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품명 |
작가 |
배경, 사상, 특징 |
키워드 스토리 등을 여백에 적어보세요 |
광인일기 |
노신 1881~1936 1918.5신청년에 발표 |
반전통.반봉건 현대문학의 이정표
|
광인:계몽자의 은유 인의도덕: 식인 吃人, 아침일찍 형을 만나러 가다.
|
가 |
바진 巴金 1904~2005 |
구시대.신시대 갈등 봉건대가정 고씨집안 |
줴신 :메이펀 버리고 루이제와 결혼 메이펀-불행한 결혼, 병사 루이줴-할아버지위독할 때 출산기(부정) 성밖으로 쫒겨남 줴민- 사랑지켜냄 밍펑을 잃은 동생을 위로하며 진정시킨다 줴우이 -사랑하던 하녀 밍펑:자살 꿈속에서 배타고 도망가던 중 풍랑속으로
|
변성 |
선충원 沈從文 1902~1988 |
봉건사회비판 |
차퉁마을, 작은강, 나룻배, 뱃사공 할아버지, 열세살 외동딸 추이추이 이야기(엄마와변방수비병과의은밀한 관계-군인독약,여인 아이낳고 강물) 차퉁마을 배경 및 생활상, 백하강 정경 주변이 고요한 성내마을 사람들 성밖의 하가쪽-음식점 술집얘기 순순부두관리인(군대 경력) 18세텐바오.16세뉘송 두아들에게 칼을 써서 몸과 마음 지키는 법을배우게하는 내용
|
봄의 소리 |
왕멍 王蒙 [1934년생~ |
의식의 흐름:자유연상 내적독백 자의식 추구 반소설 기법 현대주의 문학사조 (모더니즘) 과거 현재 미래/ 개인 국가 역사에 관한 것 |
춘절 맞아 고향, 위에즈펑, 찜통열차 달이 움직인다.철로,기차표, 22년만의 고향 개혁개방초기 흙먼지와종이연기-매화침 여인-독일어, 음악, 왈츠
|
18세 집을 나서 먼 길을 가다 |
위화 余华 |
선봉소설: 모호함 전위, 아방가르드 소설과 현실과의 관계 -애초부터 무관하다고 상정 보통사람의 삶에 주목 1987년작 |
사과 트럭 자전거 -광주리 아스팔트길 여관
|
번뇌인생 |
츠리 池莉 |
신사실 소설 도시민의 일상생활 1987년작 |
인자호우(평범한 서민) 레이레이(어린아이)- 구걸하는노인얘기 지각으로 장려금 빼앗김 연락선에서 졸음 하루일과 건물 헐린다는 소식
|
* 주의를 요하는 문장이나 단어 등 참고 사항있으면 그냥 가지 마세요. 댓글 부탁!
예) 讨 장가들다 (토론하다) /拆 헐다(헐어버릴탁) 折꺾다 (꺾을절)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1. 전통사회의 생활문화를 탐구하는 태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전통문화가 갖는 의의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인의 생활문화를 이해한다.
② 전통사회와 근대사회를 비교하여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③ 민중생활사보다는 지배층인 양반생활문화에만 초점을 두어 연구한다.
④ 전통 속에서 가치 있는 문화를 찾아 창조적으로 계승하는 기회로 삼는다.
2. 조선시대 사람들의 삶을 살펴본 것으로 사실과 다른 것은?
① 조선전기에는 장자 이외의 다른 자녀들도 돌아가며 제사를 지낼 수 있었다.
② 조선전기부터 고춧가루와 둥근 배추를 재료로 한 김치가 보편화되었다.
③ 오일장은 경제행위공간이자 놀이공간으로 지역 민중의 삶을 잘 보여준다.
④ 조선시대 양반의 혼인은 그들 사이의 관계망을 형성하는 기본적인 행위였다.
3. 다음 중 한국 전통생활문화와 관련된 발굴 주제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자연지리 변화와 교통 및 도로의 변천
② 지역의 토속음식과 특산물
③ 근대화 과정에서 형성된 가치와 문화
④ 민속의례와 놀이문화
4. 다음 중 생활문화 연구에 대한 설명을 적절히 짝지은 것은?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가, 라
《정답》
1.③ 2.② 3.③ 4. ②
1. 다음 중 양반의 평생의례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회혼(回婚) ② 유배(流配) ③ 회갑(回甲) ④ 돌잔치
2. 돌잔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초청된 하객들은 이후 아이의 연망(聯網) 형성과는 무관하였다.
② 아이가 한 해를 무사히 넘긴 것을 축하하고 성장을 기대하였다.
③ 할아버지, 아버지가 아들이나 손자를 위해 『효경』 등을 제작하였다.
④ 초청된 하객들이 한두 글자를 써서 『천자문』을 만들어주기도 하였다.
3. 다음 설명에 적절한 의례는?
① 회방(回榜) ② 이이(離異) ③ 혼인(婚姻) ④ 허참(許參)
4. 다음 중 조선시대 양반의 혼인 풍속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지방 양반의 경우 혼인을 통해 가문의 지체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② 혼인할 때 시아버지가 며느리에게 특별히 재산을 나누어 주기도 하였다.
③ 양반 가문의 가격(家格)을 높이는데 혼망(婚網)이 중시되었다.
④ 혼인 당사자가 적절한 능력을 갖추었다면 가문은 고려의 대상이 아니었다.
5. 조선시대 양반생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양반들은 낙향 이후에도 가문의 명성 유지를 위해 노력하였다.
② 향교 및 서원에 출입하여 지방 양반들과 유대관계를 맺었다.
③ 친구들을 초대하여 연회를 베풀고 좋은 집안과 혼반(婚班)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④ 노비 관리는 양반 가문의 가장(家長)이 관심을 가질 만한 사안이 아니었다.
6. 조선시대 양반들의 집안 관리와 거리가 먼 것은?
① 글이나 가훈을 남겨 수신(修身)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② 조상이 물려준 토지는 혈연관계가 없는 사람에게 팔도록 하였다.
③ 조상 제사가 끊기는 것은 큰 불효로 여겼다.
④ 후손들의 사치를 금하고 검약을 강조하였다.
7. 지방 양반들과 서리들의 끈끈한 관계를 보여주는 풍속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하선동력(夏扇冬曆) ② 면신례(免新禮) ③ 도문연(到門宴) ④ 향교 참배
8. 조선시대 양반들의 교유와 연망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① 지방 양반들은 경화세족(京華世族)과 연망을 유지하기 위해 힘썼다.
② 지방 양반들은 중앙 서리들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전달받았다.
③ 중앙과 관계를 맺은 지방 양반을 ‘단골리(丹骨吏)'라 하였다.
④ 중앙 서리들은 서울에 있는 지방 양반의 집과 노비 관리 등을 해 주었다.
9. 다음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양반의 의례로 적합한 것은?
① 회근(回巹) ② 회방(回榜) ③ 회갑(回甲) ④ 회자
10. 사람이 누리는 오복 중 다음 설명에 가장 적합한 것을 고르시오.
① 다남(多男) ② 고종명(考終命) ③ 회혼(回婚) ④ 창방(唱榜)
《정답》
1.② 2.① 3.③ 4.④ 5.④ 6.② 7.① 8.③ 9.① 10.②
1. 다음 중 조선시대에 중견 문무 관리를 채용하기 위한 시험으로 적절한 것은?
① 문무과(文武科) ② 승과(僧科) ③ 잡과(雜科) ④ 역과(譯科)
2. 조선시대 과거 시험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과거는 3년마다 실시하는 식년시(式年試)와 필요시 실시하는 별시(別試)로 구분된다.
② 문과 급제는 매우 수월하여 한 해에 평균 수백 명의 합격자를 배출하였다.
③ 관리가 되는 서너 가지 방법 중 가장 확실한 길이었다.
④ 별시는 필요한 인원을 그때그때 선발하여 수가 일정하지 않았다.
3. 다음 중 행사의 성격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① 방방의(放榜儀) ② 삼일유가(三日遊街) ③ 도문연(到門宴) ④ 회갑연(回甲宴)
4. 과거 급제와 관련된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① 국가에서는 문무과 급제자들을 위해 성대한 의례를 거행하였다.
② 국왕이 홍패(紅牌)와 모화(帽花)를 직접 하사하고, 주과(酒果)를 내려주었다.
③ 문과에 합격하면 수습 과정 없이 바로 실무에 배치될 수 있었다.
④ 합격자들은 고향에 돌아가 축하연과 향교 대성전(大成殿) 참배 등을 하였다.
5. 과거 급제와 합격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합격을 축하하는 의미에서 친지들로부터 특별히 토지, 노비 등을 지급받기도 했다.
② 도문연(到門宴)을 통해 관리 생활의 선후배 사이에 연망을 맺을 수 있었다.
③ 문과 급제는 부모에게서 상당한 재산을 분배받는 축재(蓄財)의 지름길이기도 하였다.
④ 지방 수령이나 중앙 파견 관리는 합격자의 도문연(到門宴) 참가를 일체 금지당했다.
6. 다음 중 문과 합격자들이 급제 후 임시로 배속되는 삼관(三館)이 아닌 곳은?
① 성균관(成均館) ② 승문원(承文院) ③ 소주방(燒廚房) ④ 교서관(校書館)
7. 문과 급제자들의 ‘분관(分館)’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급제자들은 유교 경전에 해박하므로 실무는 익힐 필요가 없었다.
② 분관된 사람들을 지칭할 때 붙이는 ‘권지(權知)’는 임시직을 뜻한다.
③ 신급제자의 관직 생활은 분관시 배속된 기관과 큰 상관이 없었다.
④ 신급제자들은 승문원이나 성균관보다 교서관에 분관되는 것을 선호하였다.
8. 다음 중 관직생활을 처음 하는 이들이 겪는 ‘신고식’이 아니었던 것은? 52-4
① 허참 ② 면신례 ③ 회방 ④ 회자
9.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신입 관리의 ‘신고식’으로 적절한 것은? 52~53
① 허참례 ② 회자 ③ 창방의(唱榜儀) ④ 문희연(聞喜宴)
10. 조선시대 관리 생활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① 같은 부서 동료들끼리 잦은 회합을 갖고 동료의식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② 신입 관리는 명함을 돌리고 향응을 제공하는 등의 ‘신고식’을 거쳤다.
③ 관직 선후배들은 계(契)나 계회(契會)를 결성하였다.
④ 관리로서 실무능력을 갖추었다면 가문이나 연망(聯網)은 영향을 주지 못했다.
11.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그림의 명칭으로 적합한 것은? 54-7
① 반차도(班次圖) ② 계회도(契會圖) ③ 수렵도(狩獵圖) ④ 진설도(陳設圖)
12. 조선시대 관리생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① 관리들은 계회에 참석하고, 그 기회를 이용하여 연망을 형성하려 하였다.
② 관리들에게 연망은 중요한 요인이어서 한미한 가문 출신은 연망을 넓히려고 노력하였다.
③ 같은 해 같은 시험에 합격한 동방(同榜)은 승진, 이동시 같은 지위의 관직을 제수받았다.
④ 관원을 인사 조치할 때 해당 품계보다 높거나 낮은 관직을 제수하는 경우가 있었다.
13. 조선시대 관리생활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중앙 관리는 서울에서 생활하기에 넉넉한 녹봉을 받고, 봉급도 계속 늘어났다.
② 흉년 등으로 국가 재정이 악화되면 규정보다 적은 녹봉을 받는 경우가 있었다.
③ 요직에 있는 경관(京官)들은 지방 수령으로부터 많은 선물을 받았다.
④ 지방 수령들은 명절에 중앙 고관들에게 선물을 보내 관계 유지에 힘썼다.
14. 조선시대 경관(京官)과 지방관(地方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63-7,하5
① 경관과 지방관은 서로 선물을 주고받으며 청탁하는 일이 없었다.
② 경관(京官)들은 봉급만으로 서울 생활이 가능하여 친지로부터 선물을 받지 않았다.
③ 박지원은 경관(京官)이었기 때문에 수시로 집에 말린 고기와 곶감을 보내줄 수 있었다.
④ 지방 관아에는 수령이 유용할 수 있는 재원이 있었다.
15. 조선시대 관리의 유배와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한 정파가 집권하면 실각한 정파의 주요 관리들이 유배형에 처해졌다.
② 한 번 유배를 당하면 복관되어 정계로 돌아가는 것은 일생동안 불가능했다.
③ 조선전기에 사화와 당쟁이 잦아지면서 많은 관리들이 유배를 겪게 되었다.
④ 조선후기에 유배는 ‘정치금고’와 동일한 처벌로 간주되었다.
16. 조선시대 관리의 유배에 관한 내용으로 맞지 않는 것은? 64-11
① 유배된 관리가 유배지의 수령이나 아전들로부터 좋은 대우를 받는 경우도 있었다.
② 유배에 드는 모든 비용과 유배지의 생활비가 국고로 충당하였다.
③ 유배지에서 가족이나 비복을 거느리고 사는 경우도 있었다.
④ 유배된 관리가 독서, 저술, 교육에 힘써 유교를 진작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17. 조선시대 유배와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피유배자가 유배길에 들르는 군현 수령으로부터 향응을 제공받기도 하였다.
② 정쟁에서 실각한 정파의 주요 관리들이 유배를 가는 일이 많았다.
③ 유배된 관리가 유배지에서 가족과 함께 사는 일은 전혀 없었다.
④ 해배되어 복관된 관리가 유배지의 자제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기도 하였다.
18. 다음 중 과거 급제자를 위해 국가가 거행한 의례로 적절히 묶은 것은? 46-13
① 가, 나 ② 가, 다 ③ 나, 다 ④ 나, 라
19. 조선시대 관리생활에 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① 본인이 사직을 원하더라도 국왕이 놓아주지 않으면 어려움을 겪었다.
② 관직에서 물러나 낙향할 때 노령이나 질병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③ 관리가 사직하기 위해 수십 번 상소를 올리는 경우도 있었다.
④ 관직에 나아가고 퇴직하는 일은 본인의 희망에 따라 쉽게 처리할 수 있었다.
20. 다음 설명에 적절한 항목을 고르시오. 64-9
① 유배(流配) ② 태형(笞刑) ③ 복관(復官) ④ 사형(死刑)
《정답》1.① 2.② 3.④ 4.③ 5.④ 6.③ 7.② 8.③ 9.① 10.④ 11.② 12.③
13.① 14.④ 15.② 16.② 17.③ 18.③ 19.④ 20.①
1. 다음 중 조선시대 혼인절차와 설명이 잘못 묶인 것은?
① 의혼 : 혼인을 의논하는 절차로 상당한 법적 구속력을 가졌다.
② 납채 :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납채문과 사주단자를 보냈다.
③ 납폐 : 혼인 전날 납폐문과 빙재를 신부 집에 보냈다.
④ 친영 : 신랑이 신부 집에 가서 자기 집으로 데리고 오는 절차이다.
2. 조선시대 혼인풍속과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주혼자는 중매인과 함께 혼담을 이루어내고, 혼인에 법적 책임을 지는 사람이다.
② 양반가에서는 자상혼(自相婚)을 비롯한 연애결혼이 폭넓게 허용되었다.
③ 주혼자는 당사자의 아버지, 할아버지, 할머니 등 집안의 어른들이 맡았다.
④ 친영 절차에서 신부는 시부모를 뵙는 현구고례[폐백]를 올린다.
3. 다음 설명에 가장 적절한 혼인절차는?
① 의혼 ② 납채 ③ 납폐 ④ 친영
4. 혼인 후 사위가 아내 집에 남아 사는 것을 뜻하는 말이 아닌 것은?
① 입장(入丈) ② 시집살이 ③ 입장가(入丈家) ④ 처가살이
5. 다음 중 그 성격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① 서류부가혼(壻留婦家婚) ② 봉사혼(奉仕婚) ③ 노역혼(勞役婚) ④ 중혼(重婚)
6. 조선시대의 혼인풍속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조선후기에도 대부분의 양반들은 처가살이를 하며 윤회봉사를 했다.
② 신부가 시집으로 들어가는 것을 ‘우귀(于歸)’라 하였다.
③ 조선중기까지는 처가살이가 많고 아이들은 외가에서 성장했다.
④ 혼인 풍속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7. 조선시대의 혼인풍속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① 유학자들은 서류부가혼이 천도(天道)에 들어맞지 않는다고 비판하였다.
② 16세기부터 친영례와 서류부가혼을 절충한 반친영이 등장하였다.
③ 18세기 들어 혼례와 살림을 모두 신부 집에서 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④ 윤회봉사나 자녀균분상속은 서류부가혼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8. 조선시대의 혼인풍속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경국대전』은 남자 15세 이상, 여자 14세 이상의 혼인을 허락하였다.
② 양반은 부모의 경제력으로 인해 평민보다 혼인연령이 낮은 경우가 많았다.
③ 국가가 가난한 서울 사람들의 혼인을 지원한 사례도 있다.
④ 조선시대 성인 남녀의 경제적 자립 연령은 현대 사회와 동일하다.
9. 다음 중 조선시대 혼인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남녀 사이의 결합인 동시에 가문과 가문 사이의 결합이었다.
② 혼인으로 인한 혈연 계승은 사회활동에 영향을 주기 어려웠다.
③ 양가의 사회적 지위와 경제력이 혼인 성사 여부에 중요하였다.
④ 우리나라에서 일부일처제의 시행은 분명해 보인다.
10. 다음 <보기>가 설명하는 혼인의 성격으로 적절히 묶인 것은?
① 가, 나 ② 나, 다 ③ 가, 라 ④ 나, 라
11. 다음 중 혼인 풍속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고려시대에는 첩이 아닌 처를 여럿 거느린 사례가 발견된다. 88-3
② 조선시대 양반가의 처첩 구분은 신분이 아니라 혼인 순서대로 결정되었다.89-3
③ 서얼들은 아버지가 양반이므로 문무관직에 자유로이 나갈 수 있었다. 89-10
④ 조선시대의 천첩의 자녀는 원칙대로 모두 천인(賤人)으로 떨어뜨렸다.89-7~10
12. 다음 중 조선시대의 ‘이혼’을 뜻하는 말이 아닌 것은? 90-1
① 이이(離異) ② 기처(棄妻) ③ 출처(出妻) ④ 회근(回巹)
13. 고려와 조선시대의 재혼과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고려시대에는 재혼이 자유로웠으나 국가에서 수절을 장려하기도 하였다. 90하8~4
② 조선시대에 세 번 시집간 여성의 자식들의 관직 진출은 제한을 받았다. 91-2
③ 조선시대의 재가(再嫁) 규제는 여성이 재혼을 못하도록 금지한 것이다.
④ 조선중기까지는 재가에 대한 견해가 부정적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92-4
14. 다음중 ‘칠거지악’의 조항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① 도벽 ② 부귀 ③ 음행 ④ 투기
15. 조선시대 혼인풍속과 관련하여 타당한 내용을 고르시오.
① 이혼시 아내를 내쫓는 명분으로 칠거지악이 있었다. 90-9
② 조선시대 양반들은 도덕과 명분을 중히 여겨 대체로 축첩에 반대하였다. 88하2
③ 조선시대의 이혼은 남편과 아내가 대등하게 제기할 수 있었다.
④ 남편이 아내를 내쫓는데 예외조항은 없었다. 90-13
《정답》 1.① 2.② 3.④ 4.② 5.④ 6.① 7.③ 8.④ 9.② 10.③ 11.① 12.④ 13.③ 14.② 15.①
1. 다음 중 조선시대의 가훈에 대한 설명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집안 어른이 자녀 또는 후손들에게 주는 가르침, 교훈을 일컫는다.
② 가훈은 내용과 형식이 각 집안마다 유사하여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다.
③ 가훈은 구전으로 전해지거나 책으로 간행되기도 하였다.
④ 가훈은 당시의 문화상을 이해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2. 다음 내용 중 가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각 가정의 가훈은 가정의 윤리규범으로 작용하였다.
② 가훈은 다른 가문과 자기 가문을 차별화시키는 방편이 되기도 하였다.
③ 관념적인 덕성 함양을 주 내용으로 하여 구체적 작성 사유는 알 수 없다.
④ 가훈을 통해 집안 사람들의 연대와 결속력을 다지려 하였다.
3. 다음 중 가훈을 가리키는 말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정훈(庭訓) ② 계자서(戒子書) ③ 가범(家範) ④ 별급문서(別給文書)
4. 가훈서의 시기별 변천에 대한 설명으로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것은?
① 조선 초기의 가훈서에는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풍부히 수록되어 있다.
② 양란을 겪으면서 양반 사족(士族)들은 집안의 결속 방편으로 가훈서를 많이 만들었다.
③ 가부장적 가족질서 강화에 가훈서는 유용한 도구가 되었다.
④ 18세기에 이르면 그림으로 그린 가훈서도 출현하게 된다.
5. 다음 설명에 부합하여 출현한 가훈서로 적절한 것은?
① 신숙주의 「가훈」 6조목 ② 송시열의 「계녀서」 ③ 이유태의 「정훈」
④ 유희춘의 「십훈」
6. 조선시대 사대부가 여훈서의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형제와 친척간에 화목하게 지내는 도리
② 과거시험을 보아 사회에 진출하는 방법
③ 제사를 받들고 손님을 대접하는 도리
④ 자녀를 교육하는 도리
7. 다음 중 17세기 이후 가훈의 기본체제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수신(修身) ② 처세(處世) ③ 상업(商業) ④ 제가(齊家)
8. 다음 중 가훈과 가훈서에 대한 설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18세기 이후에는 가훈이 전문화되고 간행본도 늘어났다.
② 여훈서는 조선시대 사대부가 여성들의 행동에 관한 사회적 규범을 보여준다.
③ 여훈서는 남녀가 힘써야 할 본업을 동일하게 규정하였다.
④ 18세기 이후에는 가훈의 대상이 노비까지 넓어지기도 하였다.
9. 다음은 윤선도의 「충헌공가훈」의 내용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도덕적이고 관념적인 내용이 대부분이다.
② 무속에 현혹되지 않도록 경계하였다.
③ 노비를 관리하고 다스리는 일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④ 몸가짐과 의복에 대한 검속을 당부하고 있다.
10. 다음 어느 가문의 가훈이 지시하는 내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과객에게 인정을 베풀 것을 당부하였다.
② 부자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였다.
③ 과거를 통한 고위 관직 진출을 가문의 목표로 삼았다.
④ 흉년에 가난한 이들이 헐값에 내놓은 땅을 사는 것은 도리가 아니라고 보았다.
《정답》
1.② 2.③ 3.④ 4.① 5.② 6.② 7.③ 8.③ 9.① 10.③
1. 다음은 두레와 관련된 어떤 의식을 설명하고 있다. 적절한 내용을 고르시오.
① 기세배 ② 백중놀이 ③ 호미모듬 ④ 진세턱
2. 두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두레농사를 할 때 향촌사회 사족(士族)들의 감독을 받았다. *사족들 힘이 약해져서 생김
② 두레는 마을에 거주하는 청장년 농민으로 구성된다.
③ 규모가 큰 마을에서는 2-3개의 두레가 조직되기도 하였다.
④ 두레는 촌계와 깊은 관련이 있다.
3. 다음 중 민중의 공동노동조직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수눌음 ② 그물접 ③ 향약 ④ 황두
*수놀음-제주도 지역 그물접- 제주도 지역 해녀 황도-평안도 지역
4. 두레조직 임원의 명칭과 설명에 대해 적절히 짝지은 것을 고르시오.
① 가-㉠ ② 나-㉠ ③ 다-㉡ 4. 나-㉢
유사(공원):두레패가 작업하는 농지의 노역가를 산출하는 논 공원, 식사를 조달하는 밥 공원을 말한다.
5. 두레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밥 나르는 담당을 식화주라고 부른다.
② 영상은 두레패와 두레농사일을 실질적으로 지휘한다.
③ 두레 조직 구성원의 명칭은 지역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④ 총각대장은 총각대방, 총각좌상으로도 불린다.
6. 두레와 관련된 다음 내용이 가리키지 않는 것은?
① 농기 ② 두레기 ③ 들독들기 ④ 대장기
7. 두레노동 방식으로 사실에 부합하기 어려운 것을 고르시오.
① 모내기, 물대기, 김매기 등 논농사 경작과정이다.
② 일터로 향할 때에는 두레기를 앞장세우고 풍물을 친다.
③ 풍장에 맞추어 논으로 들어가 김매기를 한다.
④ 새참과 식사는 농민들이 각자 준비하여 먹는다.
8. 다음 중 두레의 호미씻이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호미걸이 ② 풋굿 ③ 고지(雇只) ④ 장원례
9. 두레와 관련된 다음 설명에 부합하는 내용은?
① 두레굿 ② 들돌들기 ③ 진세턱(신입자들이 술이나 가벼운 안주로 대접하는 것) ④ 기세배
10. 두레의 변형과 소멸에 대해 설명한 다음 내용 중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① 19세기 이후 민중의식이 성장하면서 두레조직의 역할이 강화되었다.
② 일제는 농촌을 지배하기 위하여 두레를 적극적으로 지원 ․ 존속시켰다.
③ 품앗이는 두레의 문화적 전통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④ 두레조직은 한 마을에만 한정되므로 마을 외적인 연대를 가질 수 없었다.
《정답》 1.③ 2.① 3.③ 4.③ 5.② 6.③ 7.④ 8.③ 9.② 10.①
1. 다음 중 나머지 세 상점과 성격이 다른 하나는?
① 육의전 ② 시전 ③ 난전(정부의 정식 허가를 받지 않은 상점) ④ 육주비전
2. 산업화 이후의 시장을 가리키는 말로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① 성읍시(정치 사회 생활의 중심지) ② 가로시(교통이 편리한 길가) ③ 도매시장 ④ 조석시
3. 다음 중 조선시대 시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
① 장시는 17-18세기에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② 대동법 시행은 장시가 확대되는데 영향을 주었다.
③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2-3일 간격으로 열리는 장도 있었다.
④ 전주읍장은 읍민의 요구에 따라 곧 상설시장이 되었다.(*사대문 입구에서 번갈아 장이 열렸음)
4. 다음 중 조선시대의 상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보부상(褓負商) ② 수령(守令) ③ 공인(貢人)*중개상인:객주, 거간, 공인 ④ 선상(船商)
5. 스키너(G. W. Skinner)의 전통 농민사회 시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교통수단이 발달하면 농촌사회의 정기시장은 곧 소멸한다.*영세민-생계위해, 농민-교통비 시간절약위해 존속
② 농민들의 소비는 자급자족적 성격이 강하여 매일 시장에 나갈 필요는 없다.
③ 공급자의 입장에서 하나의 시장에만 의존하기에는 이익이 적다.
④ 시장이 정기적으로 열리면 공급자는 여러 개의 시장에 의존할 수 있다.
6. 송파장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① 보부상과 마행상(馬行商)들은 송파장을 기점으로 전국을 돌았다.
② 서울로 공급되는 경기도 남동부의 물산이 송파나루를 건넜다.
③ 1925년 을축년대홍수 이후 송파진이 잠기면서 옛 모습을 잃게 되었다.
④ 1900년을 전후하여 운송수단 발달로 송파장 경기는 더욱 상승하였다. *경기는 후퇴
7. 조선시대 오일장의 입지와 관련된 설명으로 관계가 적은 것은?
① 교통의 요지에서는 열흘에 네 번 간격으로 장이 열리는 경우도 있었다.
② 화성 건설 이후 수원은 삼남으로 가는 주요 길목으로 부각되었다.
③ 나주, 부안 등 상거래가 활발한 지역의 정기시장은 곧 상설화되었다.*열흘에 네 번 간격 2,4,7,9일
④ 장날은 주변 장을 고려하여 상인들이 순환할 수 있도록 짜여져 있었다.
8. 조선시대 상인과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① 행상조직이 자체조직을 갖춘 최초 시점에 대해 문헌을 통해 정확히 알 수 있다.
② 조선 초기 선상(船商)은 한강변에서 세금으로 거둔 곡식을 운반해 왔다.
③ 공인(貢人)은 국가의 허락을 받은 상점인 시전(市廛) 상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④17세기 중엽 이후 지방의 장시의 활성화를 위해 지방관은 세금을 감면해 주었다.*수세(收稅)의 표적이 됨
9. 다음 중 매매를 성사시키고 수수료를 받는 자와 관련된 내용을 모은 것은?
① 가, 다 ② 나, 마 ③ 가, 마 ④ 다, 라 *구전:거간이 받는 수수료
10. 장터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시장은 민중들에게 자연스러운 집회 장소를 제공하였다.
② 가뭄이 심하면 시장터를 옮기는 사시(徙市)라는 관행이 있었다.
③ 시장에서는 야유(野遊), 탈품 등 각종 민속놀이가 행해졌다.
④ 충주 목계별신제 줄다리기는 오늘날에도 1년에 2회씩 이어지고 있다. *1967년까지 존속
《정답》 1.③ 2.③ 3.④ 4.② 5.① 6.④ 7.③ 8.② 9.① 10.④
1. 다음 중 『백범일지(白凡逸志)』를 통해 알 수 있는 서당 관련 내용이 아닌 것은?
① 평민들도 서당을 꾸리고 글공부를 할 수 있었다.
② 훈장을 존경하고 대우가 양호하여 평민서당은 장기간 존속할 수 있었다.
③ 평민의 과거에 급제하여 출세하거나 학문에 종사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④ 학동의 신분에 따라 양반 서당과 상놈 서당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2. 조선시대 교육환경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서당의 발달은 16세기 사림파의 정계 등장과 관련이 있다.
② 17세기에는 향촌 사족(士族)과 관(官)이 도와 서당 설립에 적극적이었다.
③ 양란을 거치면서 정부는 향교 복구를 위해 교관 파견을 적극 지원하였다.
④ 양란 이후 서당 설립은 무너진 향촌질서를 회복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3. 다음 내용이 가리키는 조선시대 서당의 형태로 알맞은 것은?
① 문중공영서당 ② 유지독영서당 ③ 관립서당 ④ 훈장자영서당
4. 다음 중 초등교육을 위한 서당의 구성원으로 보기 힘든 경우는?
① 학자 ② 훈장 ③ 접장 ④ 학동
5. 다음 조선시대에 어느 탄원서를 요약한 것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로 적절한 것은?
① 조선시대 유학자들은 남에게 글을 가르치고 대가로 돈을 받는 것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② 마을 훈장은 주로 학식이 탁월한 학자들이 도맡아 취임하였다.
③ 훈장은 사회적인 존경과 높은 급여를 받는 등 매우 좋은 예우를 받았다.
④ 김양렬은 먹고 살기 위해 훈장 노릇을 하느라 이리저리 떠돌아다니고 있었다.
6. 다음 중 규모가 큰 서당의 보조교사로 하급생을 지도했던 사람을 가리키는 말은?
① 학동 ② 접장 ③ 감관 ④ 색리
7. 다음 중 서당에서 교육했던 내용과 관계가 적은 것은?
① 강독(講讀) ② 제술(製述) ③ 무술(武術) ④습자(習字)
8. 서당의 교육내용 및 방식과 거리가 먼 것을 고르시오.
① 계절의 변화와 관계없이 학습내용이나 방식은 똑같았다.
② 제술은 시(詩), 부(賦), 표(表), 책(策) 등 글을 짓는 것을 말한다.
③ 강을 하는 방식은 면강(面講)과 배강(背講)으로 구분되었다.
④ 먼 거리에서 오는 학동들을 위해 10일이나 15일에 한 번 강의하기도 하였다.
9. 다음 중 조선시대 서당에서 배울 수 있었던 교재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소학(小學)』 ② 『동몽선습(童蒙先習)』 ③ 『유합(類合)』 ④ 『불경(佛經)』
10. 다음 중 서당의 행사로 나머지 셋과 내용이 다른 하나는?
① 책거리 ② 천렵(川獵) ③ 책씻이 ④ 세책례(洗冊禮)
《정답》 1.② 2.③ 3.④ 4.① 5.④ 6.② 7.③ 8.① 9.④ 10.②
1. 다음 중 『민장치부책』과 관련된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관에서 민장을 올린 사람들의 사례를 모아 놓았다.
② 민이 올린 소지의 원본도 『민장치부책』에 수록되어 있다.
③ 민장에 대한 관의 판결 내용을 알 수 있다.
④ 민중의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갈등이 반영되어 있다.
2. 민장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으로 보기 어려운 것을 고르시오.
① 민장을 제출하려는 자는 양인 이상이어야만 가능했다.
② 집단적으로 민장을 제출하는 등장(等狀), 연판장이 있었다.
③ 사회질서 유지를 위해 관의 조치를 요구하는 청원도 민장으로 제출했다.
④ 민이 제기한 소지에 대하여 수령은 피고 대동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3. 조선시대 지방의 행정과 재판을 담당하던 기관을 적절히 짝지은 것은?
① 지방 수령, 사헌부
② 장예원, 각 도 관찰사
③ 각 도 관찰사, 지방 수령
④ 승정원, 각 도 관찰사
4. 다음 민소와 관련된 내용 중 그 성격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① 관찰사
② 비변사
③ 암행어사
④ 읍저초군
5. 조선시대 민(民)이 겪은 갈등상황과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산지(山地)를 가진 집안끼리 금송계(禁松契)를 만들어 민인들의 산림 이용을 통제하였다.
② 싸움과정에서 옷이나 갓이 망가져 값을 추심하겠다는 소지를 관(官)에 올렸다.
③ 지주는 작인에게 갑작스러운 이작, 탈경을 저지를 수 없었다.
④ 문중조직이 분화하면서 친족 내에서도 산송(山訟) 분쟁이 일어날 수 있었다.
6. 다음 전통사회에서 발생한 갈등 ․ 분쟁 중 그 성격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① 군역 탈급을 호소하는 민소
② 가옥 환퇴를 둘러싼 갈등
③ 산송(山訟) 분쟁
④ 문중 토지 이중매매로 발생한 갈등
7. 다음 <보기>의 상황에 처한 조선시대 민원인이 관에 소지를 올려 확보하려는 것으로 적절한 내용을 고르시오.
① 상언(上言) ② 의송(議送) ③ 사발통문(沙鉢通文) ④ 입지성급(立旨成給)
8. 조선시대 부세징수와 관련한 문제점들로 적절하게 짝지은 것을 고르시오.
① ㉠, ㉢ ② ㉡, ㉣ ③ ㉢, ㉣ ④ ㉣, ㉤
9. 다음 중 『민장치부책』에 기록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내용은?
① 개인들간의 토지 매매관계
② 민란 발발시 농민들의 요구사항
③ 면화, 생견 등 물품의 매매 실태
④ 문중에서 일어나는 산송 문제
10. 다음 중 조선시대의 사법기구로 보기 어려운 것을 고르시오.
① 군현 ② 사송아문 ③ 감영 ④ 서원
《정답》 1.② 2.① 3.③ 4.④ 5.③ 6.① 7.④ 8.③ 9.② 10.④
1. 다음 김치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김치는 한국인들에게 친숙한 부식이다.
② 김치는 반상 차림의 첩수에 포함되지 않는다.
③ 김치는 외국에서 우리나라에 전래된 음식이다.
④ 김치는 채소의 저장수단으로도 활용되었다.
2. 다음 음식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조리 방법은?
① 절임 ② 훈제 ③ 건조 ④ 냉동
3. 다음 중 김치의 조리와 저장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① 짠지, 오이지, 장아찌는 모두 김치의 일종이다.
② 김치의 재료는 채소만 사용하고 과일은 쓰지 않았다.
③ 침채(沈菜)는 담가서 만든 음식을 뜻한다.
④ 절여 먹을 수 있는 채소는 김치가 될 수 있다.
4. 다음 중 그 가리키는 대상이 다른 하나는?
① 침채(沈菜) ② 저채(菹菜) ③ 염채(鹽菜) ④ 어포(魚脯)
5. 다음 중 김치에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15세기 김치에 쓰인 무는 순무 종류가 더 많았다.
② 15세기 김치의 주재료로는 지금과 같은 모양의 배추가 많이 쓰였다.
③ 15세기 김치에는 오이, 가지, 순무, 동아 등의 채소가 널리 사용되었다.
④ 15세기 김치 재료로 복숭아, 수박, 살구 등이 쓰였다.
6. 김치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① 김치에 젓갈을 넣어 단백질을 보충하고자 하였다.
② 우리나라의 김치는 고려시대부터 고춧가루를 사용하여 만들었다.
③ 김치는 반찬으로 과일을 조리하는 방법으로도 사용되었다.
④ 김치는 조리방법일 뿐 아니라 채소와 과일의 저장수단이기도 하였다.
7. 다음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향신료로 적절한 것은?
① 천초(川椒) ② 호초(胡椒) ③ 호도(胡桃) ④ 새앙
8. 다음 식품의 명칭 중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① 왜겨자 ② 남만초(南蠻椒) ③ 날가(辣茄) ④ 산초(山椒)
9. 다음 중 김치에 단백질을 보충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김치에 말리지 않은 꿩고기[생치(生雉)]를 넣어 생치지, 생치짠지를 만들었다.
② 대구, 민어의 머리와 껍질을 모아 두었다가 어육김치를 만들었다.
③ 겨울에는 동치미(凍沈)를 만들어 먹었다.
④ 곤쟁이젓, 조기젓, 준치젓 등을 만들어 김치에 넣었다.
10. 다음 김치 명칭을 변천 순서대로 적절히 배열한 것은?
① 가-나-다 ② 나-다-가 ③ 나-가-다 ④ 다-가-나
《정답》 1.③ 2.① 3.② 4.④ 5.② 6.② 7.① 8.④ 9.③ 10.①
1. 다음 중 집과 집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풍수에 맞는 집터는 궁극적으로 살기 편한 환경을 찾는 것이다.
② ‘배산임수’ 지형은 교통은 편리하나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구하기 어렵다.
③ 집의 구조와 모양은 강우, 일조, 습도 등 기후와 깊은 관련을 갖는다.
④ 집은 자연환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어져야 한다.
2. 다음 중 기후를 극복하기 위한 집의 설비에 관해 잘못 설명한 것은?
① 덥고 습한 지역에서는 마루, 대청 등이 발달했다.
② 초기의 온돌은 쪽구들 형태를 취하였다.
③ 집은 자연환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어져야 한다.
④ 함경도에서는 더위를 막기 위해 마루를 집에 설비했다.
3.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난방 설비로 적절한 것은?
① 마루 ② 대청 ③ 온돌 ④ 마래
4. 집 짓기와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① 고려 개경과 조선시대 한양에는 대부분 기와로 만든 집이 일반적이었다.
② 산간지방에서는 나무를 재료로 한 너와집을 많이 지었다.
③ 기와지붕은 장식성과 내구성이 높고 화재가 번지지 않게 하는데도 효과적이었다.
④ 우리나라에서는 집을 지을 때 자연적인 미를 추구하였다.
5.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지붕의 형태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기와지붕 ② 초가지붕 ③ 너와집 지붕 ④ 벽돌 지붕
6. 다음 중 우리나라의 집짓기 주재료를 적절히 묶은 것은?
① 가, 나, 다 ② 나, 라, 마 ③ 나, 마, 가 ④ 가, 다, 라
7. 우리나라의 집 짓기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집 짓는 나무 중 소나무는 나라에서도 특별 관리하였다.
② 정원이나 담장을 조성할 때 인위적인 것보다는 자연스러움을 선호하였다.
③ 서까래나 기둥은 반드시 곧은 것만을 사용하였다.
④ 기와지붕의 널과 기와 사이는 흙으로 메웠다.
8. 우리나라 집의 규모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① 집의 크기를 재는 단위 칸(間)은 건물의 크기만을 가리키는 것이다.
② 신분, 관직에 따라 집의 규모를 제한했으나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③ 서민들이 거주하는 집은 한 채가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④ 극빈층이 거주하는 토막집은 일제강점기에는 완전히 사라졌다.
9. 다음 설명에 가장 적합한 가족의 형태는?
① 부부가족 ② 확대가족 ③ 대가족 ④ 직계가족
10. 조선시대 집과 가족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조선시대에 호적을 살펴보면 확대가족은 드물었다.
② 부부가족과 직계가족은 상황 변화에 따라 서로 넘나드는 형태를 이룬다.
③ 조선시대 호적을 통해 직계가족이 가장 많았음을 알 수 있다.
④ 조선시대 가옥구조에는 직계가족의 흔적이 남아 있다.
11. 다음 ‘초가삼간’ 그림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로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적은 수의 가족보다는 대체로 대가족을 선호하였다.
② 결혼한 자녀가 모두 부모와 함께 사는 일이 보편적 이었다.
③ 방 두세 칸으로 이루어져 한 부부가족이 살기에 적 합한 규모였다.
④ 유교적 이념에 부합하기 위해 지은 집의 구조이다.
12. 조선시대 거주 풍속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① 유교적인 이상에 맞는 확대가족 형태가 보편적이었다.
② 결혼한 자녀는 부모와 함께 살고, 부모 사망시 형제와 재산을 합쳤다.
③ 결혼 후 남자가 여자 집에 들어가 사는 입장(入丈) 풍습은 17세기부터 시작되었다.
④ 조선중기에는 처가살이 풍습이 존재하고 외가가 중시되었다.
13. 다음 중 조선시대 거주 풍속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16세기 이후 성리학적 질서 강화가 가옥구조에 영향을 미쳤다.
② 내외법으로 인해 양반가에서 여성은 안채에, 남성은 사랑채에 머물렀다.
③ 남녀 사이에 적용되는 내외법으로 인해 양반가옥에서 여성의 유폐가 이루어졌다.
④ 내외법 적용은 양반에만 한정된 것이고 일반 백성들의 집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14. 다음 중 안채 공간을 폐쇄적으로 만들기 위한 ㅁ자형 집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양통집 ② 뙤새집 ③ 뜰집 ④ 똬리집
《정답》
1.② 2.④ 3.③ 4.① 5.② 6.④ 7.③ 8.② 9.① 10.③ 11.③ 12.④ 13.④ 14.①
1. 다음 중 조선시대의 승용수단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말(馬)은 도로사정에 큰 구애를 받았기 때문에 주로 수레를 이용했다.
② 노인이나 환자가 아닌 일반 백성이 소나 말을 타면 탄 동물을 빼앗기고 처벌을 받았다.
③ 양반의 나들이에 말과 종이 따라다녀 ‘노마(奴馬)’라는 합성어도 있었다.
④ 도성에서는 양반 신분만 말을 탈 수 있었으나 지방에서는 특별한 경우 종도 말을 탈 수 있었다.
2. 다음 중 말(馬)을 특별히 관리하고 유지하는 것과 거리가 먼 항목은?
① 마의(馬醫) ② 동의보감(東醫寶鑑) ③ 마경초(馬經抄) ④ 마경(馬經)
3. 우리나라 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우리나라 조랑말은 15핸드 이상의 키가 큰 말에 속한다.
②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는 예(濊)의 과하마(果下馬)에 대한 기록이 있다.
③ 조랑말은 사료를 적게 먹고 짐을 운반하는데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④ 말은 부귀와 권세를 상징한다 하여 주로 양반들이 타고 다녔다.
4. 단거리 이동수단으로 주로 이용되며, 선비에 어울린다 하여 유생들이 애용한 동물은?
① 말 ② 수레 ③ 가마 ④ 나귀
5. 다음 승용수단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바퀴의 유무에 따라 수레와 가마로 나뉜다.
② 조선시대의 수레는 대부분 승용수단으로만 쓰였다.
③ 18세기에 박제가(朴齊家)는 북학의(北學議)에서 수레 사용을 주장하였다.
④ 부와 권세가 있는 사람들은 단거리 이동시 가마를 이용하였다.
6. 다음 중 나머지 셋과 움직이는 방식이 다른 승용기구는?
① 평교자 ② 쌍교 ③ 초헌 ④ 유옥교자
7. 가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유옥교자는 지붕과 벽이 없어 더위와 추위에 노출되어 있다.
② 정승급의 고위 관원들은 평교자를 이용하였다.
③ 소나 말 한 마리의 등에 가마를 얹은 것을 ‘독교(獨轎)’라 한다.
④ 왕과 왕족들이 타는 쌍교는 ‘가교(駕轎)’라 불렀다.
8. 이용하는 사람의 지위에 상관없이 팔걸이를 갖춘 의자모양의 가마를 부르던 명칭은?
① 양교(亮轎) ② 쌍교(雙轎) ③ 좌거(坐車) ④ 남여(籃輿)
9. 다음 중 관리들이 타는 가마와 그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관리의 가마에는 수행원들이 길 안내를 하며 따라 다녔다.
② 햇빛과 비를 차단하기 위해 수행원들은 일산, 파초선, 우산을 들고 다녔다.
③ 일반 백성들도 비가 올 때에는 모두 우산을 쓸 수 있었다.
④ 표피로 만든 아닷개는 꼬리가 붙은 채로 만들어 가마를 탈 때 꼬리를 뒤로 늘어뜨렸다.
10. 가마 풍속과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대체로 문신이 가마를 이용하고 무신이나 음관(蔭官)은 가마를 탈 수 없었다.
② 16세기 이후 국가에서는 양반 여성들에게 평교자를 탈 것을 권장하였다.
③ 가마는 지체 높은 여성들이 탈 수 있었으나 후대로 올수록 장사치의 딸이나 아전 집안 여자들도 가마를 이용했다.
④ 여염집 여자들도 혼인하는 날에는 가마를 사용하게 되었다.
《정답》 1.① 2.③ 3.① 4.④ 5.② 6.③ 7.① 8.④ 9.③ 10.②
1. 다음 중 전통마을의 생활문화와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마을문화의 족적을 통해 뚜렷한 이데올로기를 발견할 수 있다.
② 공동체 생활문화를 대표하는 것이 ‘대동계(大同契)’이다.
③ 마을문화의 전통은 대동성(大同性)으로 상징된다.
④ 마을에 거주하는 주민은 대동계원이었다.
2. 한국문화의 원형적 모습을 보여주는 현장을 조사하려 한다. 이 조사의 대상으로 가장 적합한 곳은?
① 궁궐 ② 관아 ③ 마을 ④ 감영
3. 다음 중 향도(香徒)에 대한 설명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여말선초의 향도는 조선시대 촌락공동체의 원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② 향도는 불교조직이었으나 기층민의 생활공동체조직으로 정착되어 나갔다.
③ 여말선초 촌락민은 지식인들이 보급한 성리학을 향도회에 받아들여 발전시켰다.
④ 촌락공동체 조직은 향도회, 동린계(洞隣契) 등으로 불렸다.
4. 여말선초의 향도회 및 동린계에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조직의 범위는 말단 자연촌락을 단위로 하고 있다.
② 양반들이 향촌결계류 조직에 적극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③ 촌락마다 신당(神堂)이 있어 마을제사를 지냈다.
④ 공동노역, 마을 잡역, 관혼상장을 함께 하였다.
5. 조선시대 촌락공동체 조직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을 고르시오.
① 15-16세기의 사족들은 마을 주민 지배를 위해 대동계와 촌계를 조직했다.
② 동계(洞契)는 촌락의 농민들이 주도하여 조직하였다.
③ 촌락공동체 조직은 조선시대에 시기별로 변신을 거듭했다.
④ 사족들은 마을의 대동계에 참여하여 곤궁한 주민의 진휼을 위해 노력했다.
6. 대동계(大同契)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대동(大同)은 ‘크게 하나 됨’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었다.
② 대동계는 큰 마을의 동계로 보아야 한다.
③ 거의 모든 마을에 있었던 마을공동체 조직이다.
④ 자치적으로 마을 주민을 규제하고 결속하였다.
7. 다음 중 대동계와 촌계에서 주체가 되어 행했다고 보기 어려운 일은?
① 도로와 교량의 수리 ② 혼상(婚喪)의 상부상조
③ 마을제의 주관 ④ 향교와 서원 관리
8. 다음 중 내용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① 대동회의 ② 리계 ③ 향약 ④ 동회
9. 대동회의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동제가 정월 보름을 전후하여 열리면 대동회의도 이때 열린다.
② 대동회의는 민주적 의사결정을 기본으로 하였다.
③ 대동회의는 다수결과 투표를 거쳐야 결정을 내릴 수 있었다.
④ 대동회의는 공동생활체의 모습을 보여준다.
10. 다음 중 촌락공동체의 대동회의 안건이 되기 어려운 것은?
① 마을의 과거 합격자를 늘리기 위한 대책 마련
② 효자와 우애있는 마을 주민에게 상을 주자는 안건
③ 부세(賦稅)와 공부(貢賦)의 처리방식과 대책
④ 노인과 어린이만 있는 집안의 농사를 두레가 거들어 주자는 안건
11. 다음 중 대동계 규약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대동계 규약은 문서로 보존된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불문율이라 할 수 있다.
② 대동계 규약은 인간의 상식적이고 기본적인 도리를 기초로 삼았다.
③ 마을민들은 자신들이 생활하는 공간에서 필요한 문제해결의 지혜를 갖고 있었다.
④ 대동계 규약은 관습법이므로 마을공동체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미약했다.
12. 다음 중 대동계 규약에서 가할 수 있는 벌칙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유배(流配) ② 삭적(削籍) ③손도(損徒) ④ 속전(贖錢)
13. 다음 중 마을제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말이 아닌 것은?
① 당제(堂祭) ② 묘제(墓祭) ③ 산신제(山神祭) ④ 장승제
14. 대동계의 여러 공사(公事)에서 보이는 특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마을구성원은 동등한 책임과 권한을 갖고 참여하였다.
② 마을 공동의 부담에 대해서는 생활이 어려운 구성원도 같은 금액을 내야 했다.
③ 대동계는 마을 공동행사의 기본이 되는 동제와 기우제를 주관하였다.
④ 마을에 할당된 호포와 군역 등은 대동계에서 공동으로 분납하도록 하였다.
15. 다음 목적을 가진 마을 구성원들이 조직 ․ 운영하려는 계로 적절한 것은?
① 농계(農契) ② 서당계(書堂契) ③ 송계(松契) ④ 상두계(喪輿契)
《정답》
1.① 2.③ 3.③ 4.② 5.③ 6.② 7.④ 8.③ 9.③ 10.①
11.④ 12.① 13.② 14.② 15.③
1. 다음 중 마을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마을제의 내용과 형식은 해당 마을의 생태환경과 관련이 깊다.
② 농촌 마을에서는 일체 산신제를 지내지 않는다.
③ 산촌에서는 산신제, 산제 등을 행한다.
④ 어촌에서는 풍어제, 용왕제 등을 지낸다.
2. 다음 설명에 적합한 민간 신앙물의 유형은?
① 장승과 솟대 ② 도가집과 공인 ③ 국수당 ④ 시루와 조라술
3. 다음 중 조선시대 중앙정부가 지방 통치수단으로 시행한 의례는?
① 당제사 ② 관우신앙 ③ 사직제 ④ 별신굿
4. 마을제사가 끝나고 무당이 주관하는 행사로 주로 경기도 일대에서 볼 수 있는 것은?
① 도당굿, 별신굿 ② 고창굿, 위도띠뱃놀이 ③ 용왕굿, 별신굿 ④ 도당굿, 고창굿
5. 다음 중 국가가 시행한 군현의례로 볼 수 없는 것을 고르시오.
① 사직제 ② 성황제 ③ 당제사 ④ 향교석전례
6. 조선후기 마을에 널리 퍼진 민간 신앙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장승 ② 서원 ③ 짐대 ④ 솟대
7. 다음 중 마을을 단위로 하여 행해진 의례로 묶인 것은?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가, 라
8. 군현의례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중앙정부가 지방통치수단으로 삼았다.
② 사직제, 성황제는 군현의례에 속한다.
③ 삼제군 중 관우신앙도 국가가 시행했다.
④ 여제(厲祭), 기우제(祈雨祭)를 국가 차원에서 지냈다.
9. 다음은 장승과 솟대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 장승과 솟대는 마을제사의 대상이 될 수 없었다.
② 지나는 사람이 많은 길목에 세워진 장승은 이정표 역할을 하였다.
③ 장승과 솟대는 주로 마을 어귀에 설치되었다.
④ 솟대는 화재나 수재를 방지하는 것과 연관이 있다.
10. 마을제와 굿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별신굿은 주로 강원도, 경상도에서 행해졌다.
② 마을제사가 끝난 후 무당이 주관하는 굿이 이어지면 이를 도당굿이라 한다.
③ 어촌마을에서는 용왕굿을 지내 풍어를 기원하고 원혼을 달랜다.
④ 마을제사는 주로 불교식으로 지냈다.
《정답》 1.② 2.① 3.③ 4.④ 5.③ 6.② 7.④ 8.③ 9.① 10.④
1. 다음 중 친족제도와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조선중기 이후 외손봉사는 사라지고 양자제도가 활발해졌다.
② 배항주의는 적계주의와 함께 적통 재생산을 보장하였다.
③ 양자를 들이는 제도는 종법(宗法) 수용과 관계가 있다.
④ 친영은 신랑이 신부를 맞아 자기 집으로 데려와 혼인하는 방식이다.
2. 다음 중 나머지 셋과 그 성격이 다른 혼인방식을 고르시오.
① 서옥제(壻屋制) ② 남귀여가(男歸女家) ③ 친영(親迎) ④ 서류부가(壻留婦家)
3. 다음 중 동족 및 동족촌락과 관계없는 내용은?
① 동족촌락의 주민들은 다수가 동족관계에 있다.
② 동족촌락은 지연에 기초한 동족조직이 공간적으로 표현된 것이다.
③ 동족은 처가와 외가도 포함하고 있다.
④ 동족은 동성동본의 부계친족들로 이루어진다.
4. 다음 중 5대 이상의 선조를 대상으로 하여 집단 차원에서 거행함으로써 문중조직의 형성 배경이 되었던 제사는?
① 이제(禰祭) ② 기제(忌祭) ③ 우제(虞祭) ④ 묘제(墓祭)
5. 제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제수 진설은 전국적으로 동일한 규범을 따른다.
② 신주가 없을 때에는 지방(紙榜)을 써서 신위(神位)를 모신다.
③ 기제사는 고조 이하의 조상을 대상으로 지낸다.
④ 신주를 사당에서 옮길 때에도 제사를 지냈다.
6. 다음 중 문중조직에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치 않은 내용은?
① 문중재산 확보는 문중을 더욱 확고하게 해 준다.
② 문중에는 외가(外家)도 그 일원이 된다.
③ 문중은 지속적 ․ 반영구적인 친족조직이다.
④ 문중계는 문중재산관리와 깊은 관계가 있다.
7.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지 고르시오.
① 비망기 ② 실록 ③ 등록 ④ 족보
8. 다음은 문중조직에 관련된 내용이다. 사실에 부합하기 어려운 것은?
① 조선 초ㆍ중기 입향은 대부분 통혼을 계기로 이루어졌다.
② 종중조직은 일제시기, 또는 그 이후에도 형성될 수 있다.
③ 문중조직 형성은 지속적 조직체 출현을 의미한다.
④ 입향시기는 문중조직을 형성하는 유일한 요소이다.
9. 다음 중 동일 조상 자손들이 선조의 제사봉행(祭祀奉行)을 목적으로 조직한 동족집단과 관련된 용어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종중 ② 외손 ③ 문중 ④ 문중계
10. 족보와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시조부터 내려오는 세계(世系) 외에 현재 동족 성원 간 원근관계는 알 수 없다.
② 조선시대에는 양반들의 사회적 특권 보장과 세습을 위해 족보 간행이 촉진되었다.
③ 동일 씨족의 관향을 중심으로 선대의 이름과 행적을 알 수 있다.
④ 족보를 통해 동족 성원들은 같은 조상의 자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정답》
1.② 2.③ 3.③ 4.④ 5.① 6.② 7.④ 8.④ 9.② 10.①
2006현대중국의 이해 해설
1. 現在 使用 중인 본 科目 교재에서 쫑구어의 外交분야가 가장 많이 다루어진 目次는?
① 序論 ② 歷史
③ 社會 ④ 經濟
현재 교재의 목차에는 ‘外交’가 없다. 쫑궈의 대표적인 외교이론인 ‘3개 세계론’ 등 대외정책분야는 서론에서 ‘가장 많이’ 취급하였다.
2. 現在 使用 중인 본 科目 교재에서 말하는 쫑구어의 ‘건국이전사’라는 用語가 가리키는 時期는?
① 신해혁명부터 中華人民共和國의 건국까지
② 中華民國 建國부터 中華人民共和國의 건국까지
③ 五四運動부터 문혁까지
④ 中國共産黨 창당부터 中華人民共和國 건국까지
建國以前史는 저자가 임의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다. 중국공산당의 창당부터 건국까지를 가리킨다. 이 과정에서 중공당은 반란세력으로부터 집권세력으로 지위가 격상되었다.
3. 現在 使用 중인 본 科目 교재의 目次 ‘第3部 經濟’에서 말한 ‘해방’의 시기는?
① 1911年 ② 1919年
③ 1949年 ④ 1953年
쫑구어에서 말하는 ‘解放’은 우리 말에서의 그것과는 의미가 다르다. 일본침략으로부터의 解放이 아니라 국민당 통치로부터의 解放이다. 당시 쫑궈의 군대 명칭도 ‘八路軍’으로부터 ‘人民解放軍’으로 바꾸었는데 현재도 계속 사용하고 있다.
4. 現在 使用 중인 敎材의 第1部 第2章에서 말한 ‘中國의 세속화’의 뜻에 가장 가까운 것은?
① 쫑구어 佛敎의 타락
② 쫑구어의 자본주의화
③ 쫑구어의 범죄발생률 減少
④ 쫑구어에서 聖스러운 人物의 격감
해당 장의 내용을 알아야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세속화'란 말은 본래 '종교로 부터 탈피하다. 비종교적이 되다'의 뜻인데, 교재에서는 '사회주의 교리로 부터 탈피하다'의 뜻으로서 목차명칭을 붙인 것이다.
5. 現在 使用 중인 교재에서 위의 ‘中國의 세속화’章이 취급한 主題에 해당하는 것은?
① 政治民主化와 불교
② 政治民主化와 모택동사상
③ 도박, 마약 등 社會惡과 대중문화의 부활
④ 宗敎의 自由와 그 한계
해당 장의 내용으로 보면 ‘중국 사회의 자본주의화’라고 말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세속화’와 ‘자본주의화’는 대략 비슷한 뜻으로 사용된다. 말하자면 중국사회가 우리 사회와 비슷해졌다는 것이다.
6. 第一次 國共合作의 성립에 가장 영향력을 발휘한 國家는?
① 蘇聯(소련) ② 俄國(러시아)
③ 美國 ④ 英國
러시아와 소련은 다르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소련은 중공당의 창당을 지원했고 또 국민당에 막대한 지원을 하는 대가로 양당 간의 연합을 요구했다.
7. 現在 使用 중인 교재의 第一部 第二章에서 使用한 用語인 ‘급진’과 ‘온건’을 區分하는 기준에 가장 가까운 것은?
① 국가지도자들의 性格上의 個性
② 國防上의 전략
③ 平等과 個人自由의 제한
④ 社會主義 社會 달성 속도
이 용어도 저자가 임의로 사용하는 것이다. 급진파는 모택동을 중심으로 하는 세력인데 사회주의 사회를 단기간 내에 달성하려고 성급하게 굴었다. 반면에 온건파는 유소기와 등소평을 중심으로 하는 세력인데 경제발전을 달성한 뒤에 서서히 사회주의 사회를 이룩하려는 정책을 지지하였다.
8. 우리나라가 位置한 東아시아 국제체제의 특징은?
① 多弱多强(다약다강)體制 ② 一弱四强(일약사강)體制
③ 四弱一强(사약일강)體制 ④ 四弱三强(사약삼강)體制
이 용어는 우리의 지정학적인 위치를 비관적인 측면에서 본 것이다. ‘一弱’이란 한반도를 가리키며 ‘四强’이란 미, 일, 중, 러 4개국을 가리킨다. 우리는 경제규모가 세계에서 10위이지만 이들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약하다. 이들은 대체적으로 우리에게 위협적이다.
9. 우리와 쭝구어 간 歷史에 대해 가장 올바르게 記述한 것은?
①쫑구어에 통일왕조가 成立하였을 경우에는 우리를 直接 지배했다.
② 우리의 저항으로 인해 직접지배를 당한 적은 거의 없다.
③ 쫑구어가 분열하였을 경우에는 우리에게 朝貢하였다.
④쭝구어의 漢族王朝는 우리에 대해 大國主義的인 태도를 취하지 않았다.
‘직접지배’란 우리를 식민지화했다는 것이다. 漢四郡을 제외하고 쫑구어로부터 이런 직접지배를 당한 적은 없다. 다만 많은 면에서 내정간섭을 받은 것은 사실이다. 매우 불쾌한 사실이다.
10. 우리와 쫑구어 간의 關係에 있어서 청일전쟁 以後부터 1945年까지 關係의 특색은?
① 우리가 쫑구어의 대일항전을 주도하였다.
② 쫑구어는 우리의 독립운동을 주도했다.
③日本(닛뽕)에 저항하기 위해 이전보다는 비교적 平等한 협조관계를 유지했다.
④ 우리의 독립운동 左派가 쫑구어의 右派인 중화민국과 연합하여 일본에 저항했다.
당시 독립운동가들은 좌파와 우파로 나뉘어 있었다. 쫑구어 역시 나뉘어 있었다. 국민당은 우파이고 중공당은 좌파이다. 일본에 대한 저항에 있어서도 양국의 좌우파는 끼리끼리 뭉쳤다.
11. 과거 日帝(일제)가 쫑구어를 가리켜 使用한 명칭은?
① 支那(지나) ② 中國
③ 滿洲國(만주국) ④ 짱꼴라
‘滿洲國’은 닛뽕이 만주를 강점하여 ‘五族協和’라는 허울 좋은 명분하에 세운 괴뢰국가이다. ‘支那’는 China를 음역한 것으로 보인다.
12. 쫑구어 사람들이 우리를 비하하는데 사용하는 말은?
① 장꿰 ② 葉錢(엽전)
③ 高麗棒子(고려봉자) ④ 洋鬼子(양귀자)
‘棒子’란 ‘방망이’라는 뜻이다. 쫑구어 사람들은 외국인을 비하할 때 주로 ‘鬼子(귀신)’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는 것에 비해 특이하다.
13. 쫑구어 政府가 과거 미국과 소련이 무력으로 他國을 통제하고 간섭하는 行爲를 비판하기 위해 使用한 用語는?
① 覇權主義(패권주의) ② 民族主義(민족주의)
③ 國粹主義(국수주의) ④ 武力主義(무력주의)
‘覇權主義’라는 용어는 쫑궈 정부가 만들어낸 독특한 용어이다. 쫑궈는 과거 미국, 즉 아메리카를 비판하기 위해 帝國主義라는 용어를 사용했었다. 이것은 자본주의에 의한 강대국의 수탈이라는 뜻을 품고 있어서 사회주의 국가인 소련에 대한 비판에는 적용할 수 없었던 것이다. 말하자면 미소를 싸잡아서 비판하기 위한 것이 창안의 동기라는 것이다.
14. 쫑구어에서 말하는 ‘港澳地區’에서 ‘港澳’란?
① 홍콩과 마카오 ② 港口
③ 海岸 ④ 홍콩과 深圳
‘港’은 ‘香港’의 약어이며 ‘澳’는 ‘澳門’의 약어이다. 이들 모두 영국과 포르투칼에 의해 각각 100년 정도나 租借되다가 1990년대에 모두 다시 쫑궈의 영토가 되었다. 현재는 모두 ‘特別行政區’로 지정되어 합법적으로 자본주의를 시행하고 있는 그야말로 쫑궈에서 특별한 지역이다.
15. 19세기 중엽 以後부터 20세기 까지 쫑구어 歷史(역사)의 성격은?
① 같은 時期 모든 비서구국가들의 역사와 대동소이하다.
② 큰 나라답게 전통을 끝까지 고수했다는 점에서 특징을 가진다.
③ 서구의 귀여움을 받아 가장 빨리 現代化를 이룩했다.
④여타 국가들과 달리 西歐(서구)의 충격을 받아 기절하여 깨어나지 못했다.
대부분의 비서구 국가들은 19-20세기 동안 서구 국가들에 의해 식민상태에 이르는 굴욕적인 처지에 있었으나 20세기 중반에 모두 독립하였다. 쫑궈 역사의 특성과 다른 나라 역사와의 공통점을 나누어 생각하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다.
16. 1928年부터 1949年까지 쫑구어 歷史의 가장 큰 갈등양상은?
① 保守派(보수파)와 改革派(개혁파) 간의 對立(대립)
② 軍閥(군벌) 간의 對立
③ 新民主主義(신민주주의)와 舊民主主義(구민주주의) 간의 對立
④ 國民黨(국민당)과 共産黨(공산당) 간의 對立
중화민국 건국 이후부터 1928년까지의 내부 갈등양상은 군벌정권과 국민당 간 - 군벌 간 - 군벌정권과 국공 간의 순서로 변화되었었다.
17. 國共(국공) 간 對立과 鬪爭(투쟁)에 대해 가장 適切(적절)하고 客觀的(객관적)으로 說明(설명)한 것은?
① 被搾取階級(피착취계급)을 위한 解放戰爭(해방전쟁)
② 민중을 기만하는 共匪(공비)들을 除去(제거)하기 위한 戰爭
③ 理念對立(이념대립)에 의한 同族相殘(동족상잔)의 內戰
④ 外國軍隊(외국군대)가 直接(직접) 介入(개입)한 內戰(내전)
1)은 중공당의 관점이다. 2)는 국민당의 관점이다. 같은 역사라도 입장에 따라 전혀 다르다. 국공투쟁에 외국 군대가 개입한 적은 없다.
18. 國共 간 對立과 鬪爭(투쟁) 期間(기간)중에 外國이 그에 대해 取(취)한 態度(태도)를 가장 올바르게 指摘(지적)한 것은?
① 美日은 國民黨(국민당)을, 蘇英(소련,영국)은 中共黨(중공당)을 積極(적극) 支援(지원)하였다.
② 日本은 國共 간의 對立을 틈타 쭝구어 征服(정복)을 노리고 軍事侵略(군사침략)을 試圖(시도)했다.
③ 美國은 對外貿易(대외무역) 분야에서만 利益(이익)을 취하려고 努力(노력)했다.
④ 蘇聯(소련)은 國共 간에 等距離(등거리) 外交(외교)를 시도하고 양측에 모두 武器(무기)를 販賣(판매)했다.
소련은 중공당의 창당은 적극 지원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소극적인 지원으로 일관했다.
19. 日本(닛뽕)이 韓國과 쫑구어를 侵略(침략)한 것에 대해 美英(미국과 영국)이 取한 態度(태도)를 가장 올바르게 記述(기술)한 것은?
① 自國(자국)의 利益(이익)이 되기 때문에 太平洋戰爭(태평양전쟁)이 勃發(발발)하기 이전까지는 黙認(묵인)
② 平和를 威脅(위협)하기 때문에 우리와 쫑구어를 적극 支援(지원)
③ 닛뽕과 한패가 되어 그에 軍事武器(군사무기) 提供(제공)과 激勵(격려)를 보냄
④ 東南亞(동남아) 國家들과 團結(단결)하여 닛뽕에 대한 聯合戰線(연합전선)을 결성하고 닛뽕을 侵攻(침공)
미국과 미국을 항상 따라하는 영국은 닛뽕이 쫑궈를 침공한 것에 대해 이를 막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양측이 서로 싸우는 것이 자기들에 이익이 된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일본이 하와이 진주만을 공격하여 발등에 불이 떨어진 이후에야 국민당을 지원했다.
20. 쫑구어에서 쫑구어 建國(건국) 以後의 歷史를 가리키는 用語(용어)는 ?
① 建國史(건국사) ② 當代史(당대사)
③ 現代史(현대사) ④ 解放史(해방사)
‘當代史’는 우리 사회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용어이다. 사용하였으면 좋겠다. 現代史와 當代史의 차이를 알아 둘 것.
21. 쫑구어의 建國 以後에 漸次(점차) 形成(형성)된 國際體制(국제체제)를 가리키는 用語는?
① 冷戰(냉전)體制 ② 熱戰(열전)體制
③ 美國體制 ④ 美蘇(미소)體制
미국을 위시한 소위 민주진영과 소련을 비롯한 공산진영이 서로 대립하였는데 뜨겁게 싸운 熱戰이 아니라 차겁게 싸웠다고 해서 冷戰이라고 말한다. 사실 미소는 2차대전 때에 같이 연합국의 일원으로 싸웠으며 상호 간에는 전쟁을 치룬 적이 단 한번도 없다.
22. 쫑구어의 建國 當時에 國家最高指導者(국가최고지도자)가 된 人物(인물)은?
① 鄧小平(등소평) ② 林彪(임표)
③ 高岡(고강) ④ 毛澤東(모택동)
모택동은 1935년에 집권하여 1976년 죽을 때까지 41년간이나 중공당의 최고 직위를 유지하였다. 사회주의 국가의 지도자들은 거의 모두 죽을 때까지 권력을 놓지 않는 것이 관행으로 되어 있다. 몇 년 전에 강택민이 물러난 것은 정말 예외적인 것이다.
23. 쭝구어의 建國 初期(초기)에 採擇(채택)한 政策(정책)에 대해 올바르게 記述(기술)한 것은?
① 모든 財産(재산)의 個人所有를 完全히 禁止(금지)하고 共産主義 社會의 建設(건설)을 推進(추진)
② 中華民國으로부터 이어 받은 資本主義(자본주의) 社會를 原狀(원상) 그대로 維持(유지)하였음
③ 財産의 個人所有(개인소유)를 一定하게 制限(제한)하면서 漸次的(점차적)으로 社會主義 社會 建設(건설)을 推進.
④ 歐美(구미)로부터 外資(외자)를 導入(도입)하고 沿岸地域(연안지역)을 開放(개방)하면서 對外貿易을 活性化(활성화)하였음
건국 초기에는 모택동을 포함하여 중공당은 모두 온건한 정책을 추진하는데 의견의 일치를 보였다. 그 이후에 모택동이 홀로 급진으로 돌아선 것이다.
24. 쫑구어 建國 以後의 順調(순조)로운 經濟發展(경제발전)에 社會主義 社會의 急進的(급진적)인 建設을 名分으로 삼아 制動(제동)을 건 人物은?
① 劉少奇(유소기) ② 鄧小平(등소평) ③ 毛澤東(모택동) ④ 江靑(강청)
23번과 맥락을 같이 하는 문제이다. 온건정책은 매우 순조롭게 진행되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택동이 주도권 장악을 위해 급진을 내걸었다. 좌파세력에서는 급진적인 노선이 실재와 관계없이 권력을 장악하는 경우가 많다.
25. 쭝구어의 改革開放(개혁개방) 이후에 ‘十年災殃(재앙)’이라고 評價(평가)되었으며 지금까지도 쭝구어 사람들에게 깊은 마음의 傷處(상처)를 남기고 있으나 發生(발생) 當時(당시)에는 社會主義의 純粹性(순수성)을 固守(고수)한다는 名分하게 進行하여 많은 청년들이 가해자로서 자발적으로 參加(참가)했던 事件(사건)은?
① 百花齊放運動(백화제방운동) ② 三反五反(삼반오반)運動
③ 文化大革命 ④ 大躍進(대약진)運動
광란과도 같았던 문혁은 사실 1966년부터 1969년까지 3년간 진행되었다. 그런데 10년간이라고 쫑궈 정부가 주장하는 이유는 문혁시의 정책이 1976년까지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26. 쫑구어의 共産黨(공산당)이 改革開放을 施行(시행)하기 시작한 時期(시기)는?
① 1960年代末 ② 1970년대말 ③ 1980년대말 ④ 1990년대말
정확하게 1978년 말에 개최된 제11기 3중전회에서 결정되었다.
27. 쫑구어의 改革開放의 가장 주요한 목적은 經濟發展(경제발전)인데 목표수준을 2가지 단계로 발표했다. 그중 2번째는 모두가 잘 사는 ‘大同(대동)’단계이며 그 이전에 민중의 衣食住(의식주)가 기본적으로 해결되는 段階(단계)에 到達(도달)하는 목표를 세웠는데 현재는 이미 도달한 것으로 발표되고 있는 바, 이를 가리키는 用語는?
① 小康(소강) ② 平均 ③ 急進(급진) ④ 平等(평등)
大同은 청말 康有爲가 이상사회의 상황을 표현한 말이다.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용어이다. 小康과 大同은 모두 경제정책의 목표를 쫑궈 사람들에게 친숙한 구호로써 제시하여 호소력이 강했을 것이다. 우리의 경제정책 목표는 주로 미 달라의 액수를 가리키는 숫자인데 별로이다.
28. 1950년대 말에 毛澤東은 經濟發展과 사회주의 건설이라는 2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는다는 名分(명분)으로 展開(전개)하였으나 無理(무리)한 추진으로 인해 慘憺(참담)하게 失敗(실패)한 운동은?
① 사회주의 학습운동 ② 大躍進(대약진)運動
③ 百家爭鳴(백가쟁명)운동 ④ 文化大革命(문화대혁명)
이것은 ‘社會主義 總建設, 工農業生産 大躍進, 人民公社’의 3개 정책구호로 제시되었는데 통상 大躍進運動이라고 말한다. ‘三面紅旗’라고도 칭한다.
29. 쭝구어의 改革開放(개혁개방)에 대해 가장 올바르게 記述(기술)한 것은?
① 실재로는 자본주의의 채택으로 간주할 수 있으나, 중공당은 중국식 사회주의라고 주장하고 있다.
②전국적으로는 사회주의 방식을 유지한 상태에서 자본주의 방식을 일부 지역에만 도입하였다.
③ 쫑구어 정부는 현재의 경제정책이 자본주의 방식이라고 솔직하게 인정하였다.
④쫑구어 공산당이라는 명칭을 이미 중국사회당으로 바꾸고 중국식 사회주의라고 주장하고 있다.
쫑구어의 현재를 경제면에서 사회주의체제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자본주의체제라고 말하는 것이 옳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보통의 자본주의체제보다 국영기업의 비중이 높은 점만이 좀 다를 뿐이다.
30. 현재 쫑구어에서 施行(시행)되고 있는 政權交替方式(정권교체방식)은?
① 개혁개방 이후 憲法이 수정되어 여러 정당이 선거에서 경합하는 방식으로 변했다.
② 쫑구어 공산당이 永久執權(영구집권)하게 되어 있다. 교체방식은 없다.
③全國政治協商會議(전국정치협상회의)에서 간접선거로 5년 임기로 결정한다.
④全國人民代表大會(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역시 간접선거로 결정한다.
헌법을 포함하여 쫑궈의 어느 법령에도 정권교체방식을 언급한 것은 없다.
31. 모든 국가들의 權力層(권력층)들은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여러 가지 양상으로 투쟁을 벌리는 바, 이와 병행하여 각자의 명분을 세우기 위해 그들 간에 전개되는 것은?
① 政策對立(정책대립) ② 陰謀(음모)
③ 金錢授受(금전수수) ④ 暗殺(암살)
이것은 2006년 당시의 인터넷 보충강의에서 출제된 것이다. 어떤 정치세력에 의한 정책의 제시는 그것의 신념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기 보다는 민중들의 지지를 받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제시된 정책의 차이점을 구분하게 어려울 때 민중들은 어느 세력을 지지할 것인가에 대해 당황한다.
32. 過去(과거) 王朝時代(왕조시대)의 권력층의 行態(행태)에 대해 가장 올바르게 기술한 것은?
① 대체적으로 권력층들은 민중을 가혹하게 착취했다.
②일반적으로 권력층들은 일반 민중들과 同苦同樂(동고동락)하였다.
③대체적으로 일반 민중들은 권력층에 끊임없이 저항하였으며 권력층은 권력의 유지를 위하여 민중의 생활향상을 위해 노력할 수 밖에 없었다.
④일반적으로 권력층들은 민중들보다 도덕적인 수준이 높아 모범을 보여 존경을 받았다.
과거 왕조시대나 자본주의 초기에 권력층들과 부르주아들의 민중에 대한 착취는 놀라울 정도이다. 이점에 있어서는 모든 국가가 거의 동일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33. 현재 세계에서 權力層이(권력층) 左派(좌파)와 右派(우파)로 나뉘어 대립하는 국가들의 공통점은?
① 왕조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국가들
② 정치적으로 비교적 성숙한 국가들
③ 민주화가 이룩되지 않은 독재체제 국가들
④ 경제발전이 안 된 제3세계 국가들
현재 아프리카, 동남아, 서남아 그리고 사회주의로부터 이탈한 동구 제국들에 있어서는 권력층들이 죄우파로 나뉘어 있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34. 19세기 초 중엽 프랑스에서 주로 상인계층인 共和派(공화파)의 執權(집권)에 반대하여 나타난 정치세력은?
① 左派 ② 右派 ③ 王黨派 ④ 主和派
共和派들은 대부분 부르주아들이었으며 이들은 노동자들을 심하게 착취하였다. 좌파의 등장은 이점이 원인이다. 좌파가 등장한 이후에 공화파는 좌파에 대항하기 위해 그들이 반대했던 왕당파와 연합하는 경향을 보였다.
35. 개혁개방 이후 쫑구어 현정권에 의해 ‘極左派(극좌파)’로 비판받는 것은?
① 走資派 ② 右派 ③ 四人幇 ④ 五人幇
문혁시에 모택동에 의해 발탁된 江淸, 張春橋, 姚文元, 王洪文을 가리킨다. 이들은 모의 정책노선을 명분으로 중공당 내부에서 권력장악을 기도했다. ‘幇’이란 원래 민간의 비밀 결사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첫댓글 정리하시느라 수고하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