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에는 울림이 있어야 김희진(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신문에서 제목은 간판 구실을 한다. 좋은 제목은 본문 내용의 요지를 드러내면서도 기사 내용을 돋보이게 하여 결국은 신문의 품질을 높이는 데에 큰 힘을 발휘한다.
앞으로 일간 신문의 제목을 대상으로 정확성, 압축성, 간결성, 참신성 등을 기준으로 삼고 독자 여러분과 함께 생각하는 자리를 마련해 볼까 한다. (출처는 신문 제호, 발행 월일과 수록 면순으로 밝히되 제호는 흔히 불리는 약칭을 사용한다. 다만,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용례에는 제호는 밝히지 않기로 한다. 시각차에 따라 달리 해석될 소지가 있는 내용으로 해당 언론사에 상처를 줄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우선 기사 본문 내용을 간결하게 요약하고 운율까지 살린 예를 본다.
① 이 부자 참부자 (중앙, 6. 19. E13.)
<父子><富者>
② 佛 “못 끌걸”/伊 “못 뺄걸” (세계, 7. 8. 20.)
①은 아버지와 아들이 따로따로 사업하여 둘 다 크게 성공했고 남을 열심히 돕기도 한다는 내용. ‘부자(父子 · 富者)’라는 동형어(장단은 다르지만)를 활용한 여섯 글자로 본문 내용을 압축하고 가치 판단까지 곁들였다.
②는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독일 베를린에서 세계 축구의 정상 자리를 놓고 최후의 일전을 벌이게 되었다는 내용. ‘못 끌걸’과 ‘못 뺄걸’의 첫 음절과 끝 음절을 맞추며 리듬도 살렸다.
다음은 연상되는 말을 동원한 예다.
③ “발 과장, 당신의 손이 더 필요해요” (동아, 7. 1. 24.)
<Balson>
한국은행에서 18년간 영어 번역을 맡아 온 발슨(Balson) 씨가 정년 후에도 남기로 했다는 내용. 평소 그가 ‘발(←Balson) 과장’으로 불린다는 사실은 기사 본문에서 밝혔다. ‘발’ 하면 바로 연상되는 ‘손’을 동원하되, 그 손이 ‘일손’임을 알리는 재치를 보였다.
다음엔 한자(漢字)를 활용해 만든 예를 보자.
④ 4년 뒤엔 우리도 伊들처럼… (매경, 7. 11. A33.)
⑤ 소처럼 일했더니 행복이 牛르르 (6. 30. 14.)
④는 이탈리아가 프랑스를 꺾고 월드컵에 4회 우승을 한 일을 두고 우리 한국도 이탈리아처럼 정상에 올라가 봤으면 하는 소망을 드러내며 ‘우리도 그들처럼’이라는 영화 제목을 원용하였다. ‘伊(이)’가 ‘이탈리아 사람’을 가리킴은 물론이다.
⑤는 송아지 세 마리를 20년 만에 800마리로 불린 부농(富農)의 이야기. ‘牛르르’의 ‘牛’는 소를 나타내는 효과를 노린 듯하나 나머지 ‘르르’를 무의미한 철자로 남겼다. 또 ‘우르르’가 대체로 사람이나 동물 따위가 한꺼번에 움직이거나 한곳에 몰릴 때, 액체가 갑자기 끓어오르거나 넘칠 때, 쌓인 물건들이 갑자기 무너져 내리거나 쏟아질 때, 폭포수가 쏟아져 내리거나 천둥이 울릴 때 쓰이므로, ‘행복’과 어울리기에는 무리한 면이 있다. 한자를 제대로 익히지 못한 독자가 고유어 ‘우르르’를 ‘牛르르’로 오해할 우려도 있다.
다음에는 단어 선택이 적절하지 않은 예를 보자.
⑥ 세계 4위 갑부 캄프라드 “무덤엔 한 푼도 안 갖고 가” (6. 27. 29.)
⑦ 초토화된 인제 덕산리 주민들의 고통 (7. 18. 9.)
⑥의 ‘갑부(甲富)’는 ‘부자’와 같은 말이 아니다. ‘최고의 부자’, ‘일등 부자’가 ‘갑부’다. ‘충주 갑부’라 하면 충주에서 첫째가는 부자요, ‘당대의 갑부’라 하면 당대에 으뜸가는 부자인 것이다. 이런 뜻을 지닌 ‘갑부’에 ‘4위’를 붙일 수는 없다. ‘일등’이면 ‘일등’이지 ‘네 번째 일등’이라고 말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④의 ‘갑부’는 ‘부자’로 바꾼다.
⑦의 ‘초토화(焦土化)’는 수해지역에서 일어나지 않는다. ‘초토’란 불탄 땅이다. 특히 전란(戰亂)으로 불에 타서 땅이 검게 그을리고 황폐해져 못 쓰게 된 상태를 나타낸다. “특정지역을 모조리 불태워 버리는 군사작전”이 ‘초토작전’이다. 이 밖에도 “영화계 초토화”, “게임시장 초토화”처럼 사물이 불타 흔적 없이 사라짐을 비유할 때에도 쓰인다. ⑦의 ‘초토화된’은 ‘폐허가 된’이나 ‘쑥대밭이 된’으로 고쳐 쓰는 것이 무난하다.
기자들의 고뇌와 열정이 스민 지면(紙面), 지면의 꽃이라 할 제목. 이 제목이 정보와 울림이 있을 때 우리에게 더 큰 기쁨을 준다.
제목은 고뇌 끝에 피어난다. 김희진
제목 달기 중에 인용·원용법, 혹은 패러디(parody)라는 것이 있다. 기사 요지를 간명하게 요약하되 잘 알려진 속담이나 노랫말·유행어 등을 끌어다 살짝 바꿔 얹으면 그런 대로 새로운 맛이 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보자.
(1) ‘하늘의 여권 따기’ 다소 숨통(한국, 7. 28. A12.)
(2) 순조로운 출발 ‘반’은 이뤘다/반기문 장관, 유엔 총장 1차 예비 투표서 1위(경향, 7. 26. 2.)
(3) “낳아만 주세요, 국가가 있잖아요”/이 한마디면 저출산 해결되는데……(동아, 8. 9. 37.)
(4) 北 “유로화로 주면 안 되겠니?”(한국, 7. 27. 6.)
(1)은 속담 “하늘의 별 따기”를 원용하여 여권 발급받기가 그만큼 어려웠음을 알렸고, (2) 역시 속담 “시작이 반”을 원용하면서, ‘반’이 ‘절반’을 뜻하는 동시에 동음어 ‘반(潘)’ 씨 성(姓)을 지닌 장관 자신을 가리키게 하는 재치를 보였다. (3)은 힘겹게 살아가는 아버지에게 용기를 북돋워 주는 노래 “아빠, 힘내세요, 우리가 있잖아요”를 원용하여 가정법(假定法)이나마 저출산의 해법을 제시했고, (4)는 최근의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유행한 ‘-면 안 되겠니’를 원용하여 북측 희망을 대변했다.
다음엔 동음어를 활용하면서 운율도 맞추려 한 예를 보자.
(5-1) 아깝다 Wie 다음엔 1위(매경, 7. 31. A33.)
(5-2) 미셸 위 “다음엔 꼭! 쉘 위 댄스”(경향, 7. 31. 26.)
(6) 설설 길 줄 알았지?/펄펄 날아다닌다!(국민 8. 10. 14.)
(7) 이공계 천국/신날만도 하지(중앙, 7. 11. E12.)
(5-1, 2)는 미셸 위 선수의 석패(惜敗)를, (6)은 설기현 선수의 쾌조를 선수의 이름자를 활용하여 나타냈다. ‘Wie ― 위’, ‘미셸 위 ― 쉘 위’, ‘설기현 ― 설설’이 그 예다. (7)은 ‘만도’라는 상호(商號)를 “신날만도 하지”라는 말 속에서 이끌어냈다. 이런 제목을 낳기 위해 편집기자들은 꽤나 고심했을 것이다.
그 밖에 “세상이 변했다/007도 변했다”(중앙, 7. 29. 17.), “같은 환자 세 번 살린 기적 소방사”(경향, 7. 31. 12.), "애간장 탔지만 살아오니 천만다행”(서울. 7. 31. 6.), “잘 아는 기업 골라 느긋이 기다려라”(경향, 7. 28. 19.), “더위 먹은 항공사들/어이없는 실수 연발”(동아, 8. 10. 12.), “민심으로 일어섰다/독선으로 주저앉다”(중앙, 8. 8. 14.), “보들보들 아기 피부/뽀송뽀송 여름 나기”(동아, 8. 14. 23.) 등이 3 · 4조, 4 · 4조의 전통 운율을 살려 시선을 끈다.
다음엔 좀 더 색다른 기법을 활용한 예를 보자.
(8) 여성은 남성보다 지적(知的)으로 □□했다(중앙, 8. 12. 18.)
(9) 무슨 돈으로 “621조 마련 쉽지 않아” 한다고 해도 “2011년 환수는 역부족”(동아 8. 15. 6.)
(10) 질병이며 ‘뚱보’… 놔둘 건가요(경향, 8. 8. 11.)
(11) "경륜이 좀… ” “경륜이 왜…”(조선, 8. 14. A3.)
(12) 또…또…또…또 ‘론스타 영장’ 기각(조선, 7. 29. A9.)
(13) 비… 빈… 빈대다! /뉴욕에서 하와이까지… 다시 창궐(조선, 8. 10. 16.)
(8)은 핵심어를 직접 드러내지 않고 네모 빈칸으로 보임으로써 독자의 궁금증을 유발하였고(이는 모 방송 프로그램에서 활용하는 기법이기도 하다), (9)와 (10)은 강한 메시지로 조목조목 따져 가며 현안을 쉽게 생각해서는 안 됨을 주장했다. (11)은 한 인물의 헌법재판소장으로서의 자질을 두고 찬반 간의 대립 양상을 넉 자(字)의 대구(對句)로써 간명하면서도 여실히 나타냈고, (12)는 영장 기각이 ‘또’를 반복한 횟수만큼 여러 차례 있었음을 알렸으며, (13)은 빈대가 출현하는 순간 시민들이 경악하는 모습을 바로 그 현장에서 지켜보듯이 생생히 느끼게 해 주었다.
이번에 동일한 사실에 대해 달리 단 제목들을 보자.
(14-1) 이창호 바둑 해설자 깜짝 변신(경향, 7. 28. 25.)
(14-2) 이창호 9단, 바둑 해설자 데뷔(중앙, 7. 28. 23.)
(14-3) 돌부처가 해설을?(동아, 7. 28. A24.)
(14-4) 이창호 해설 실력은 몇 단?(매경, 7. 28. A37.)
(14-1, 2)가 사실 전달에 충실히 하고자 했다면 (14-3, 4)는 무언가 남다르게 표현하는 데에 초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 내용을 정확히 전달하면서도 독자의 호기심을 끄는 방식도 다양함을 느끼게 하는 대목이라 하겠다.
제목 붙이기, 참으로 어렵고 힘든 일이다. 그러기에 고심하지 않으면 멋진 제목이 피어나기 어렵다. “제목은 한 줄의 시, 당신의 잠자는 의식을 깨운다”는 말은 결코 틀린 말이 아니다.
첫댓글 아마도 생활속의언어 과제물 작성에 참고가 될 것입니다.
이번 과제물은 티비 광고에서 찾아야 한답니다. 것 땜시 머리에서 쥐 납니다. 티비 볼 시간이 없어서...
선배님도 알고 계세요..ㅋㅋ형식을 참고하라고 그런게 아닐지..^^혜진언니~~여기 한번 가보세요..http://www.tvcf.co.kr/ 회원가입을 해야하는 것 같지만..TV 볼 시간이 없으시니 도움이 되실 거예요..어떤 학우님께서 올리셨던데..ㅎㅎ전 받아쓰기가 잘 안 되면 가서 한번 보려구요..ㅋㅋ
이를 어쩐다~선배님, 올해는 광고 언어에요 ㅋㅋㅋ 신문 표제는 작년 과제였구요 ㅋㅋㅋ
광곤 줄 누가 모르나요?ㅎㅎ 보리밥도 먹어봐야 쌀밥 맛을 더 잘 이해하게 되잖아요. 신문이든 광고든 접근하는 방식은 비슷하니까..^^
재밌네요..^^ 이게 '생활속의 언어'에서 배우는 거로군요.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