의 용(雙龍)그림.
근정전앞에서 본 인근 광화문빌
딩숲 야경모습.
[ 창덕궁후원 ]
한국전통정원의 진수를 보여주
는 궁궐의 뒷동산으로 왕과 왕실
가족의 휴식을위한 공간이자 왕
이 주관하는 야외행사가 열린곳.
야간관람을 인터넷신청하였으나
참가인원이 많아 부득이 주간관
람.사전예약으로 비오는것을 무 릅쓰고 관람. 사진이 흐려서 보정
조치하였읍니다.
9월13일(수)사진
창덕궁내와 후원가는 길.
비가 와서 한적하였습니다
창덕궁후원내 부용지와 주합루.
부용정.
주합루- 왕의 휴식처이자 학문과
교육중심지로 1층규장각과 2층
책열람실이있습니다.정조원년인
1776년창건된 2층누각건축물
비가 오고 날씨가 흐려서 원본
사진에 밝기보정하였음.
영화당- 왕이 참석하는 과거시험
이 치러졌던 곳.
금마문- 효명세자가 독서를위해
만든 소박한 전각인 기오헌과 의
두합으로 들어가는 문.
의두합과 운경거- 효명세자가 기
거하며 공부하던 곳.
불로문- 왕들의 불로장생과 무병
장수를 기원.
애련池- 숙종이 연꽃을 좋아해서
특별히 만들어놓은 연못. 정자
승재정.
존덕정- 천정에는 쌍룡이그려져
있고 지붕이 두개로 구성.
존덕정과 폄우사. 정조의 교시가 있음. (萬川明月主人翁自序)
관람지.관람정- 우리나라유일한
합죽선모양의 관람정
선향제- 연경당사랑채옆에 서고
로 쓰였던 곳.
장락문- 낙선재의 정문.
장락문앞 작은 연못.
창덕궁후원에서 출구.
낙선재일원
낙선재- 헌종13년에지은 전각으
로 경빈金氏를위해 지었으며 구
한말 이방자여사가 거처하던 곳
으로 우리나라보물로 지정.
석복헌- 헌종때지어졌고 왕비와
대왕대비를 위해 마련한 건축물.
낙선재 현판.
낙선재뒷뜰.
승화루- 낙선재뒷쪽 누각으로 세
자의 독서와 휴식을 위한 공간.
희정당- 왕의 생활공간이자 편전
의 기능을 대신하던 곳.
선정문.
선정전- 왕이 평상시 나랏일을 보시는 편전
인정문.
인정전- 창덕궁의 正殿으로 왕
의 즉위식이나 외국사신접견등
나라의 공식행사를 치르던 곳.
인정전내부모습.
용상과 일월오봉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