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억 마리 정자는 난자 하나를 목표로 달려간다. 정자는 도중에 산성 물질에 죽거나 대식 세포에 잡아먹히기도 하고 길을 잃기도 한다. 고난의 레이스 끝에 단 하나의 정자만이 난자의 투명대를 뚫고 들어가 승자가 된다. 생명 탄생은 이렇게 수억 대 일의 확률로 정자가 난자와 만났을 때 시작되는 경이로운 과정이다.’ 지금까지 난자와 정자, 수정 과정은 대체로 이런 식으로 묘사되어 왔다. 정자는 자체적 추진력을 가진 능동적 존재로, 수정 과정은 이 능동적인 정자가 수동적인 난자를 포획하는 과정으로 설명되었다.
그런데 수정 과정을 이렇게 표현하면 어떨까? ‘거대한 정자 무리가 물결치듯 움직이며 어디론가 흘러간다. 때로는 벽에 부딪히고 또 때로는 끈끈한 점액 속에 허우적대면서. 무리의 일부가 난자에게 가까이 다가가 서성대면 난자는 잠시 시간을 두고 그중 하나를 끌어당긴다. 생명 탄생은 이렇게 까다로운 난자가 정자를 선택하며 시작되는 경이로운 과정이다.’ 이는 2020년 과학의 이야기다.
지난 6월 초 스웨덴 스톡홀름대학교 연구진이 <영국 왕립학회지>(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난자는 정자들이 경쟁하여 획득하는 목표물이 아니다. 난자는 화학 신호를 보내 스스로 선택한 정자를 끌어들인다. 정자는 난자의 여포액에 포함된 화학 물질에 반응해 이동하는 수동적 존재인 반면, 난자는 마지막 순간까지 수정에 적합한 정자를 골라내는 능동적 존재이다.지금도 많은 이들에게 익숙할 ‘경쟁적인 정자 대 조신한 난자’ 이야기는 사실 과학자의 실험실에서는 이미 1970년대부터 퇴출되기 시작했다.실험실 밖의 세상은 인간의 이 두 생식 세포에게 여전히 전통적인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를 부여하고 있지만 말이다.
첫댓글 역시 난자가 뛰어나네
나도 이거 얼마 전에 책에서 읽었는데 신기하더라! 나도 학교 다닐 때만 해도 경쟁적인 정자 대 조신한 난자로 그렇게 배운 거 같은데 이미 70년대부터 사라지는 추세였다니 ㅋㅋㅋㅋ
70년대부터 퇴출이면 90년대생은 당연히 다르게 알아야 하는건데,, 왜 우린 그렇게 배웠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