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2일 다섯째 아기를 출산한 최성영 씨가 부산 북구 화명동 미즈웰 산부인과에서 아기를 돌보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
---------------------
---------------------
|
||
===================
|
마당장(場)
글자의 뜻 ①마당장(除地)<빈豳風七月>九月築場圃
豳 나라이름 빈, 얼룩질 반 나라 이름. 주(周) 시조 공류(公劉)가 세운 나라. 섬서성(陝西省) 빈주(邠州). 얼룩지다. 여러 빛깔로 아롱짐.
획수 17 부수 豕
②제사하는곳장(祭場,齎場) ③싸움터장(戰場)
마당장(場)자는 흙(土)이 쉽사리(易) 쫘악 깔려있는 집앞을 말하는것이다 쓰임새 ⑴장내(場內)=장소의 안,회장의 내부 ⑵장도지(場賭地)=場邊 ⑶장열(場렬(土+將=장수장자에 침대상자을 없애고 흙토자를 넣은 글자))=말을 타고 활쏘는 장소 <魏志>蜀有司 預修場렬
⑷장면(場面)=어떠한 장소의 겉에 들어난 면,또는 그 광경 장면(場面)=글자대로라면 마당의 얼굴인것이다
⑸장변(場邊)=장바닥에서 貸借한 돈.또는 그 변리 장변리 ⑹장사(場師)=<制>庭園을 맡아보먼 벼슬아치<轉>園丁<孟子>今有場師 舍其梧독(木+賣) 養其이(木+貳)棘 ⑺장세(場稅)=施場稅 場收稅 ⑻장상(場商)=淸代에 製鹽地에서 소금을 사들이던 商人의 일컬음.
김노인의 얼굴이 오랜만에 활짝 피었다. 그 동안 무엇엔가 쫓기고 있는 얼굴이었다. 내가 김노인을 만난 것은 4년 전이다. 전통소금(煮鹽)의 흔적을 찾아다니다 문화역사마을만들기 프로젝트와 인연을 맺었다. 생존을 위해 소금을 구웠던 노인과 소금에 호기심이 많은 연구자의 만남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모임에 나와서도 늘 조용히 앉아 있다 가시곤 했던 김노인은 '내 소원은 죽기 전에 소금을 굽는 것'이라는 말만 남기고 총총히 사라졌다. 그렇게 원하던 소금을 직접 구웠다. 소금을 굽기로 한 날 '교수님 이제 내가 할 일은 다 했어요' 라며 나를 부른 것이다. 이렇게 나올 소금을 '60년'이나 기다렸다 샘에서 물(함수)을 떠다 가마에 붓고 정성스레 고사도 지냈다. 김노인은 24살에 소금 굽는 일을 그만 두었다. 인근에 큰 염전(천일염전)들이 만들어져 자염의 경제 가치가 떨어졌다. 소금을 구울 땔감을 구하기 어렵고, 일할 사람도 없었다. 아침 8시에 불을 지폈다. 온몸에서 경련이 일었다. 불을 지피는 손이 떨렸다. 가마에 불이 꺼진 지 60년 만에 일이다. 이렇게 간단한 일을 그렇게 기다렸단 말인가. 형님으로부터 소금 굽는 일을 배울 때가 10대 후반이었다. 이제 팔순을 앞두고 있다. 기다렸다는 듯이 불길이 긴 혀를 내밀며 가마 속 아궁이로 빨려 들어간다. 다음날 아침이 되어야 소금이 가라앉기 시작할 것이다. 무엇보다 많은 나무가 필요하다. 옛날에는 한 가마를 굽기 위해 장작10짐이 필요했다. 가을철에는 물이 싱거워(염도가 낮아) 봄철보다 나무가 많이 필요하다. 1960년대 주변 산들은 온통 민둥산이었다. 소금을 굽기 위해 바다 건너 변산과 격포까지 가서 나무를 해오기도 했다.
소금을 굽는 마을, '사등' 전통소금 자염은 지역에 따라 생산방식이 다르다. 정확하게 지역보다는 갯벌형태에 따라 다르다. 펄갯벌인가, 모래갯벌인가, 혼합갯벌인가. 갯벌형태가 전통소금 생산방식을 결정한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염도가 높은 바닷물을 얻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오늘날처럼 천일염전이 만들어지기 전 이야기다. 유럽이나 중국처럼 암염이나 염정이나 염호가 없기 때문에 바닷물을 끓이는 방법이 유일한 제염법이었다. 전 KBS에서 방영된 다큐 '차마고도'에서 보았던 소금생산방식은 '염정'에서 '함수'를 얻는다. 그러니 소금을 얻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연료'가 필요했겠는가. 게다가 소나무가 가장 좋은 연료다 보니 좋은 목재들이 소금 굽는데 이용되었다. 급기야 조선시대에는 '금송정책'을 추진해 소나무를 베는 사람을 큰 죄로 다스리기도 했다. 서해안 갯벌에서 '함수'를 얻는 방법은 태안의 '통자락', 신안의 '섯등', 고창 '섯구덩이'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지역으로 소금 굽는 방법을 나누는 것은 옳지 않다. 같은 해역 갯벌에서도 섯등과 섯구덩이 방식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태안에서도 '통자락방식'과 '갈개조금' 방식이 존재한다(기회가 되면 소개하겠다). 시화호 인근 경기만 갯벌에서도 섯등방식으로 소금을 굽기도 했다. 김노인이 사는 고창군 사등면 심원 검단마을 갯벌에서는 모래가 많이 섞인 갯벌로 섯등을 쌓아 올릴 수 없다. 그래서 구덩이를 파서 함수를 얻는다.
사흘 소금 구워 논 서마지기를 마련했다 김노인은 올해 78세다. 1940년대로 기억했다. 형님과 함께 사흘조금 동안 소금을 구워 논 세 마지기를 샀다. 소금 값이 금값이었다. 조금이란 물이 염전에 들지 않는 때(물 때)를 말한다. 음력으로 8일과 23일을 전후한 시기를 조금이라 한다. 사등리 사람들은 소금밭이 없어도 '한조금' 일을 하면 일한 댓가로 한 가마 물을 얻을 수 있었다. '한조금'이란 염전에 물이 들지 않는 일주일 정도를 말한다. 소를 빌려준 경우 나흘 일하면 한가마 물을 준다. 이렇게 염전이 없어도 '물'을 얻어 소금을 구웠다. 사등 검단마을에 벌막이 7개 있었다. 가마 한 곳에 쌍가마가 있었기 때문에 가마는 8개였다. 서로 순번을 정해 가마에 물을 넣고 불을 지폈다. 염전 일이 다른 일보다 벌이가 좋았기 때문에 사등사람들은 물론 인근 주민들도 염전 일을 많이 했다. 사등마을은 검당, 사등, 죽림 세 개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소금은 검당마을을 중심으로 생산했다. 해방전후 소금을 굽던 검당마을에만 300여 호가 거주할 정도로 번성했던 마을이다. 지금은 10여 집만 남아 있다. 심원면에서는 사등 외에 만돌, 수다 지역에서 소금을 구웠으며, 부안지역에서도 소금을 다수 생산했다.
'당그레'로 소금을 긁는 김노인 얼굴에 땀이 흐른다. 벌막 옆에서 꼬박 날을 샜다. 아침해가 밝아오면서 가마에서는 '뽀글뽀글' 소금이 내리는 소리가 들렸다. 이제 불을 낮춰야 한다. 혀를 낼름거리는 불길을 죽였다. 그래야 소금이 산다. 밤새 마당에 눈이 쌓이듯 벌막 가마에 소금이 내렸다. 노인은 그렇게 원하던 소금을 구웠다. 잊어버리지 않으려고 꿈속에서도 간직했던 소금굽는 기술을 누구에게 전해 줄 것인가. '어르신 아직도 할 일이 남았네요' 목구멍까지 올라오는 이 말을 할 수 없었다. 며칠 후 김노인이 60년 만에 만든 소금은 선운사에 보은염으로 바쳐질 것이다. ⑼장장(場長)=ⓐ중국에서 製鹽場의 사무를 맡아보는 장관ⓑ극장,농사시험장따위의 장
⒀장소(場所)ⓐ처소ⓑ자리.좌석 ⓒ장소(場所)=지금있는 자리나 또는 처소라는개념도있지만 무엇이 있거나 무슨일이 벌어지거나하는곳을 말하기도하는것이다 ⑽장수세(場收稅)=장세 ⑾장옥(場屋)=ⓐ관리를 등용할때의 시험장.<자치통감>唐人謂公院爲場屋 至今猶然ⓑ劇場 ⑿장외(場外)ⓐ어떠한 처소의 바깥ⓑ<制>과장의 밖 .포장 밖
⒁장중(場中)=과장의 안.과거마당의 안 ⒂장중득실(場中得失)=ⓐ과장에서는 잘하는 사람도 낙방할때가 있고 못하는 사람도 급제하는 사람이 있듯이 일이 생각하는 바와 같이 이루어지지않음을 일컬음ⓑ거의 다 되어가던 일이 뜻대로 아니됨을 일컬음. (16)장체게(場遞計)=시장에서 비싼 변리로 돈을 꾸어주고 장날마다 본전 얼마와 변리를 받아 들이는 일
(17)장타령(場打鈴)=속된 잡담의 한가지.동양하는 사람이 장판이나 길거리로 돌아다니면서 부르는 노래 .(18)장포(場圃)=ⓐ뜰.밭 <周禮>掌國之場圃ⓑ곡류를 걷어들이는 뜰<시경>구월축장포
------------------
--------------- 반려견 건강백서 - 반려견 관리에 대한 진실 혹은 거짓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 중 개를 키우는 수는 전체 반려 가구에 94.2%를 차지한다. 우리나라 반려인들이 가장 많이 키우는 것으로 알려진 10개 견종의 특징과 질병을 소개한다.
================볼만한 동영산↓아래글자를 클릭 http://www.tagstory.com/video/100476226 ===================올 봄에도 전남 신안증도의 꽃소금은 화사하게 여물었다. 증도 태평염전에서 염부들이 올해 처음 나온 천일염을 부지런히 거두고 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