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 상대주의란 무엇인가?
개고기와 문화, 그리고 문화상대주의
독일에서는 핫도그(hot dog)에 넣는 소시지를 프랑크푸르터(Frankfurter)라 했다. 미국인들은 다리가 짧고 몸통이 긴 닥스훈트(Dachshund)라는 독일산 개와 비슷하게 생겼다고 이를 ‘닥스훈트 소시지’라고 불렀다. 20세기 초에 시작된 프로야구장에서 대단한 인기를 끌었는데, 판매원들은 이를 뜨거운 물통에 넣어가지고 다니면서 “뜨끈뜨끈한 닥스훈트 소시지요!”를 외치다 손님이 부르면 빵에 끼워주었다. 어느 만화가가 야구장에 갔다 이 광경을 보고 다음날 신문에 그렸다. 빵 사이에 ‘닥스훈트 소시지’가 아니라 ‘닥스훈트’라는 개를 그린 뒤 “뜨끈뜨끈한 개(hot dog) 드세요!”라고 썼다는데, 대개 닥스훈트를 어떻게 써야 할지 철자법을 몰랐기 때문이라 전해진다. 이 만화는 엄청난 센세이션을 일으켰고 이후 ‘닥스훈트 소시지’ 대신 ‘핫도그’라는 이름이 정착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미국에서는 개를 먹는다는 것은 그 발상만으로도 엄청난 일이었던 모양이다.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라 그러한 만화가 센세이션을 일으켰는지도 모른다. 프로이트식으로 농담을 하자면, 미국인들은 잠재의식 속에 너무나 개를 먹고 싶은 욕망이 깊이 숨어 있기 때문에 오히려 남들이 개를 먹는 것에 대해 그리도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할 수 있을까? 핫도그를 먹는 것은 상징적으로 개를 먹는 행위라고 우길 수도 있겠다.
올해는 문화와 문명에 대한 논란이 어느 해보다 많았다. 문명의 충돌로 떠들썩하다 급기야는 보신탕이 다시 문화 문제로 부각되었으니 말이다. 몇 년 전에도 외국인들이 보신탕을 문제 삼은 적이 있었다. 몇몇 문화인류학자들은 외국인들이 한국의 식문화를 자신들의 잣대로 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이야기를 해달라는 요청을 매스컴 등으로부터 받기도 했다. 문화상대주의와 자민족중심주의가 일반에게 널리 알려지는 계기는 이렇게 견공(犬公)에 의해 뜻하지 않게 마련되기도 했다.
아프간 사태와 더불어 드디어 문명의 충돌이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을 때, 문명간 대화를 강조하는 목소리도 아울러 높아졌었다. 우리 사회 일각에서도 그동안 이슬람을 너무나 몰랐다는 반성이 일어났다. 또 이슬람의 시각에서 세상을 보아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기 시작했다. 드디어 문화상대주의가 평화와 인권, 타문화 이해 등과 관련하여 진지한 관심의 대상이 되나보다 했었다.
그런데 얼마 후 보신탕과 관련된 발언과 보도가 알려지면서 문화상대주의는 또다시 보신탕과 관련되어 강조되기 시작했다. 안타깝기 짝이 없는 일이다. 보신탕에 불만이 있거나 하찮게 여겨서가 아니라, 보신탕 이야기가 나올 때만 문화상대주의를 강조하기 때문이다. 먹을 수 있는 것과 먹을 수 없는 것의 구별은 문화마다 다르며,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의 식습관을 아무렇게나 경멸하거나 비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다 해도 왜 우리는 보신탕 문제가 나올 때만 문화상대주의를 찾는 것일까?
‘문화상대주의’ 우리가 필요할 때만 찾아서야 …
문화상대주의는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 일종의 방법론이다. 다른 문화의 제도나 행위, 가치나 규범을 그 문화의 관점에서 이해하자는 것이지, 다른 문화의 것이니까 무조건 존중하라는 의미는 아니다. 남의 문화에 대해 함부로 평가하거나 간섭하는 것도 금지하고 있지만 “내 문화니까 상관하지 말라”는 태도를 정당화하는 것도 아니다. 도덕적 상대주의와 혼동해서도 곤란하다. 특히 유리할 때만 찾다가 불리할 때는 버릴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인간의 삶은 언뜻 보면 문제투성이지만 그래도 나름대로는 좀 더 나은 삶, 좀 더 인간다운 삶을 지향하려는 노력의 소산이기도 하다. 그러한 진지한 노력은 마치 ‘경작’(cultus)과도 같기 때문에 ‘문화’(culture)라는 말이 등장했던 것이다. 소위 미개인이라 생각되던 사람들의 삶의 방식도 나름대로 그러한 진지한 노력의 소산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인간집단의 삶의 방식을 일반적으로 문화라 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러므로 보신탕이 문제 될 때만 문화상대주의를 찾을 것이 아니다. 우리보다 정치·사회·경제적으로 불리한 처지에 있는 외국인들을 대할 때야말로 문화상대주의를 생각할 일이다. 우리가 보신탕에 분개하는 것 이상으로 우리의 자민족중심주의적 태도에 분개하는 외국인들이 얼마나 많을 것인가.
..............................................................................................................................................................................
인류학자의 보고에 의하면 얼마 전까지만 해도 남태평양의 어느 부족은 부모가 예순이 되면 자식들이 부모를 죽이는 일을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고 한다. 보고에 따르면 그 부족은 내세를 믿었던 바, 보다 정정한 육신을 유지하고 있을 때 죽어야 부모가 내세에서 정정한 몸으로 영원한 삶을 누릴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만약 병들고 허약한 몸으로 내세에서 영원히 산다면 그 얼마나 고통스러울까).
그 부족의 관습이 나름의 합리성과 타당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 문화 상대주의다. ‘효도’의 정신 혹은 도덕 원리라는 측면에서는 그 부족도 우리 못지 않으며, 다만 그 방법이 다를 뿐이다. 그러나 아무리 양보하더라도 그런 관습을 쉽게 용인할 수 없다. 왜 그럴까. 그것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부합하지 않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만약 그 부족이 보다 많은 정보와 지식을 가지고 내세와 현세에 관한 자신들의 견해를 반추할 수 있다면 그런 관습은 오래가지 않아 바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자신의 관습을 다른 문화에 비추어 본다면, 그 관습의 폐해를 교정하게 될 것이다(실제로 아직까지 그런 관습을 유지하고 있는 부족은 없다).
이상에서 우리는 문화 상대주의의 두 측면을 알 수 있다. 문화 상대주의는 다른 문화에 대한 존중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를 자기 문화의 거울로 삼는 태도를 함축하고 있다. 다른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는 자기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전제하며, 다른 문화를 자기 문화의 거울로 삼는 태도는 자기 문화에 대해 겸허함을 전제한다.
이런 문화 상대주의적 태도는 세대간 문화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 사회를 보면 다른 지역의 문화에 대해서는 매우 관대하면서도, 세대간 문화에 있어서는 그렇지 못한 측면이 많다. 왜 그럴까?
우선 청소년이든 어른이든 자기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없는 까닭에 상대방 문화에 대해 존중할 여력이 없다는 점이다. 오늘날 우리는 새로운 문명의 급격한 발달과 전환으로 정체성의 혼돈 속에 살고 있다. 그러나 예나 지금이나 청소년은 정체성 확립 단계에 있기 때문에 혼돈의 정도는 어른보다 덜하다고 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자기 문화에 대한 자부심 문제는 대부분 어른들의 몫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 자기 문화에 대한 청소년의 자부심이 강하다는 것은 아니다.
더욱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은, 자기 문화에 대한 겸허함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자기 문화에 대한 자부심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자기 문화에 대한 겸허함마저 없으면 상대방 문화를 존중하기는커녕 이해하거나 용인할 수조차 없다. 자부심과 겸허함이 동시에 없을 때는 무원칙하고 합리적이지 못한 자기 주장만 있을 뿐이다. 이러한 경향은 어른보다는 청소년들에게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
자기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있을 때 상대 문화를 존중할 수 있고, 자기 문화에 대해 겸허한 자세를 지닐 때 상대 문화의 장점을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다. 청소년 문화와 어른 문화 사이에서 문제되는 것을 이런 관점에서 주의 깊게 살펴보도록 하자.
1. 나는 과연 문화 상대주의자인가?
2. 요즘은 어른 문화는 없고 청소년 문화만 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3. 어른들의 문화에서 배울 점과 극복하고 싶은 점은 무엇인가?
문화 상대주의의 개념
문화들은 다양하고(diverse), 각 문화는 그 자체 유일한 것(unique)이다. 각 문화들은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개념들이 서로 다르다. 예컨대 현대 산업사회인들은 절약을 해서 모은 돈으로 휴가를 즐기는 것을 인생의 여유로 생각한다. 그러나 마야 인디언들은 절약을 해서 모은 돈으로 종교적 의례에서 많은 치장을 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에게 자기를 과시하는 것을 인생의 여유로 생각한다. 그러므로 모든 문화는 그 자체의 맥락과 가치에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ir own terms and values) 모든 사회적 가치들은 상대적이며, 보편적인 기준이란 존재하지 않는다.(no universal standards) 각 문화의 유일성을 고려하지 않고 여러 사회들을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이란 존재하지 않으며,(no culture-free means by which societies could compared) 어떤 문화가 다른 문화보다 발전되었다거나 우월하다고 말할 수 없다. 가치의 기준은 그 문화 내에서만 의미를 가진다. 사람들은 자신들이 성장한 삶의 방식을 좋아하며, 이것을 지속시키고 싶어한다.(People like and want to continue the way of life they grew up) 이것이 문화 상대주의이다.
문화 상대주의 개념이 인류학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 것은 미국의 보아스 학파(students and followers of Boas in North America)에 기인하며, 문화 상대주의는 문화 결정주의(cultural determinism)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보아스 학파는 19세기의 진화주의 이론, 곧 사변적 역사학(19th-century evolution theory or speculative history)에 반기를 들고 역사적 특수주의(historical particularist approach)를 주창하였다.
인류학에서 현지조사(fieldwork)의 기법이 발달하고, 구조기능주의 학파(structural functionalist school)가 등장하게 되자 다른 문화, 다른 사회들도 그 자체 체계적인 성격(systemic nature)을 가지고 있음을 자각하게 되었고, 다른 사회체계와 다른 세계관들의 내적 논리에 대한 탐구를 강조하게 되었다. 그래서 19세기 인류학의 백인 중심주의와 자민족 중심주의적 가설들에 대항해 원주민들을 옹호하게 되었다. 그 결과 각 문화와 각 사회들은 자체적인 합리성과 응집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 문화의 관습과 신념은 이러한 자체적인 합리성과 응집성의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문화 상대주의를 강조하게 되었다.(each culture or each society possessed its own rationality and coherence in terms of which its customs and beliefs were to be interpreted)
언어 상대주의도 문화 상대주의의 확산에 영향을 주었다. 사피어와 워프에 의해서 발전된 언어 상대주의 이론(theory of linguistic relativism put forward by Sapir and Whorf)에 의하면 언어범주는 인간이 세상을 보는 방식을 결정한다고 한다. 그러나 언어 상대주의는 구조언어학과 인지인류학이 발달함에 따라 더 이상 받아들여 질 수 없게 되었다.
문화 상대주의의 문제점
문화 상대주의 개념은 현대 인류학에서 점점 더 공격에 직면하게 되었다. 인지 인류학(cognitive anthropology)이 좋은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초기에 인지 인류학이 발전하게 된 것은 문화 상대주의 덕분이었다. 인지 인류학은 언어와 문화와 인식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데,(relationships among language, culture and cognition) 문화를 이념적 체계, 즉 지식과 개념들의 체계로 파악한다.(notion of culture as an ideational system - that is, a system of knowledge and concepts) 문화를 상대적으로 파악하는 인지 인류학의 입장은 문화를 관찰 가능한 행위나 혹은 적응체계로 파악하는 인류학의 다른 하위 분야들과 대조를 이루었다. 그런데 인지 인류학이 점점 성숙해 감에 따라 인지 인류학은 각 문화에 독자적인 분류의 원리가 아니라, 인류에 보편적인 분류의 원리를 탐구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나가고 있는 것이다.(toward universal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문화 상대주의 개념이 야기하는 중대한 문제점은 문화 상대주의가 인류학자들로 하여금 사회와 문화의 비교일반화를 위한 이론적 기반을 세우지 못하게 한다는 점이다.
(it leaves the anthropologists without a theoretical basis for comparative generalizations regarding human societies and cultures) 에믹은 원주민들의 범주 그 자체를 말하고, 에틱은 검증할 수 있는 과학적 판단을 말한다. 에틱적 모델(etic models)은 비교와 일반화를 수립하기 위해서 각 문화들간의 경계를 초월한다. 그러므로 에틱적 모델로서 설명한다는 것은 특정의 민족지적 맥락에 구애받지 않고 가설이나 이론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문화 상대주의 입장은 원주민의 관점에서, 곧 에믹적 모델로서(in terms of informants' or emic models) 민족지적 자료들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에틱적 모델의 사용을 어렵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일부 인류학자들은 문화 상대주의 개념에 동조해서 에틱적 모델의 사용과 같은 과학적 일반화는 불가능하고, 인류학이 할 수 있는 것은 특정 문화의 서술과 해석의 작업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인류학자들은 여러 사회체계들에서 사회구조나 역사적 과정의 규칙성과 법칙을 찾는 일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문화 상대주의의 또 다른 문제점은 각 사회들과 문화들을 폐쇄된 체계들(closed and self-contained systems)로 간주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폐쇄적인 사회문화체계, 통시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사회문화체계란 결코 존재하지 않는다. 인간과 인간집단들은 끊임없는 접촉의 과정에 놓여 있으며, 사회와 문화체계들은 끊임없는 변형의 과정에 놓여 있다.
문화 상대주의는 보아스 학파의 문화 결정주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문화 결정주의에 의하면 문화란 각 인간집단들에서 나타나는 행위형태들을 설명하는 원리이다. 예컨대 문화와 인성 이론(culture and personality theory)은 각 인간집단들에서 나타나는 인성의 유형들(personality types)을 그 문화유형이 만들어 내는 대표적 인성(model personality configurations produced by the culture pattern)의 구성요소로 해석한다. 이와 같이 문화 상대주의의 개념은 보아스 학파를 지배하고 있고, 이 사실은 보아스 학파로 하여금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구조와 과정에 대한 분석을 무시하게 만들었다. 예를 들면 사회변동과 문화접변의 문제는 분명히 사회계급들이나 사회집단들간의 정치적, 경제적 이해관계의 충돌이나 모순의 결과이다. 그런데 이러한 사회변동과 문화접변에 대한 연구를 문화의 차이에 대한 연구로 바꾸는 것이다. 그래서 제국주의와 식민지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두 문화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되어 버리는 것이다. 상호작용하는 것은 문화가 아니라 사람이다(it is not cultures which interact, but people). 서로 특정의 힘의 관계에 놓여있고, 서로 특정의 이해관계에 놓여 있는 인간집단들이 상호작용하는 것이지 문화들이 상호작용하는 것이 아니다. 문화 결정주의는 이와 같이 가장 근본적인 사실들을 무시하고 있다.
문화 상대주의와 인류의 보편적 가치
많은 인류학자들은 문화 상대주의가 윤리적으로 받아들여 질 수 없는 입장(an ethically unacceptable position)을 보이고 있다는 데에 의견을 같이 한다. 문화 상대주의는 불완전한 개념이다. 문화 상대주의는 모든 것을 다 옳다고 보기 때문이다.(Cultural relativism sees whatever is as right). 현대 인류학은 서구 문화의 지나친 팽창에 대한 반작용으로 문화 상대주의에 너무 기울어져 버렸다. 그러나 부족 전쟁(tribal warfare), 유아 살해(infanticide), 식인 풍습(cannibalism) 등은 비록 맥락에 따라서 순기능도 있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는 어긋난다. 문화 상대주의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universal human values)와 결부되어야 제 기능을 발휘한다.
일부 한국인들은 개고기의 식용에 대해서 문화 상대주의를 거론한다. 프랑스인들은 달팽이를 먹고, 일본인들은 말고기를 먹는 것처럼, 한국인들이 개고기를 먹는 것은 문화적 상대주의에 비추어 정당하다는 논리이다. 그러나 일본인들은 말고기를 먹지 말고, 한국인들은 개고기를 먹지 않는 쪽으로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가까울 것이다. 채식을 하는 불교의 교리를 인류의 숭고한 가치로 받아들이는 이유는 동물들과 더불어 살자는 뜻이기 때문이다. 물론 인류는 인구가 비정상적으로 팽창하여 생존을 위해서 소와 돼지 등을 사육해서 식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지만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향한 방향 설정만은 왜곡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동물들에 대한 편향적 시각은 인간에 대한 편향적 시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고, 그 결과는 인구의 과도한 밀집 현상과 상승 작용을 일으켜서 인간들을 부류로 나누어 인간의 상급 부류(higher classes)와 하급 부류(lower classes)는 인간과 개처럼 종(species) 자체가 다르다는 카스트적 시각으로 옮아가는 엄청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한 결과 중의 하나가 나치의 유태인 학살이다. 게르만 민족은 유태인들과 種 자체가 다르다는 나치의 시각은 서유럽의 과도한 인구 밀집현상과 상호 작용하여 인간의 하급 부류들을 개를 도살하듯이 양심의 거리낌 없이 학살하는 현상을 가져왔다. 그들은 범죄자들이기 때문에, 그들은 유일신을 무시하고 우상을 숭배하기 때문에, 그들은 피부색이 다르고 열등하기 때문에, 그들은 우리와 種 자체가 다르고, 그러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개나 돼지들을 도살하듯이 학살할 수도 있다는 가지고 생각하기 좋은 논리는 전세계에 널려 있다. 한국에는 개에도 부류(classes)가 있어서 식용할 수 있는 개와 애완용 개가 따로 있다는 시각은 바로 이러한 위험한 시각의 출발이다. 개고기의 식용에 대해서 문화 상대주의를 거론하는 것은 타문화의 이해에 필요한 방법론적 도구로서의 문화 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 as methodological tool)를 이데올로기적 도구로서의 문화 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 as ideological tool)로 변질시킨 것이다. 문화 상대주의는 철학의 인식론적 상대주의와 연관되고 있다. 페예러벤드는 이론들은 동일한 패러다임을 공유하고 있을 경우에만 상호 논박이 가능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대주의일 수밖에 없다고 한다.
"그들의 내용은 비교될 수 없다. 특정 이론의 범위 속에 있지 않으면 그 사실성에 대한 판단은 불가능하다.......남는 것은 주관적 판단, 기호에 대한 판단, 그리고 우리의 주관적 바램이다." (Paul Feyerabend, "Problems of Empiricism, Part Ⅱ". In R.Colodny, ed., Nature and Function of Scientific Theories. Pittsburgh: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70, pp.275-353, p.228).
그러나 동일한 패러다임을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상대주의에 맡겨둘 수 없는 문제들이 너무나 많다. 그 문제들은 바로 인간의 생존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마빈 해리스(Marvin Harris)는 인식론의 상대주의는 인간의 생존을 엄청나게 위협한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전쟁은 본능적이다.", "여성과 흑인은 열등하다.", "다국적 기업들이 핵군비 경쟁을 부추긴다." 등과 같은 주장들을 믿고 안 믿고의 여부가 기호의 문제일 수 없다. 우리는 페예러벤드를 아우슈비츠 수용소와 월남의 밀라이 마을 앞에 세워 놓고, "인식은 상대적이다." 라고 말하게 하자."
타문화의 이해에 필요한 방법론적 도구로서의 문화 상대주의가 이데올로기적 도구로서의 문화 상대주의로 변질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