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표 10.3 마노-전오식-마노의식요소 66쪽 171023.hwp
마음(意)/전오식(前五識)/마노의식요소(意識界)
도표 10.3 2017/10/23
마음(마노) 요소(意界, mano-dhātu) : 단지 아는 것일 뿐이라는 “마나나”에서 유래하여 “마노”라고 한다. 오문전향식(28번 마음)과 두 가지 접수 마음(18, 25번 마음)이 마노 요소이다.
전오식(前五識, pañca-viññāṇa) :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감촉하는 역할(아는 역할)을 어느 정도 한다. 윈냐나의 “위”는 “윈냐삿띠”에서 왔는데 이는 특별하게 알기 때문이다. 전오식 다섯 가지는 안식계, 이식계, 비식계, 설식계, 신식계이다.
왜 “마노”라고 하고 왜 “윈냐나”라고 하는가? 오문전향식은 단지 전향하기만 하고, 접수 마음은 그냥 저절로 눈으로 본 다음에 받아들이기 때문에 윈냐나라고 하지 않고 마노라고 한다.
왜 마노 의식 요소(mano-viññāṇa-dhātu, 意識界)라고 하는가? 마음이 하는 여러 가지 특별한 역할(조사, 결정, 자와나, 등록, 재생연결, 바왕가, 죽음)을 하기 때문이다.
마노는 단지 알기만 한다.
윈냐나는 마노보다는 조금 더 특별하게 안다.
마노-윈냐나-다뚜는 마노나 윈냐나보다 더욱 더 특별한 역할을 하므로 마노-윈냐나-다뚜라고 한다.
요소(界, dhātu) : 중생도 아니고 영혼도 아니고 “각자 자신의 본성만을 지닌다(dhārenti).”고 해서 “요소” 라고 한다.(『아비담마 길라잡이 제2권』, 2017, 158쪽 참조.) 안식계는 눈, 형상, 빛, 오문전향식 4가지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지, 하느님이나 신과 무관하다. 자신의 성품에 따라 단지 봐서 아는 것일 뿐인 요소가 생기는데 그것을 안식계(짝꾸-윈냐나-다뚜)라 한다.
(이상 비구 일창 담마간다 옮김, 『위빳사나 수행방법론 1』, 이솔, 422쪽 참조.)
18계의 관점에서 정리하면
89가지 마음은 실재를 18계로 나눌 때 다음과 같이 7가지로 구분된다.
눈 의식 요소(眼識界, cakkhuviññāṇadhātu, 13, 20번 마음),
귀 의식 요소(耳識界, sotaviññāṇadhātu, 14, 21),
코 의식 요소(鼻識界, ghānaviññāṇadhātu, 15, 22),
혀 의식 요소(舌識界, jivhāviññāṇadhātu, 16, 23),
몸 의식 요소(身識界, kāyaviññāṇadhātu, 17, 24), … 여기까지 전오식
마노 요소(意界, manodhātu, 18, 25, 28), … 마노-다뚜
마노의식요소(意識界, manoviññāṇadhātu, 76가지 마음)… 마노-윈냐나-다뚜
실재를 12처로 나눌 때, 의처(意處, 마노-감각장소, manāyatana)는 89가지 마음 전체를 말한다. (意門은 19가지 바왕가 마음을 말한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사두사두사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