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군함도 등 근대산업시설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후 10년 가까이 지나도록 '전체 역사'를 알리라는 국제사회의 권고를 무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또 다른 강제노역 세계문화유산인 사도광산 추도식 파행에 이어 군함도 약속 불이행까지 연속으로 약속을 어기고 있는 셈이다.
韓 요청, 사실상 전부 무시
1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 따르면 일본은 지난해 12월 1일 근대산업시설과 관련한 '후속 조치 보고서'를 세계유산위에 제출했다. 이는 지난해 9월 컨센서스(표결 없는 전원동의)로 채택된 결정문에 따른 것이다. 당시 유네스코는 일본에 "관련국과 대화하고 '전체 역사(full history)를 알리겠다'는 기존 약속을 지키라"고 주문한 뒤 진전 사항을 담은 보고서를 제출하라고 요청했다. 유네스코가 일본에 '대화하라'고 권고한 관련국은 한국이다. 그러나 이날 공개된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한국이 요청했던 ▲한국인 강제동원 피해자 증언 전시 ▲강제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 설명 ▲한·일 강제병합이 합법이라고 시사하는 전시물 철거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진정한 추모 등 요구 사항을 하나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대신 보고서에서 일본은 "한국인 노동자의 증언을 참고자료로 비치했다"고 해명하거나 "지난 2년 동안 한국인을 비롯한 광산 노동자들의 봉급과 복지에 대한 비교 연구를 지원했다"며 마치 유네스코의 결정을 충실히 이행한 것처럼 포장했다. "(지난해 9월 결정문 채택 이후) 한국 정부와 대화를 지속했다"고 강조하면서다.
━ 외교부 "약속 불이행 유감"
이와 관련, 외교부는 이날 이재웅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내고 "세계유산위원회의 거듭된 결정과 일본 스스로 약속한 후속조치들이 충실히 이행되지 않고 있는 데에 다시 한번 유감을 표한다"며 "우리 정부는 일본이 국제사회에 스스로 약속한 바에 따라 관련 후속조치를 조속히 성실하게 이행할 것을 재차 촉구한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앞으로 한·일 양자 차원뿐 아니라 유네스코 틀 내에서도 일본 약속 불이행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외교부는 조만간 외교 채널을 통해서도 항의할 예정이다.
첫댓글 ㅅㅂㅅㄲ들 진짜
겠냐고 진짜.... 크룩같은데 투어보면 군함도 인기투어로 올라와있던데 개빡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