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흥안씨 (順興安氏) 양도공파(良度公派) 묘역(墓域)
▣ 지정 :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74호 (1990년 6월 18일 지정)
▣ 면적 : 1필지, 총면적 2,247.1m2
▣ 수량 : 분묘 2기, 묘표 3기, 상석 3기, 문인석 4기, 장명등 1기[1]
▣ 시대 : 조선시대
▣ 주소 : 지번명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 산126-1번지
: 도로명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로 36 나 길 57
(금천구 시흥 4동 54-2번지)
▣ 종회 사무실 : (02) 805-2388 / (02) 805-0330
▣ 홈페이지 주소 : http://shahn3.com (순흥안씨 3파종회)
▣ 우편 번호 : 08570
▣ 좌표 : 북위 37° 27′ 29″ 동경 126° 54′ 30″
▣ 순흥안씨 묘군(墓群)은
조선 초기 개국공신인 양도공(良度公) 안경공(安景恭)과
▣ 아들 정숙공(靖肅公) 안순(安純)
양도공(良度公) 안경공(安景恭)의
▣ 큰손자 문숙공(文肅公)․ 안숭선( 安崇善)
▣ 둘째 손자 소윤공(少尹公), 안숭신(安崇信)
▣ 셋째 손자 대사헌공(大司憲公) 안숭효(安崇孝) 등
손자 3대에 걸친 묘역(墓域)이다.
▣ 문화재 지정 및 보호구역이 확대 지정
1990년 6월 18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74호로 지정되었고,
2017년 2월 9일 문화재 및 보호구역이 확대 지정되었다.
▣ 개요
묘역(墓域)은 크게 오른쪽 2기와
왼쪽 3기로
왼쪽 오른쪽 사이 중앙 능선 1기로 구분된다.
▣ 오른쪽에는
제8세조이신 양도공(良度公) 안경공(安景恭) 묘와
제10세조 문숙공(文肅公) 안숭선(安崇善)의 묘가
있는데
위가
▣ 양도공(良度公) 안경공(安景恭)의 묘이며,
아래가
▣ 제10세 문숙공(文肅公) 안숭선(安崇善) 묘이다.
그리고 왼쪽 위에는
▣ 제9세 정숙공(靖肅公) 안순(安純)의 묘가,
그 아래에는
▣ 제10세 대사헌공(大司憲公) 안숭신(安崇信)의
묘(墓)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 제9세 정숙공(靖肅公) 안순(安純)의 묘( 墓) 우측
능선에는 정숙공(靖肅公) 안순(安純)의 차남(次男)
▣ 제10세 소윤공(少尹公) 안숭신(安崇信)의 묘(墓)
가 있다. 그리고 바로 그 아래에는
▣ 대종손(大宗孫) 29세(世)
안광덕(安光德)의 묘(墓)가 있다.
안광덕(安光德)은
기미독립운동 공적을 추모하여
영동군민과 동아일보사 공동으로
추모비를 건립하였으며,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
제75호 수여자이심.
이곳
▣ 묘 주인의 관계는
9세 정숙공(靖肅公) 안순(安純)이
양도공(良度公) 안경공(安景公)의 아들이면서,
▣ 안순(安純)은
▣ 장남 문숙공(文肅公) 안숭선(安崇善)과
▣ 차남 소윤공(少尹公), 안숭신(安崇信)과
▣ 삼남 대사헌공(大司憲公) 안숭효(安崇孝)의
아버지이다.
▣ 제8세 안경공은 자(字)가 손보(遜甫),
시호(諡號)는 양도(良度)이며,
이씨조선 건국에 참여하여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에 오르고
집현전(集賢殿) 태학사(太學士)이다.
▣ 부연 설명
제8세 안경공 (安景公) 의 아버지는
제7세 안종원(安宗源)이다.
자는 사청 호는 쌍청당
1325년 고려 충숙왕 12년 을축생이며,
1341년 충혜왕 2년 신사년에 문과에 오름
흥녕부원군이고 이조에 올라
특진보국 숭록대부 판문하부사 이며
집현전 태학사를 지내심.
증시는 문간공 이심.
▣ 제8세 안경공 (安景公)
공민왕 14년(1365) 국자감시(國子監試)에 합격하고,
우왕 2년(1376)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1382년에는 경상도안렴사(慶尙道按廉使)로 있을 때
합주(陜州)에 사노(私奴)들의 난을 진압하였다.
공양왕 2년(1390) 정몽주(鄭夢周)를 탄핵하였다가
오히려 좌천되었다.
이듬해(1391)에 예문관제학에 보임되고,
1392년 좌부대언(左副代言)을 거쳐 좌대언에 올라
조선 건국에 참여하였다.
곧 도승지에 제수되고 개국공신이 책봉될 때
3등공신이 되었다.
태조 2년(1393) 전라도관찰출척사(全羅道觀察黜陟使)
로 나아갔으며,
이듬해(1394년)에 흥녕군(興寧君)에 봉해졌다.
태종 6년(1406)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에 이어
곧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에 임명되었으며,
1410년에는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가 되었다.
1416년 보국숭록대부 집현전대제학
(輔國崇祿大夫集賢殿大提學)에 제수되고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이 되었다.
정숙공(靖肅公) 안순(安純)은 자(字)가 현지(顯之),
시호(諡號)는 정숙(靖肅)이며, 성품이 강직하였다.
1389년 문과에 급제하고,
공양왕 2년(1390) 성균학유가 되었다.
1392년 조선이 건국되자
사재주부(司宰注簿)로 발탁되었다. 그 후
세종 원년(1419) 호조참판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고,
이듬해(1420) 공조판서로 승진하였다.
1424년 호조판서가 되었고,
1432년에 판중추원사 겸
판호조사(判中樞院事兼判戶曹事),
1435년에 의정부 찬성사를 역임하고,
1437년에는 충청도 지방의 기근을 수습하기 위한
도순문진휼사(都巡問賑恤使)로 그 임무를
잘 수습한 공로로 숭정대부에 올랐다.
그는 오랫동안 호조판서 또는
판호조사를 겸직하면서
국가의 전곡(錢穀)을 관장하였는데,
경비출납이 정확하였다는 사실과 같이
특히 국가의 재정을 책임 맡은 직책에서
큰 공로(功勞)를 쌓았다.
저술로는 증조부 안축(安軸)의 문집인
≪근재집(謹齋集)≫의 부록에 유고가 실려 있다.
안숭선(安崇善)의 자(字)는 중지(仲止),
호는 옹재(雍齋)이며,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태종 11년(1411) 생원시에 합격하고,
세종 2년(1420)에 다시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지평으로 승진하였고,
그 이듬해(1421)에 이조전랑이 되었다.
1429년에 대호군으로 승진하여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가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돌아왔고,
1437년 대사헌이 되었다.
1443년에 형조판서,
1444년에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지중추원사․ 집현전대제학,
1445년에 병조판서겸 지춘추관사로서
≪고려사≫ 수찬에 참여하였고,
1448년에는 병조판서로서
예문관대제학을 겸하였다.
문종 즉위년(1450)에 의정부 우참찬을 거쳐
좌참찬에 이르렀고,
≪근재집≫ 부록에 유고가 전한다.
▣ 제10세 안숭효는
자가 계충(季忠), 호는 한백당(寒栢堂)이다.
일찍이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음보(蔭補)로 벼슬길에 나아가
지사간원사(知司諫院事)․호조참의를 지내고,
단종 2년(1454) 경기관찰사가 되었다.
이어서 덕녕부윤(德寧府尹)을 역임하면서
세조의 집권에 협조하여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그 뒤 대사헌과 공조참판․호조참판․
중추원부사를 지냈다.
충청도 지역에 재변이 심각하여
재덕을 겸비한 인물이 요청되자
이에 선발되어 세조 5년(1459)
동지중추원사겸충청도관찰사에 임명되어
탐관오리를 숙청하고,
유망민에 대한 진휼사업을 효과적으로 폈으나,
이듬해 과로로 임지에서 죽었다.
▣ 안경공 묘역의 무덤
신도비(神道碑) 3기, 묘비 3기,
문․무인석 8기, 장명등 2기 등이 있다.
▣ 안경공의 묘비는
높이 225cm, 폭 56cm로
윤유(尹惟)가 지었고,
▣ 안순의 묘비는
높이 226cm, 폭 95. 6cm로
변계량(卞季良)의 글이며,
▣ 안숭선의 묘비는
높이 244cm, 폭 88cm로
성삼문(成三問)의 글이다.
▣ 순흥안씨 묘군(墓群)은
무덤들이 원형대로 잘 보존되어 있어서
조선 전기 분묘의 형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으며,
묘 앞에 세워진 비석과 각종 석물 등을 통해
묘제 변천사를 연구하는 데도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 문화재 확대 지정 사유
▣ 안숭신(安崇信)은
개국공신인 양도(良度) 경공(景恭)의 아들
안순(安純)의 사남 가운데 삼남으로
1395년 금천 시흥에서 나시고
1441년 졸(卒)하셨다.
▣ 오위도총부 사직(五衛都摠府司直)과
경기도 찰방(京畿道 察訪)을 거쳐
인수부 소윤(仁壽府 少尹)에 올랐다.
▣ 안숭신(安崇信)의 배우자는
목사(牧使) 숙야(叔野)의 따님
영인 한산이씨(令人 韓山李氏)로서
현재 금천구 시흥동
해당 묘역에 합폄(合窆)되어 있다.
▣ 안숭선(安崇孝)은
안경공(安景恭)의 아들 순(純)의
사남으로 나시어
자는 계충(季忠)이며
▣ 1454년 경기도관찰사와
이후 대사헌, 공조참판, 호조참판에 제수되었다.
문헌상 생년은 미상이며 1460년에 졸하였다.
▣ 안숭선(安崇孝)의 배우자
정부인 한산이씨(貞夫人 韓山李氏)는
판서(判書) 숙무(叔畝)의 따님으로
해당 묘역에 합장되어 있다.
▣ 순흥안씨 양도공파 묘역의
안숭효 · 안숭신의 묘는
15세기에 조성된 예장묘소로서
당대의 묘제와 석물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 가치가 높아 문화재로서의
지정 가치가 충분하므로,
▣ 기지정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4호 순흥안씨양도공파 묘역에
포함하여 확대 지정하고 보존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