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오전 서울 강남구 중동고등학교에선 교과 수업 대신 ‘글씨 바르게 쓰기’ 강좌가 열렸다. 캘리그라피 강사가 1학년 학생 31명에게 “단어를 균형감 있게 덩어리 지어 쓰라”고 요령을 알려주자, 학생들은 5분간 A4 용지에 학교 교가를 써내려갔다. 집중했지만 알아보기 힘든 ‘지렁이 글씨’가 속출했다. 서로 글씨를 보며 “초딩도 이것보단 잘 쓰겠다”며 웃었다.
18일 서울 중동고 1학년 학생들이 ‘글씨 바르게 쓰기’ 수업 시간에 작성한 노트 필기(위)와 직접 쓴 교가 가사. 악필이라 알아보기가 어렵다. 손글씨에 서툰 학생들이 급증하자 이 학교는 올해 1학년을 대상으로 한글 쓰기 수업을 시작했다. /윤상진 기자
이 학교는 올해 1학년 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한글 쓰기 수업을 시작했다. 학생들이 디지털 기기의 ‘키보드’에 익숙해지면서 손 글씨에 서툰 학생들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이명학 교장은 “디지털 시대라고 해도 글씨는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이자 중요한 소통 방법”이라며 “성인이 되기 전에 바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학교는 7월 ‘글씨 쓰기 대회’를 열고, 전교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도 검토하고 있다.
인천 만수북중 박정현 국어교사는 “10년 전엔 잘 쓰는 학생이 한 반에 3~4명은 있었지만 지금은 한 명도 찾아보기 힘들다”고 했다. 시험 기간이면 교사끼리 학생이 써낸 답안을 두고 어떤 글자인지 ‘토론’하는 풍경도 빈번해졌다고 한다. 서울 한 고등학교 영어 교사는 “어떤 글자인지 헷갈려서 그 학생이 이전 시험에 썼던 답안을 다시 꺼내 ‘필적 확인’을 한 적도 있다”고 했다. 시험 때마다 ‘판독’이 어려운 글씨가 속출한다는 것이다.
17일 찾은 강남의 한 글씨 교정 학원은 5년 전보다 원생이 약 30% 늘었다고 한다. 주말이면 10평 규모 학원에 50명 이상이 몰린다. 이 학원 유성영(57) 대표는 “수행 평가가 많은 중학교에 들어가기 전에 글씨 연습을 시키려는 학부모 문의가 많다”고 했다. 수강생 중 여학생 비율이 10년 전엔 10명 중 1명 수준이었지만 최근엔 30% 이상이라고 한다. ‘여학생이 글씨 잘 쓴다’는 것도 옛말이다.
반면 손 글씨에 관심을 갖는 성인들은 늘고 있다. 유현덕 한국캘리그라피협회장은 “5년 전만 해도 캘리그라피에 관심을 갖는 2030 세대가 많지 않았는데 지금은 하루에 2~3명씩 수강 상담을 하고 있다”고 했다. 국가 자격증이나 행정∙외무고시 등을 준비하는 성인들도 글씨를 교정하러 학원으로 향한다. 기술사 시험을 준비한다는 임모(50)씨는 “합격자 답안지의 글씨가 가지런한 것을 보고 ‘내 글씨는 감점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3개월 전부터 학원에 다니고 있다”고 했다.
나 글씨 저런식이었는데 1등 놓친 적 없어 뇌구조 문제도 아니고 글씨 자체가 저런 건 문제가 아님…(문제라 생각해서 서체연습 오지게 하긴 했지만) 급하게 하느라 필기는 저지경이어도 시험볼 땐 채점할 선생님 생각해서 시간 더 들여서 또박또박 썼거든…지능(공감능력)과 배려심과 가정교육(남의 입장을 생각하는 역지사지 교육의 부재)의 문제임 남을 생각할줄 모르는 이기적인 마음+그걸 부추기는 부모+그런 이기적인 애들에게 오냐오냐 필적확인까지 제공하는 학교 환경이 진짜 핵심이고 문제야… 저런 애들한텐 0점 먹일 자격을 선생님께 부여해야지 사회인으로서 기본 자격인 소통과 역지사지가 안 되는데
남자애들 진짜 심함….
못알아보면 틀린거였는데…
하준이,동현이들 꼭 지들 얼굴처럼 쓰네
이게뭐임..
가정교육도 안 시켜? 지 애 글씨체에 관심이 없는 거야 아니면 콩콩팥팥이라 지도 저런 글씨체라 저러는 거야; 진짜 기본적인 가정교육을 안 시키네 집구석에서…
저런건 집에서 부모들이 안가르침?
나 글씨 저런식이었는데 1등 놓친 적 없어 뇌구조 문제도 아니고 글씨 자체가 저런 건 문제가 아님…(문제라 생각해서 서체연습 오지게 하긴 했지만) 급하게 하느라 필기는 저지경이어도 시험볼 땐 채점할 선생님 생각해서 시간 더 들여서 또박또박 썼거든…지능(공감능력)과 배려심과 가정교육(남의 입장을 생각하는 역지사지 교육의 부재)의 문제임 남을 생각할줄 모르는 이기적인 마음+그걸 부추기는 부모+그런 이기적인 애들에게 오냐오냐 필적확인까지 제공하는 학교 환경이 진짜 핵심이고 문제야… 저런 애들한텐 0점 먹일 자격을 선생님께 부여해야지 사회인으로서 기본 자격인 소통과 역지사지가 안 되는데
교내 대회 심사할 때 평소에 잘하는 친구인거 아는데도 글씨 못알아보겠어서 패스함
채점 자체를 못해
글씨를 안써서그래 울 아빠세대만해도 글씨 개잘쓰는데 할배들은 더잘쓰시고 ㅠ 우리세대만해도 악필많든디 요즘애들은 오죽할까 다 패드니뭐니해서ㅠ
요즘은 네모 점자칸에 궁서체로 글씨연습 안하나? 그게 기본인데
지금도 교과서에 있는데(3,4학년 국어생활 교과서) 애들이 회색 글자 위에 따라서 그리려는 노력조차 안해ㅋㅋㅋㅋㅋ 글씨 연습 하라고 하면 대충 아무렇게나 해오더라ㅠ 특히 남자애들..
개인적으로 악필은 천퍼센트 성의 문제라 생각; 자음모음받침 뭉뚱그려 덩어리로 만들어놓지만 않아도 읽을 수는 있음 독자가 읽든말든 휘갈기면 그만이라 저 지경 되는거임
상식적으로 시험은 좀 글씨 예쁘게 쓰려고 노력해야 하는 거 아니냐
아니 알아보게는 써야지 저게머냐 진짜...
저런건 다 틀린걸로해야함
글씨가 꼭 예쁠 필요는 없어도 좀 정상적으론 쓰자….이제 저것도 괜찮다고 뭔상관이냐고 빽빽 우기려나ㅋㅋㅋㅋㅋ
저거 거의 남학생들임
여학생들은 못써도 더정도는아님
존나 무슨 저게 글씨야 다 빵점처리해야함
똑바로 써ㅡㅡ
하나같이 싹 다 남자애들임ㅋㅋ 또박또박 쓰려는 성의조차 재기함
알아볼 수가 없으면 틀린 거로 해야지 참나 저게 뭐야
저새끼들 일부러 저렇게 쓰는거임. 알아볼 수 있게 쓸 때까지 안 보내주겠다고 하면 알아보게는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