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선운산도립공원 탐방 도보
2015.4.7(화)
여행4일차 - 방장산자연휴양림을 출발하여 고창 선운산도립공원을 탐방합니다.

선운산도립공원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마음이 편안해지고 느긋해집니다.
좋은 땅이란 사람의 마음을 평안하게 하는 터가 아닐런지요.

선운산도립공원으로 접어들면서 제일 먼저 눈에 띄는 것이 바로 천연기념물 제367호 송악이다.

송악이라는 덩굴식물 자체를 다른 곳에서 본 적이 없기도 하거니와 그 크기에 놀라게 됩니다.

선운사 벚꽃길이 길손을 반깁니다.

계곡의 물이 검게 보인다고 하여 절대 오염된 것이 아니라는 도립공원측의 안내문입니다.

禪雲寺 洞口(선운사 동구)
- 미당 서정주
禪雲寺 고랑으로
禪雲寺 동백꽃을 보러 갔더니
동백꽃은 아직 일러 피지 않았고
막걸릿집 여자의 육자백이 가락에
작년 것만 오히려 남았읍디다.
그것도 목이 쉬여 남았읍디다.
이번 여행의 마지막 코스로 선운사를 택한 건 그 유명한 선운사 동백꽃을 보고 싶었기때문이었습니다.

여행예정코스는
<선운사 - 장사송 - 도솔암 - 천마봉 - 낙조대 - 용문굴 - 소리재 - 참당암 - 수리봉 - 마이재 - 석상암 - 선운사>입니다.

<선운사 일주문>
일주문 현판에는 도솔산 선운사로 씌여있습니다.

<선운사 부도전>

<선운사 사계>

<선운사 천왕문>

<선운사 만세루>

선운사 영산전(우측 전각)


<선운사 육층석탑>
본래는 9층탑이었다고 합니다.

<선운사 동백숲 - 천연기념물 제184호>

동백숲에서는 동박새들이 쉼없이 울어댑니다. 가지와 가지사이를 찰나에 이동합니다.
동백(冬柏)은 이름처럼 겨울에 꽃을 피운다. 동백나무는 어떻게 가루받이를 할까? 동백꽃은 충매화(蟲媒花)가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한 조매화(鳥媒花)이다. 수분(受粉)을 벌, 나비가 아닌 새가 한다. 추운 겨울에는 벌, 나비와 같은 곤충들이 날아다니지 않는다. 동백꽃의 꿀을 먹으면서 대신 가루받이를 맡고 있는 새가 동박새다.
이들에게도 슬픈 이야기가 있다.
옛날 욕심 많고 포악한 왕이 있었는데 그에게는 착하고 어진 동생이 있었다. 임금은 아들이 없어서 자기가 죽게 되면 동생의 두 아들 중 하나에게 자리를 물려줄 수밖에 없었다. 왕은 그것이 싫어서 기회만 있으면 조카들을 죽일 계획만 하고 있었다. 이를 눈치 챈 동생이 자기 아들은 감추어 놓고 다른 두 아들을 양자로 키웠다. 어느 날 왕은 그 양자를 모두 죽여 버렸다. 그러나 왕이 속은 사실을 알고 멀리 보낸 동생의 두 아들을 잡아와 동생보고 네 아들이 아니라니 네가 직접 죽이라고 명령 했다. 동생은 자신의 아들을 죽일 수 없어 스스로 자결하여 붉은 피를 흘리며 죽었고,
이를 보던 두 아들은 새로 변하여 날아가 버렸다. 동생이 죽은 자리에 꽃을 피운 게 동백꽃이고,
두 아이는 새가 되어 동백나무 곁을 떠나지 않고 지키게 되었다.

<선운사 대웅보전>

대웅보전에서 삼배를 올립니다!

방하착 - 행운은 마음을 내려놓는 오랜 수행 끝에 얻어지는 소중한 선물이라고 하네요.

예쁜 선운사 돌담길입니다.

단지 나이만 먹었다면 그는 헛되이 늙은 사람이라고 불린다는 법구경의 말씀입니다.

유순하게 흐르는 물소리를 들으며 시냇가 반석에 앉아 차 한잔의 행복을 누린 후 길을 나섰는데
건강에 심각한 이상증상이 나타납니다. 무아님은 즉시 집으로 돌아가자고 합니다.
그러나 차마 발걸음을 되돌릴 수 없습니다. 어떻게든 도솔암까지라도 다녀오기로 합니다.
애써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태연하게 평정심을 유지하려 노력해봅니다.

꽃이 피는 건 힘들어도 지는 건 잠깐이더라는 싯귀가 귀전에 맴돕니다.
건강을 지키는 건 힘들어도 잃는 건 잠깐이라는 생각도 스쳐갑니다.

선운사에서 도솔암까지는 골짜기를 따라서 사람다니는 길과 차 다니는 길이 따로 있습니다.

선운사 도솔암 장사송(천연기념물 제354호)입니다.


장사송 뒷편에 있는 바위굴인 <진흥굴>입니다.

<진흥굴>에서 밖을 내다봅니다. 색다른 풍경을 느끼게 됩니다.

오래전에 올랐던 기억이 뚜렸한 <낙조대 - 천마봉 - 용문굴>은 이번 여정에서도 꼭 올라보고 싶은 곳이었으나
갑작스런 건강이상으로 도솔암만 참배하기로 합니다.

<도솔암 극락보전>

<도솔암 조망>


<도솔암 마애불 - 보물 제1200호>



도솔천 내원궁으로 올라갑니다.

가파른 돌계단길을 오릅니다.

거대한 절벽위에 위치한 도솔천 내원궁입니다.

<도솔천 내원궁 조망>

<도솔천 내원궁 조망>

<선운사 도솔암 지장보살좌상 - 보물 제 280호>
도솔천 내원궁에서 간절한 기도를 올립니다.

도솔암을 참배하고 서둘러 선운사로 내려옵니다.

<선운사 장애인탐방로>

선운사 벚꽃길을 따라 선운사주차장으로 돌아왔습니다.
즐겁고 행복한 여행중에도 병마는 예고없이 찾아옵니다.
어둡기전에 무사히 집에 도착할 수 있기만을 바라면서 서둘러 출발합니다.
4시간의 운전끝에 오후 6시30분 무사히 귀가하여 3박4일의 여정을 마무리합니다.
첫댓글 먼길 탑방과 도보길 여행 좋은날에 잘 다녀 오셨네요
소중하게 담아 오신 풍경들 감사히 편하게 보는 즐거움을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즐겁고 행복한 여행중에도 병마는 예고없이 찾아옵니다.
(이 구절이 무슨 내용일런지 생각을 해봤습니다)
그져 모든것이 무탈 하시길 빕니다
이번 여행은 집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을 만큼 행복한 여정이었습니다.
여행중에 발생한 건강문제는 시간이 좀 더 지나면 회복되리라 믿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곳갔다오셨네요
복분자가 유명한곳..
즐감..
복분자와 풍천장어가 유명한 곳이지만 맛도 못보고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