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 압박에도 美 연준 금리 동결 결정... 4.25∼4.5% 유지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연준은 29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4.25~4.50%로 동결했습니다.
이에 따라 9월 0.5%p, 11월과 12월
각각 0.25%p로 이어지던 연준의 금리 인하 움직임이
새해 들어 멈추게 됐답니다.
연준은 트럼프 정책 방향성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브레이크를 밟은 것으로 풀이됩니다.
또한, 연준의 이번 결정으로 3.0%인
한국과 미국 간 금리 차는 상단 기준으로
1.50%포인트로 유지됐는데요.
이날 연준은 FOMC 정례회의 후 성명을 통해
“실업률이 최근 수개월 낮은 수준에서 안정됐고,
노동 시장 여건은 여전히 탄탄하다”라며
“인플레이션이 약간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답니다.
파월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현재 연준의 통화정책은 기존보다 덜 제한적이고
경제는 강한 상황”이라며
“통화정책 기조 변화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라고 말했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과 관련해 파월은
“어떤 정책들이 실제로 실행될지 지켜보는 단계”라며
“관세·이민·재정정책과 관련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아직은 알 수 없는 상황이며
우리는 자세히 주시하고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예상.
미국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좋은 것으로
나왔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연준의
매파적 금리 동결에 시장은 요동쳤습니다.
이에 파월 의장은 매파적 정책 성명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언급이
어떤 신호를 보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설명하면서
인플레이션이 다시 오를 수 있다는
시장의 우려를 낮췄고 증시는 낙폭을 다소 줄였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 게시물에서
“제이 파월(연준 의장)과 연준은
자신들이 인플레이션으로 만든 문제를
멈추게 하는 데 실패했다”라고 말했답니다.
이어 “나는 인플레이션을 멈추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일을 할 것이다.
재정적 측면 등에서 미국을
다시 강력하게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이 은행 규제에 대해 한 일은 형편없었다”라며
“재무부가 불필요한 규제 감축을 위한
노력을 주도할 것”이라고 했답니다.
더불어 그는
“연준이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와
성(gender) 이데올로기, 청정에너지,
‘가짜’ 기후변화에 시간을 덜 썼더라면
인플레이션은 절대 문제가 되지 않았을 것인데,
우리는 미 역사상 최악의 인플레이션으로
고생했다”라고 덧붙였답니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연준이 독립적으로 판단해
향후 경제정책의 신뢰를 다지는 데
기여를 했다고 긍정적으로 보지만,
트럼프와 파월의 신경전이
어떤 파장을 일으킬지 미지수인 점에서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美 연준의 금리 동결 결정에 대해
향후 금리 속도 조절에 관해 발 빠르게 논의했답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를 주재했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함께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와
미국 신정부 정책 구체화 등에 따른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답니다.
앞서 미국 FOMC는 24.8월 이후
5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동결(금리상단 4.50%)했습니다.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추가 금리 조정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언급하면서
향후 정책 뱡향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고수했답니다.
국제금융시장은 기준금리 동결 등
회의 결과를 예상된 수준으로 받아들이면서,
주가·금리 등 주요 지표가
대체로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였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