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격 : 7,000원 / 출 판 사 : 디모데 / 저자ㅣ역자ㅣ그린이 : 하워드 헨드릭스 | 박경범 / 출 간 일 : 1997-09-10 / 판형ㅣ사이즈(mm) : 신국판 / 쪽 수 : 250 / ISBN : 89-388-0231-0 / 무 게 : 412g / 신앙도서 > 공동체 > 리더십
■ 도서상세정보
어떻게 다른 사람에게 놀라운 영향을 끼칠 수 있을까? 하나님께서는 어떤 종류의 사람을 선택하여 사용하실까?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준비하시고 부르시고 구원하시는 은사를 주신 이유는 이 세상에 변화를 일으키고. 영향을 끼치기 위해서이다. 불행이도 너무 많은 믿는 사람들이 그 비전을 상실한 것 같다. 영향을 끼치는 사람들이 되는 대신 그들은 영향을 받는 자들이 되었다. 본을 보이기보다는 따라가느라 애쓰고 있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에게 사역을 맡기셨다. 그 사역은 사람들을 예수 그리스도께로 가깝게 가도록 움직이는 것이다. 믿음의 가족밖에 있는 사람들을 안으로 불러 들여야 한다. 안에 있지만, 그리스도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을 가깝게 끌어들여야 한다. 가깝게 와있는 사람들을 성숙하게 만들어야한다. 장래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가장 위대한 수단은 다른 사람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라는 것이다. 이 과정을 멘토링(Mentoring)이라고 부른다. 우리 중 어느 한사람에 대해서도 그가 역사의 장에 슬그머니 들어와서 우리 인생을 살고 조용히 다시 나가서 이세상과 영원을 위해서 어떤 공헌도 하지 않는 것을 하나님께서는 결코 원하기 않는다. 하나님의 능력이 당신 속에 역사하셔서 당신이 이 세대에서와 그 다음세대에서도 계속 지속되는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되기를 하나님께서는 원하신다. 본서는 엘리야와 엘리사를 통해 하나님께서 만드시는 멘토링의 원리를 배우게 될 것이다.
*하워드 헨드릭스의 멘토링 원리* 기독교 교육 분야의 거장 하워드 헨드릭스 교수가 성경에 나타난 멘토링의 원리를 쉽고도 힘 있게 조명하고 있다. 엘리야와 엘리사의 생애를 통해 멘토링의 살아있는 표본을 발견하라.
그리스도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을 가깝게 끌어오며 다른 사람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확신, 대면, 기도, 헌신, 사역, 사명 등을 소개한 신학자의 저서.
■ 저자 및 역자
하워드 헨드릭스 재치있는 위트로 학생들을 사로잡는 하워드 G. 헨드릭스 박사는 달라스신학교에서 신학석사, 휘튼대학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달라스 신학교에서 인기있는 교수이며, 또한 Center for Christian Leadership의 회장을 맡고 있다. 그는 「남편과 아내」(Husbands & wives, 파이디온선교회 발행), 삶을 변화시키는 가르침(Teaching to change lives)등 많은 책을 저술했다. 그에게는 부인, 진 헨드릭스와 네명의 자녀가 있다.
박경범 Virginia Tech. 대학교를 졸업하고 Liberty 신학대학교 목회학 석사 과정(M. Div)과 Dallas 신학대학교 신학석사 과정(STM)을 졸업하였으며, 동 신학대학원 박사과정중에 있다. 그리고 역서로는 『새들백교회 이야기』(디모데) 외 다수의 번역서가 있다.
■ 추천의 글
■ 추천사
당신이 저와같다면
당신은 하워드 헨드릭스에게 싫증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다. 그의 말과글은 둘다 잘 박힌 못과같이 우리세대를 꿰뚫것이다.취신저서에는 헨드릭스 교수특유의 냄새가 물씬 나는데 그것은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말로 삶에 직결된 주제들을 다루기 때문이다. 당신이 그의 말들을 무시할수 없는 것은 그것들이 페이지에서 튀어나와 당신의 마음속으로 걸어들어가기 때문이다. ┃찰스R. 스윈돌 | 달라스 신학대학원 총장 | 라디오 프로그램 `삶을 위한 통찰력`의 성경교사 |
■ 본문속으로
멘토링 Mentoring
`멘토링`은 성경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단어는 아니지만 그 원리는 성경 전체를 통하여 발견된다. 실은 가장 좋은 예를 보려면 선지자 엘리야와 그의 후계자 엘리사의 관계이상 더 찾아볼 필요가 없다. 엘리야가 하나님의 속삭임을 들었던 그 동굴로 다시 돌아가보자 , 그의 마음상태를 기억하는가? 그는 탈진한 상태에서 괴로워하며 낙망하고 있었다. `오직 나만 남았거늘 저희가 내 생명을 찾아 취하려 하나이다(왕상 19:14) 그의 말은 절반만 맞았다. 그의 목숨이 위태롭다는 것은 사실이었다. 그러나 하나님은 칠천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바알에게 굴하지 않았다는 것을 드러내셨다. 하나님께서 이들 중 한사람의 이름을 언급하셨다. `아벨므홀라 사밧의 아들 앨리사에게 기름을 부어 너를 대신하여 선지자가 되게 하라(왕상 19:6) 하나님은 그분이 자신이 신실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계셨던 것이다. 그분은 엘리야에게 그의 노력들이 헛되지 않았다는 것을 말씀하고 계셨던 것이다. 거기에는 미래가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사실 엘리야는 횃불을 엘리사에게 넘겨줌으로 미래를 시작하는 특권을 누리게 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다른 사람의 멘토 역할을 함으로써 얻게 되는 가장 큰 혜택으로 뒤를 따라 오는 사람들에게 유산을 남겨 놓게 되는 것을 말한다.
첫째.엘리야는 주도권을 가지고 행동했다. 하난님의 지시에 순종해서 그 선지자는 엘리사를 적극 찾아나서서 밭을 갈고 있는 그를 만나 자기의 겉옷을 그의 위에던졌는데. 이것은엘리사가 그의 뒤를 이어 선지자가 될 것임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엘리야는 선제 행동을 취했다.
.둘째, 엘리야는 그자신을 쓰임받도록 열어두었다 엘리야가 자기 겉옷을 두름으로써 엘리사를 지명하는의식을 가진후. 그 젊은 농부가 소를 버리고 엘리야에게로 달려가...(왕상 19:21) 이와같이 엘리사는 그 자신을 상당한 시간 노련한 선지자와 보냈음이 분명하다.
셋째. 엘리야가 젊은 엘리사에게 영향을 끼치기 위해 그는 표본이 되어주었다. 이것이 멘토링의 과정중 가장 위력있는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자신의 행동을 지켜볼 수 있는 충분한기회를 주었던 것이다. .... ┃본문 | pp. 117∼128 중에서 |
수년 전 붐비는 고속도로에서 운전하고 있을 때, 나는 약속시간에 늦어 매우 초조해하고 있었다. 공사 때문에 한 차선밖에는 통행할 수 없었기에 도로는 걷잡을 수 없이 혼잡했다. 내 앞에는 마치 다른 모든 사람들도 시간이 남아 도는 줄로 착각하고 있는 듯한 친구가 어슬렁대며 가고 있었다.
오늘날 크게 잘못 사용되고 있는 호칭 중의 하나가 사역자라는 단어이다. 사람들은 이 말을 안수받은 목회자를 가리키는 동의어로 사용하고 있으나 그것은 근본적으로 잘못된 생각이다. 이 사실을 알게 되면 사람들은 놀라겠지만, '사역자'라는 말은 '종'이나 '하인'이라는 의미의 라틴어에서 파생된 것이며 '더 작다'라는 의미를 가진 어근인 마이너스라는 단어에 근거한 것이다. 그렇다면 원칙적으로는 '사역자'는 더 낮은 지위나 계급을 가진 사람으로서 섬김을 받는 것이 아니라 섬기는 것이 그 직분인 사람인 것이다. 엡4장의 은사를 가진 사람들(사도와 선지자, 복음전하는 자와 목사- 교사)의 기능은 섬기는 일과 하나님의 백성들을 사역을 위해서 준비시키는 것이다..--- p.135
당신을 움직이는 동기적 열정은 무엇인가? 경쟁하는 것인가? 얻는 것인가? 돕는 것인가? 향상하는 것인가? 가능성은 엄청나게 많다. 당신을 움직이는 근본적인 추진력이 무엇이든지간에, 당신은 그것이 무엇인지 알아내야 한다. 당신은 또한 그것을 하나님이 주신 자원으로 깨달아야 한다. 하나님은 당신을 움직이게 하는 동기를 주심으로 나아가 그분의 목적을 이룰 수 있는 에너지를 갖게 만든다.--- p160.
기독교가 진리임을 사람들에게 가장 강하게 확신시켜 주는 것이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기독교의 능력이라는 것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이 세상에서 다른 어떤 것도 기독교인의 삶이 변화하는 것처럼 그렇게 심오하게 변화하지 않는다. 당신은 몸을 던져 계몽운동, 캠페인 또는 칭찬받을 만한 활동들을 할 수 있지만 오직 그리스도의 능력 외에는 아무것도 당신의 인격을 의로운 모습으로 다듬어 주지는 못한다. 중요한 것은 인격이다. 세상은 우리의 유창한 논증이나 상세한 설명에의해 감명받지 않는다. 세상은 개인의 생활에서 현실을 보기를 원한다. 세상은 자신이 만들어 낼 수 없는 것만을 주목하는데 그것은 바로 의로움에 의해 변화되는 삶이다.--- p.13
■ 목차
제1부: 진리 위에 서기 1. 확신 (Conviction) 2. 교통 (Communion) 3. 대면 (Confrontation) 4. 기도 (Communication) 5. 헌신 (Commitment) 6. 자신감 (Conf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