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리스어 | 라틴어 | 영어 | 한글 |
|
ousia | substantia | substance | 실체. | 실체. Kath auto, per se, in itself 자체로서 존재하는 것들. 주어 |
poion | qualitas | quality | (성)질 | 우유. Kata symbebekos, per accidens 우발성. 술어. 어떤? 어떠함. 겪음. 성질 형용사 |
poson | quantitas | quantity | 양 | 수량 형용사. 근대이후 과학은 양을 특권화함 |
Pros ti | relatio | relation | 관계 | 多를 전재. 논리학 |
poiein | actio | action | 능동(행위/행동) | 타자에게 작용을 가하기도 하고 타자에 의해 작용을 받기도 하는/할수 있는 힘을 가진 것 |
paschein | passio | passion | 수동(겪음) |
|
echein | habitus | state | 상태/습관 | 가지다. 지속적으로 가지고서 살아가는 것 |
pote | quando | time | 시간 |
|
pou | ubi | place | 장소 | 공간이 아님. 사물들이 이미 있는 그 상황에서의 위치들과의 관계. 위치와 구별 |
keistai | situs | position | 위치 |
|
포르퓌리오스
그리스어 | 라틴어 | 영어 | 한글 |
genos | genus | genre | 유/장르 |
eidos | species/forma | Species/form | 종 |
heteroion | differentia | difference | 차이 |
idion | proprium | property | 특성/특질 |
symbebekos | accidens | Accident(al being) | 우유, 우발적 존재들 |
3. 선험적 주체의 범주들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범주는 존재, 세계 자체의 범주. 언어로 표현된 범주는 객관적=존재론적 범주와 상응하는 한 의미있음. 사물과 언어사이 동형성 존재. 존재와 사유의 일치.
중세, 고전. 사물과 관념과 기호의 일대일 대응. 그들을 꿰어 주는 빛이 필요.
칸트. 철학의 구도 자체의 근본적인 변화. 객관성에 대한 의심. 존재와 사유의 일치라는 전제는 깨지고 어떤 패러다임으로 사물을 보느냐의 문제.
1.인식이란 일정한 인식틀에 입각해 이루어진다는 상대주의.
2.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현상계일뿐. 경험주의, 실증주의.
3.인식이란 대상과 사유의 일치가 아니라 사유가 대상을 일방적으로 구성하는 것. 주체철학
인식의 가능성의 조건에 대한 탐구. 보편성과 필연성이 세계 자체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의식의 구조에서 연원. 인간은 단순하게 경험만을 끌어 모으는 것이 아니라 모인 인식질료(잡다, data)를 인간의식이 가진 보편적이고 필연적인 틀(범주)을 가지고 구성. 범주를 통해 개념화 하고 판단이 성립하고 인식이 성립함. 판단이란 주어와 술어를 결합. 인식이란 감성의 틀을 통해 받아들여진 인식질료를 인간의 오성의 틀이 구성해서 보편성과 필연성을 부여하는 과정.
이성 1.감성 인식질료를 만들어 내는 기능
2.오성 감각질료들을 종합 구성, 통일성 부여. 오성의 틀이 범주. 판단을 통해 잡다를 종합.
3.사변이성 오성의 한계를 넘어서서 세계의 본질을 알려고 하는 인간의 경향
양 판단(주어)의 양 | 질 중점이 주어에서 술어로 이동 | 관계 명제들 사이의 관계 | 양상 가능,현실,필연 같은 개념들, 하나의 사태가 시간에 관련해 띠게 되는 성격 |
총체성.모두 | 현실성.-이다 | 실체와 우유 | 가능성/불가능성 |
다수성.여럿 | 규정성.-이 아니다 | 원인과 결과 | 현존/비현존 |
단일성.하나 | 제한성.-은 아니다 | 상호성 | 필연성/우연성 |
한계. 인간의 인식 가능성을 닫아버리는 인식론
1.공간적인 측면. 인식의 상대성. 유럽의 특정한 시대에 당대의 과학을 모델로 만들어진 인식론
2.시간의 측면. 인간의 범주는 시간에 따라 변해감. 새로운 경험이 새로운 범주를 만들어 냄
4. 르누비에와 아믈랭의 범주론
르누비에
헤겔의 변증법 구도. 실체범주 없음. 관계를 가장 근본적인 범주
수(數)범주. 칸트의 양범주에 해당.
위치, 계기범주. 시공간. 위치:점-공간-연장.(자리:점/극한-간격-연장)
질범주. 어떤 사물의 구체적 규정성. 하나의 종을 특징짓는 일반적인 질의 집합
생성범주. 관계에서 성립.
인과율범주. 목적범주. 인격성범주. 포괄적 범주론, 우주의 인격성 부여, 인격주의
아믈랭
범주를 시간에 다른 변화과정으로 배열함
범주자체가 관계의 범주
수에서 시작해 궁극적으로는 인격성에 이르는 변증법적 과정을 제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