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께하는 공정사회! 더 큰 행복 대한민국” | ||||
|
보 도 자 료 |
|||
“국민 누구나 일할 수 있고 일을 통해 행복한 나라” | ||||
| ||||
■ 고용노동부 직업능력평가과 과장 송민선 사무관 박은정 ☎ 02-6902-8220 |
■ 한국산업인력공단 숙련기술장려팀 팀장 김혜경 과장 장윤석 ☎ 02-3271-9305 | |||
“2012년 대한민국 우수숙련기술인 선정” - 대한민국 명장 등 100명 선정해 장려금 지급 등 다양한 혜택 ▪ 대한민국명장 35명 선정 ▪ 우수숙련기술자 50명 선정 ▪ 숙련기술전수자 10명 선정 ▪ 숙련기술장려 모범사업체 5개 업체 선정 |
□ 고용노동부(장관 이채필)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송영중)이 3월 29일부터 ‘대한민국명장’ 35명, ‘숙련기술전수자’ 10명, ‘우수 숙련기술자’ 50명, ‘숙련기술장려 모범사업체’ 5개 업체 선정을 위한 신청접수를 받는다.
○ 접수는 5월 4일까지 진행되며, 공단 24개 지역본부 및 지사에 내방 또는 우편으로 신청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 한국 최고 숙련기술인 “대한민국명장”
○ 대한민국명장은 동일 직종에서 15년 이상 종사한 최고 수준의 숙련기술자로 1986년부터 지금까지 520명이 선정됐다.
○ 신청자의 보유기술 숙련도, 기술발전 기여도, 숙련기술자 지위 향상 기여도 등을 서류심사, 현장확인, 면접을 통해 공정하게 선정하고 있다.
○ 올해 대한민국명장으로 선정되면 일시장려금 2,000만원과 연간 최소 191만원에서 최대 405만원까지 계속종사장려금을 지원받는다.
○ 공단은 숙련기술인들의 자긍심 고취를 위해 대한민국명장이 산업체 기술지도와 후진양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 차세대 명장 “우수 숙련기술자” 선정
○ 미래 대한민국명장을 꿈꾸는 숙련기술인이라면 먼저 우수 숙련기술자 선정에 도전할 만하다.
○ 우수 숙련기술자는 7년 이상 산업현장의 생산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기술인 중, 기업 규모와 해당 직종에 종사하는 인원을 고려하여 최대 50명이 선정된다.
○ 우수 숙련기술자로 선정되면 일시장려금 200만원과 직업능력개발을 위해 대학에 진학할 경우 입학지원금 100만원이 지원된다.
○ 동일연도에 1개 기업에서 2인 이상이 선정되는 중소기업은 정기근로감독이 3년간 면제되는 혜택도 주어진다.
□ 특화 기술 전도사 “숙련기술전수자” 선정
○ 특화된 기술을 후배 기술인에게 전수할 계획이라면 숙련기술전수자 선정에 관심을 가져 보는 것이 좋다.
○ 숙련기술전수자는 6대 뿌리산업분야와 세대 간 단절 우려가 있는 분야 등 총 18개 직종에서 평가를 통해 10명이 선정된다.
○ 선정된 숙련기술전수자에게는 5년 이내의 기간 동안 월 80만원, 기술을 전수받는 전수대상자에게는 월 20만원이 지원된다.
□ 숙련기술인 우대 기업 “숙련기술장려 모범사업체” 선정
○ 아울러 숙련기술인이 정당한 보상을 받도록 다양한 제도를 갖추고 숙련기술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모범사업체 5곳을 선정해 3년간 정기근로감독 면제 등 우대 혜택을 부여한다.
□ 공단 송영중 이사장은 “2012년을 대표하는 대한민국 우수숙련기술인을 선정해 중소기업 기술지원과 후진양성의 기회를 확대하는 등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폭 넓은 지원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 선정자 발표는 8월에 있을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www.hrdkorea.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의 : 02-3271-9303~5(한국산업인력공단 숙련기술장려팀)
참고자료 : 우수숙련기술인 등 선정계획 등 3건
[참고자료1]
대한민국 명장 |
우수숙련기술자 |
숙련기술전수자 |
모범사업체 | |
선정 목적 |
산업 현장에서 최고 수준의 숙련기술을 보유한 기술자로서 숙련기술 발전 및 숙련기술자의 지위 향상에 크게 공헌 사람을 대상으로 대한민국명장으로 선정 및 우대하여 숙련기술자의 지위향상에 기여 |
산업현장의 생산 업무에 종사하는 우수 숙련기술자를 선정․지원하여 계속적인 능력개발 및 사기진작을 도모하여 기술경쟁력 향상에 기여
|
산업 현장의 숙련기술을 전수하려는 자와 전수대상자를 선정하여 산업 현장에서 반드시 필요한 숙련기술이 체계적으로 전수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산업현장의 기술력 단절 방지와 기술 경쟁력 제고에 기여 |
산업현장에서 숙련기술을 장려하는 사업체를 선정․지원하여 지속적인 숙련기술장려분위기를 유도하고 숙련기술자의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 기여
|
신청 자격 |
산업현장에서 최고의 숙련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15년 이상 생산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자로서 종사하는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 대한민국명장으로 선정되려는 직종을 관할하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중소기업청장의 추천을 받은 자
|
산업현장에서 숙련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7년 이상 생산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자로서 종사기업체 대표나 업종․지역별 사업주 단체장의 추천을 받은 자
|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자 ■접수개시일 현재 선정대상 직종에서 15년 이상 산업현장의 생산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최고수준의 숙련기술자 중 기술전수를 위한 시설․장비를 확보하고 전수교육계획을 수립한 자 ■숙련기술 보유 정도, 연령, 숙련기술 전수 여건, 향후 발전가능성을 고려하여 숙련기술전수에 적정한 전수대상자를 확보한 자 |
근로기준법 제11조 제1항에 해당하는 사업체 중 접수개시일 현재 개업연수가 3년 이상 경과하고 과거 모범사업체로 선정된 사실이 없거나 모범사업체로 선정된 날로부터 5년이 경과된 업체 중 당해 기간 중에 숙련기술인 우대와 숙련기술향상을 위한 공적이 있는 사업체
|
신청 직종 |
22개 분야 96직종 (참고자료2 참조) |
22개 분야 96직종 (참고자료2 참조) |
18개 직종 (참고자료3 참조) |
중소기업․대기업 구분 선정 |
선정 인원 |
35명 |
50명 |
10명 |
5개 업체 |
심사 기준 |
■신청 직종 관련 숙련기술보유 정도 및 기술적 공적 ■숙련기술 발전을 위한 성과 ■숙련기술자 지위 향상을 위한 성과 ■신청 직종의 산업화 및 현대화 실적 ■서류검토, 현장확인, 면접 |
■신청 직종 관련 숙련기술보유 정도 및 기술적 공적 ■숙련기술과 관련한 사내‧외의 각종 포상 실적 ■숙련기술 관련 대외 활동 및 사회봉사 활동 실적 ■서류검토, 면접
|
■숙련기술전수자 및 숙련기술전수대상자의 숙련도 등 ■전수환경 및 전수교육계획의 적정성 및 타당성 ■기술전수의 필요성 ■숙련기술전수대상자의 전수여건 ■서류검토, 현지확인, 면접 |
■숙련기술자우대 실적 - 채용, 승진, 승급, 보수, 제안제도, 현장발명촉진 등 ■직업능력개발 훈련 실적 ■사업내 기능경진대회 개최 실적 및 기능경기대회 참여
|
우대 내용 |
■일시장려금 2,000만원 ■계속종사장려금
|
■일시장려금 200만원 ■입학지원금 100만원(선정후 7년 이내) ■3년간정기근로감독 면제 동일연도에 2인 이상 선정되고 선정 다음연도 1년간 자격상실자가 없는 사업장중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른 중소기업 |
■전수지원금 지원 - 숙련기술전수자 (월80만원) - 숙련기술전수대상자 (월20만원) - 지원기간 : 5년 이내
|
■ 3년간 정기근로감독 면제
|
[참고자료2]
대한민국 명장 및 우수 숙련기술자 신청 직종
분 야 |
직 종 |
1.기계 |
기계조립, 컴퓨터응용가공, 생산자동화, 기계설계, 공조냉동기계, 보일러, 배관, 철도차량, 자동차정비, 건설기계, 중기계정비, 정밀측정, 금형, 기계정비, 농업기계정비 |
2.재료 |
금속재료시험, 열처리, 표면처리, 주조, 소성가공, 금속재생산, 용접, 판금․제관, 세라믹, 비파괴검사, 신소재 |
3.화공 |
화공, 화약류제조, 위험물관리 |
4.전기 |
전기, 철도전기신호 |
5.전자 |
전자기기, 컴퓨터시스템, 반도체, 의료전자 |
6.통신 |
정보통신, 통신설비, 무선통신, 방송통신 |
7.조선 |
선박건조, 선박설계, 선박기관정비 |
8.항공 |
항공 |
9.토목 |
건설재료시험, 철도보선, 토목설계,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
10.건축 |
건축설계, 건축시공, 건축설비, 건축목공, 창호제작, 실내건축, 건축도장 |
11.섬유 |
섬유가공, 섬유디자인, 패션디자인, 한복 |
12.광업자원 |
시추, 광산보안, 화약취급 |
13.정보처리 |
정보처리 |
14.농림 |
농업, 임업, 축산, 임산가공, 화훼디자인 |
15.해양 |
수산양식, 잠수 |
16.산업디자인 |
제품디자인, 시각디자인, 애니메이션 |
17.에너지 |
에너지 |
18.안전관리 |
산업안전, 산업보건, 소방설비, 가스 |
19.환경 |
환경 |
20.산업응용 |
품질경영, 물류관리, 포장, 광학, 인쇄․출판, 신발류제조, 피아노조율, 식품 |
21.공예 |
목칠공예, 도자기공예, 석공예, 보석 및 금속공예, 자수공예, 인장공예 |
22.서비스 |
요리, 제과제빵, 이용, 미용 |
[참고자료3]
숙련기술전수자 신청 직종
□ 2012년 숙련기술전수 신청 직종
분야 직종 |
제조 산업의 기반이 되는 분야 |
산업현장에 적합하게 창의적으로 응용․발전시킬 수 있는 분야 |
세대 간 단절 우려가 있어 전수가 필요한 분야 |
신청 직종 |
금형, 열처리, 표면처리 주조, 소성가공, 용접 (6개직종) |
기계조립, 판금․제관 ,전기 창호제작, 신소재, 전자기기 (6개직종) |
전통복식인형, 가마, 칠보, 전통등, 각궁(개량궁), 물레방아제작 (6개직종) |
□ 세대간 단절 우려 분야 신청 직종
종 목 명 |
종 목 해 설 |
전통복식 인형 |
헝겊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우리고유의 민속의상 및 각종 장신구를 치장하여 인형을 만드는 기술 |
가마 |
관혼상제 등에서 사용하는 가마, 상여를 만드는 기술 |
칠보 |
금속의 소지(素地)에 유리 알갱이의 유약을 발라 문양을 그린 다음 높은 고열로 녹여 굳혀 만드는 기술 |
전통등 |
한지와 대나무를 주재료로 이용해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행사나 생활에 사용되었던 지등(紙燈) 풍등(風燈) 접등(摺燈 ) 유등(流燈)을 제작하는 기술 |
각궁 (개량궁) |
우리 전통각궁의 장점을 살려 소 뿔과 대나무, 카본 등으로 구성하여 제작된 활로서 충격이 적고, 유연함이 전통각궁의 쏘임맛을 느끼게 할 수 있는 개량각궁을 제작하는 기술 |
물레방아 제작 |
물의 힘으로 바퀴를 돌려 곡식을 찧는 방아로서 우리 전통의 물레방아 제작기법을 활용하여 실제 크기의 물레방아 제작이나 문화상품으로 물레방아를 제작하는 기술 |
공예/목칠분야
21. 공예 명장:6 |
87.목칠공예 |
- 목재나 플라스틱재의 자재와 부속품을 가공하고 조립하여 제작도면과 시방서에 따라 재료 절단, 연마, 도장, 조립 등을 거친 후 사용하기 편리하고 아름다운 각종 가구를 제작 - 줄 톱, 끌, 송곳, 사포 등 각종 수공구 및 기계공구를 사용하여 나무를 깎고, 켜고, 자르고, 붙이고, 다듬어서 미관상 아름답고 일상생활에 유용한 목공예품을 제작 - 전복, 소라껍질을 이용 자개무늬를 도안, 본뜨기를 하여 적정 농도의 아교로 자개를 접착하고 섬세한 무늬효과가 나거나 입체감을 나게 하기 위하여 모조 또는 부조로 조각 작업을 수행하여 각종 칠기제품 제작 - 자개를 부착한 기물 바탕 위에 옻나무에서 채취된 수지인 칠(漆)을 자개무늬 이외의 부분에 애벌칠, 두벌칠, 마감칠을 하여 자개무늬의 영롱한 색채를 살려 각종 칠기제품을 제작 - 붓, 로울러 브러쉬, 스프레이 등의 도장기기와 설비를 사용하여 페인트, 바니쉬 및 유사재료를 가구의 외부 및 내부표면에 칠하여 가구의 외관 장식 및 보호 ※ 가구제작, 목공예, 패세공, 칠기, 가구도장 직무 포함 |
고용노동부 |
88.도자기공예 |
- 도자기 재료가 되는 고령토, 점토, 장석 및 기타 화공약품을 각종 분쇄기로 분쇄, 혼합, 미분쇄하여 소지토와 유약을 제조하고 각종 성형기계, 기구 및 석고형을 사용하여 소지토를 원하는 기물로 성형하고 건조, 시유, 장식한 후 가마에서 고온으로 소성시켜 식기류, 타일, 애자 및 위생도기, 도자기 등을 제작 |
고용노동부 | |
89.석공예 |
- 건축물, 기념비 또는 조각, 실내 장식품 등의 석물제작을 위해 화강암, 석회석, 대리석, 사암 및 그 밖의 암석을 디자인하고, 절단하거나 조각하여 모양을 만들고 끝손질 |
지식경제부 | |
90.보석및금속공예 |
- 세공할 모양, 형태에 따라 금, 은, 백금 등의 귀금속과 일반금속을 소재로 금속용 수공구 및 동력공구를 사용하여 반지, 목걸이, 귀걸이 등 신변 장신구, 식탁용품 및 심미적 작품을 제작하고 수리 - 각종 보석원석의 특성과 연마형태를 파악하고 연마기, 절단기 등을 사용하여 원석의 특성과 형태에 알맞게 보석난(알)과 장신구, 장식품을 일정한 각도로 연마하고 광택을 내고, 귀금속에 알맞은 크기의 보석을 가공하여 끼우거나 확대경을 사용하여 불순물, 깨짐, 표면상태, 규격 등을 검사 ※ 보석가공, 귀금속가공, 금속공예 직무 포함 |
고용노동부 | |
91.자수공예 |
- 자수재봉틀을 사용하여 실, 직물을 포함한 각종재료로 의상의 부분품이나 기타 직물에 도안대로 정교하게 수를 놓아 장식적이고 실용적인 자수품을 제작(기계자수) - 직물재료 위에 자수 도안을 옮겨 그리거나 등사된 장식적인 도안위에 각종 수실을 사용하여 직접 손으로 도안의 선을 따라 수를 놓음(수자수) |
고용노동부 | |
92.인장공예 |
- 나무, 보석, 상아, 합성수지 등 인장 재료의 특성과 재질에 대한 지식과 숙련기술을 바탕으로 재료와 용도에 맞은 도장 제작 |
고용노동부 |
첫댓글 인장공예 한번 참여하고싶네요..
지만 힘들고 전화로 여쭈어 봐야 할것 같은데 그런가요..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