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산선운]백제불교(영광굴비)단맥1-1구간종주-왕제산 삿갓산 선인봉 서당산-동학농민혁명 진군로인 삿갓산과 서당산은 산책로 같은 좋은 길이 그 외 산줄기는 길이 없는 가시길을 더듬어 가는 산줄기임
[영산선운]백제불교(영광굴비)단맥종주
글쓴이 : 우리산줄기 연구 및 답사가 자하紫霞 신경수申京秀
답사일 : 2021. 11. 27(토) 맑음
종주에 필요한 국립지리원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고창 법성
영진5만지도 : 445, 471, 470쪽
[지명(다른이름, 삼각점△ 고도m, 거리km/누계km) : 고도는 도면상 또는 등고선상 평균높이이며 거리는 도상거리임]
영산선운지맥 무장면 신촌리 율곡마을 뒷산인 126.3봉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도로(90, 0.3)-왕제산(△151.1, 0.6/0.9)-796번지방도로 신왕초교 삼거리(70, 0.6/1.5)-유정삼거리(70, 0.5/2)-신대삼거리(70, 1.4/3.4)-후동마을삼거리(90, 0.6/4)-삿갓산(용산봉, △206.4, 0.3/4.3)-동학정(200, 0.2/4.5)-윷판두재(170, 0.1/4.6)-임도고개(130, 0.7/5.3)-선인봉(165.6)어깨(150, 0.2/5.5)- -796번지방도로 달터재(70, 0.5/6)-서당산(△150.3, 0.4/6.4)-용수재(110, 1.2/7.6)-칠암재(70, 0.4/8)-796번지방도로 그물메기고개(70, 0.5/8.5)-농로고개 도로(50, 0.7/9.2)-151.3봉(0.4/9.6)-촛불산(△199.7, 0.7/10.3)-산하치(110, 1.1/11.4)-덕평고개 도로(90, 1/12.4)-초포산(208, 1/13.4)-9번군도고개(50, 1.2/14.6)-오봉산(157.6)어깨(130, 0.8/15.4)-△75.5지점을 지나 도로고개(70, 0.8/16.2)-101.8봉(0.3/16.5)-도로(50, 0.3/16.8)-22번국도삼거리(90, 0.2/17)-성재사거리(90, 0.5/17.5)-법성포초교 삼거리(10, 0.5/18)-도로고개(150, 0.3/17.8)-말미고개 도로(50, 0.2/18)-인의산(157)어깨(150, 0.5/18.5)-북두치(110, 0.2/18.7)-842번지방도로 둥지재(30, 0.5/19.2)-법성산성을 지나 법성사 앞으로 내려가 산책로를 따르면 달한가지고개 도로(30, 0.7/19.9)-숲쟁이산(110.1, 0.3/20.2)-백제불교발생지(30, 0.3/20.5)를 지나 영광군 법성면 진내리 영광굴비공원이 시작되는 영산기맥 고산이 발원지인 와탄천이 서해바다를 만나는 곳(10, 0.1/20.6)에서 끝나는 약20.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이산줄기는 1999년 우리산줄기수체계도를 발표할때는 그 산줄기중 가장 높은 산인 초포산의 이름을 차용하여 영산기맥에서 분기한 선운지맥에서 다시 분기한 단맥산줄기라 [영산선운]초포단맥이라고 부르자고 제안을 했으나 답사결과 그 끝자락이 숲쟁이산을 지나 법성포면 백제불교발생지도 지나 영광굴비공원으로 내려선 와탄천 서해바다 합수점에서 끝나는데 그 이후 법성포면은 그 유명한 영광굴비의 고장이기도 해 그 명성이 전국은 물론 해외까지 유명하므로 그 이름을 빌어 [영산선운]백제불교(영광굴비)단맥이라고 제안하는 바이다
[영산선운]백제불교(영광굴비)단맥지도1(지도를 클릭하시면 선명한 큰지도로 보실수 있습니다)
[영산선운]백제불교(영광굴비)단맥지도2(지도를 클릭하시면 선명한 큰지도로 보실수 있습니다)
진행경로
796번지방도로 과실재(과치) 관음사고개-분기봉(126,3봉)-도로-△왕제산-신왕초교 삼거리-유정삼거리-신대삼거리-후동삼거리-임도고개-윷판두대-동학정-△삿갓산-동학정-윷판두재-임도고개-선인봉-임도-796번지방도로 달터재-△서당산-143.9봉-용수재-칠암재-796번지방도로 그물메기교 안골삼거리-신상고개 도로-신상저수지-칠암저수지-796번지방도로-공음교 사거리-공음면소재지 사거리
등로상태
분기봉 왕제산 길이 없고 삿갓산 정상까지 길이 없는 가시+잡목+넝쿨 길이었으나 이후 3급길이 이어지다가 4급길로 선인봉어깨를 넘어 달터재에 이르고 이후 3급길로 서당봉을 넘어 칠암재 직전까지 이어지다가 이후 길없는 능선으로 신상고개까지
독도 등 주의사항
왕제산에서 신왕초교 내려가는길, 칠암재에서 그물메기고개 도로삼거리를 지나 신상고개까지 주의해야 함
누가 : 신경수 홀로
어디를 : 고창군 무장면 신촌리 796번지방도로 과실재(과치) 관음사 도로에서 분기봉으로 올라 이후 백재불교단맥을 따라 신상고개에서 공음면소재지로 탈출하다
왕제산(△151.1) : 고창군 무장면 공음면
삿갓산(용산봉, △206.4) : 고창군 공음면
선인봉(165.6) : 고창군 공음면
서당산(△150.3) : 고창군 공음면
구간거리 : 12.5km 접근 : 1km 단맥 : 9.2km 기타 : 0.5km 하산 : 1.8km
구간시간 7:00 접근 0:15 단맥 4:00 기타 0:30 하산 0:30 휴식 1:45
시간맞추기가 애매하다
첫전철을 갈아타고 시간을 딱 맞추면 되는데
시간의 텀이 불과 몇분이라 조금만이라도 늦어지면 못타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일단은 버스를 타고 경복궁역에서 갈아타기로 하고
4시40분 집을 나서 무려35분을 기다려 5시15분 700번버스를 타고
경복궁역에서 갈아타고 6시20분에 센트럴시티터미널에 도착하여
역류 때문에 국수나 라면을 먹지 못하고
맛밤을 하나 사고 사이다를 마시며 아침 대용으로 먹었다
무려 45분을 게기다 고창가는 버스를 7시5분에 탔다
토요일이라서 그런지 밀리고 밀려서
거의 다가서 흥덕에 한번서고
10시50분에 고창터미널에 도착했으니
온전히 하루 산행이 안되고
오늘은 반나절 산행으로 끝나게 될 것같다
택시로 796번지방도로 과치재(과실재)
관음사 앞에서 내려
우쪽으로 있는 1차선포장도로가 능선이다
▣64.3
796번지방도로 과실재(과치) 관음사 : 11:00
도로따라가다
선운지맥 126.3봉으로 오르는데 길은 없지만
그런데로 오를만하다
백제불교(영광굴비)단맥 분기봉(126.3) : 11:15
다시 그 도로로 내려와(90) : 11:20
우쪽 높아만 보이는 왕제산을 바라보며
비포장길로 가는데 목장건물 통과가 문제일 것 같다
목장건물 우쪽 민가 옆으로
목장초지 과수원 옆길로 오르다가 길이 없어지고
남도 같지 않게 키큰잡목숲으로 오를만 하다
11:35
사람들이 안다녀 푸석거리는 낙엽을 밟고 오르려니
조금 힘이들고 속도도 안나온다
공음면과 무장면의 경계를 만나는
왕제산 정상이라고 추정이 되는 지점에 이르면
판독불능 삼각점이 있는
정상으로 추정이 되는 지점으로 올라섰다
△151.1 1.1
△왕제산 : 11:45 11:55출발(10분 휴식)
우측 경계능선으로 생각이 드는 능선을 하나 골라잡아 내려간다
길은 없다 좌측 아래로 묵밭인지 묵논인지가 펼쳐지고
좌쪽으로 반원을 그리며 서진으로 내려가면
운동장 한켠을 차지하고 있는 동학혁명에 관한 안내판들이 즐비한
신왕초교 드너른 운동장이다
정문으로 나가면 신대리입구석이 있고
구정정류장이 있는 유정삼거리다
이정목에 우측 도로따라가면 무장유성2.7
동학농민혁명기포지6.3km라고 한다
70, 1.8
796번지방도로 신왕초교 앞 삼거리 : 12:15 12:20출발(5분 휴식)
우쪽 유정마을 한가운데 1차선 포장도로가 마루금이라
한동안 무조건 도로따라 가면 된다
유정마을 도로삼거리(70) : 12:30
신대마을 삼거리에서 농기계를 끌고 오는 어르신들이 계셔
정면으로 높아만 보이는 산이름이 지도에는 없는데
혹시 무슨 이름이 없을까요
제일 높은 206.6봉을 가르키며 삿갓봉도 아니고
삿갓산이거나 큰산이라고 한다
내 추측이 틀림없음을 보여주는 곳이다
신대마을 도로삼거리(70) : 12:35 12:45출발(10분 휴식)
우측 대숲옆길로 후동마을을 바라보며 가다가
갈림길에서 우측 묵밭으로 올라가
민가를 바라보며
능선으로 가는데 송아지만한 개
수십마리를 풀어놓아 지나갈수가 없다
그래서 좌쪽 아래 동네로 내려가고 말았다
그러려니 애시당초 마루금을 따르지 말고
동네길로 올라갔으면 될일이었다
후동마을 임도삼거리(90) : 12:50 13:00출발(10분 휴식)
죽기살기식으로 올라붙어야할 것 같으면 그리할수도 있지만
일단은 자가용도 다닐수 있는 상태좋은 임도가
좌측 사면으로 이어지고 있어 따라오른다
90
임도삼거리 : 13:20
우쪽으로 오르면
포장임도십자안부에 이르고(130, 4.8) : 13:25
사면길로 왔으니 고개를 넘어가면
그 다음 고개인 796번지방도로 달터재가 나오지만
우쪽으로 올라가는 길이 비포장 경운기길이라
일단은 삿갓산 정상을 알현하고 다시 이리로 뒤돌아 오기로 한다
철탑봉(180) : 13:40
잠시 내려가 ㅓ자안부에 이르면
임도삼거리로 이정목에 온길 달터재1.8, 직진 용산봉0.1, 닭고개2.2
ㅓ자로 내려가면 용산저수지0.7
윷판두재 안내판과
정사각형 바둑판 같은 돌이 있는데
아마도 동학농민군이 이곳에서 휴식을 취하며 윷을 놀았다고 해서
윷판두재라고 부르는 모양이다
170,
윷판두재 : 13:43
잠시 오르면 운동기구 장의자
이정석에 좌뒤로 임도따라가면 닭고개2.2 동학농민기포지로 가는 길이다
좌쪽 조금 높은 곳에 날아갈 것 같은 커다란 정자는 동학정이며
그 앞으로 동학정에 대한 안내판이 있다
동학정 둔덕(200) : 13:47
아무런 지시는 없지만 우쪽으로 약0.1km정도 가면
안테나박스가 있는
삿갓산 정상 용산봉이다
그 어디에도 능선으로 이어지는 길은 없다
206.6 5.7
삿갓산(용산봉, 할님봉) : 13:50 14:05출발(15분휴식)
올라간 그대로 뒤돌아
동학정 좌로 내려가 윷판재로 내려갔다가
철탑봉을 넘어 포장임도고개로 다시 내려섰다
130, 6,6
포장 임도고개 : 14:25 14:30출발(5분 휴식)
경운기길 흔적으로 시나브로 올라
오록스지도상 삿갓산어깨에 이르면
망가진 이정목 방향지시판에 좌측으로 시나브로 0.1km를 오르면
선인봉이라고 한다
150, 6.7
선인봉어깨 : 14:35
길은 없다 펑퍼짐한 능선에서 가시 잡목 넝쿨 등을 요리저리 피하면서
큰돌들이 널린 선인봉 정상으로 오르면
망가진 장의자가 있지만
오래 방치되어있어 지저분 하기 그지없다
165.6, 6,9
선인봉 : 14:40 14:45출발(5분 휴식)
그대로 뒤돌아 선인봉어깨(7) : 14:50
5급길이 이어지고 내려가다가
우쪽으로 토굴 안내팻말을 지나
우쪽 사면으로 온 너른 임도를 만난다
90, 7.4
임도 :15:05
임깐가다 그 임도는 좌쪽으로 내려가고
직진 경운기길로 내려가면 달터재 고개 우측으로 비켜서
796번지방도로 2차선도로로 내려서기 전
우쪽 사면으로 이어지는 묵은 경운기길이 이어지고
장의자와 정자가 있어 뭐본김에 제사 지낸다고
삿갓산 정상에서 하지못한 고시레도 하고 영양 보충을 한다
70, 7.6
796번지방도로 달터재 : 15:10 15:40출발(30분 휴식)
도로변에
등산로 안내판이 2개나 있고
길건너 세맨계단이 있어 오르면 될 줄 알았는데
젠장 그 세맨계단 몇 개 오르면 길은 아무데도 흔적도 없고
가시+잡목+넝쿨+베이고 파헤쳐진 나무들이 뒤엉켜 넘어갈수가 없다
그렇다고 답사를 포기할 순 더더욱 없는 일이라
1분에 1m도 못가는 지지부진 그런 곳을 뚫고 오르면
산사면을 몽창 뜯어서 발가벗겨놓고 샤워도 안시키고 방치를 해놓았네요
나중에 안일이지만 우쪽으로 도로따라 약0.1m 정도면 내려가면
경운기길로 오를수가 있지만
지금은 모르고 있고 마루금을 밟는다는 사명감으로 오르는 것이다
산판길을 잘 골라서 오르면 그런대로 오를만 하고
개활지가 끝나고 숲속으로 들어가면 길이 없지만
그 역시 밀림지대가 아니라 오를만 하다
130
우측에서 올라온 경운기길 : 16:00
이후 경운기길처럼 너른 2급 산책로를 따라 간다
150.3, 8
서당산 : 16:05
장의자도 가끔나와 쉼터구실을 하고 있고
좌쪽으로 조망 터지는 곳이 있어
유장한 영산기백 산줄기와
좌쪽 저멀리 마치 군계일학처럼 의연히 하늘에 떠있는
신비의 방장산이 구름과 희롱하고 있다
작은바위 2개있는 143.9봉 : 16:15
한동안 가다가 또 좌쪽으로 조망터지는 곳에 이르고
운동기구와 장의자 그리고 사각정자까지 있어
영산기맥 방장산부터 이어지는 유장한 영산기맥의 산줄기를 바라볼수 있으며
이 산줄기가 서당산이라는 유래판이 서있어 산이름 하나 건겼다
그러면 이산줄기에서 가장 높은 150.3봉이 서당산 정상이 아닐가 생각된다
140, 8.6
사각정자 : 16:20 16:25출발(5분 휴식)
좌쪽 통나무 계단으로 내려가는 안부 용수재(110) : 16:30
낮은 둔덕을 하나 넘어
목책난간줄로 급경사를 내려가다가
좋은 길은 우쪽 밭가로 내려가게 되고
좌쪽 4급길로 올라 십자안부에 이른다
70
칠암재 : 16:40
90봉을 오르지않고
길은 없지만 우쪽 사면을 치고 나가 돌아서면
본능선 묘지가 나오고 묘지 오르는 경운기길로 내려가
70안부에서 그길은 우쪽 칠암마을로 내려가고
낮은 둔덕을 하나 넘어
796번 지방도로 그물메기고개
안골길 삼거리에 이른다
50, 9.8
796번지방도로 그물메기고개 삼거리 : 16:55 17:00출발(5분 휴식)
도로따라 시묘마을로 들어가
그다음 50고개로 가도 되지만
뭔생각을 했는지 우측 솔밭으로 능선을 치고 올라
길은 없지만 70봉을 넘어 묵밭 지독한 곳을 지나
길은 없고 가시 잡목 넝쿨 등을 제키고
낮은 둔덕을 우쪽 사면으로 나가 경운기길 십자안부에 이른다
너무 지독하다고 생각하면 우측 아래로 보이는 밭으로 내려가
경운기길로 고개로 올라도 된다
50, 10.7
농로고개 : 17:20 17:30출발(10분 휴식)
우쪽 공음면쪽으로 탈출한다
조금 내려가면 포장갈림길이 나오고
좌쪽으로 가면 대규모 양계장으로 올라가는길이고
우쪽으로 가야 공음면소재지다
서녁 하늘엔 붉고 고혹적인 기운이 충만한 석양이 넘어가고
신상저수지지나 칠암저수지 지나
796번지방도로에 이른다(30, 11.8) : 17:50
좌쪽으로 가다가 공음교사거리를 지나
공음초교앞을 지나 공음면소재지 사거리에 이르러
30, 12.5
공음면소재지 사거리 : 18:00
그후
택시를 부르려고 준비하는 사이 버스가 한 대 지나간다
법성포가는 버스다
50m나 되는 거리를 뒤따라가면서 아무리 불러도
아랑곳하지 않고 돌돌돌 굴러가버린다
그 기사 빽미러도 안보고 버스를 몰고가냐
그만큼 따라갔으면 아직까지 실패를 한 경험이 별루 없는 것같은데
이곳 공음에서 안세워준다 제기럴^^
보다 못한 동네 아줌마가 공음택시를 불러준다
이 자리를 빌어 고마움을 표합니다
법성포에 18시30분에 도착해
내일 아침 6시30분까지 와달라고 예약을 하고
그 기사가 안내해준 음식점에서 내려
기름범벅이 된 이세상에서 제일 맛없는 불뚝과
기름범벅인 모든 반찬 하나도 먹지 못하고
결국 김치 한가지로 고기만 건져서 억지로 구겨넣고
청수장모텔로 가(35000원) 여장을 풀고
밖으로 나가 24시편의점을 갔는데
여기서는 24시를 안하고 1시까지 하고 문을 닫았다가
7시에 개점을 한단다
백반집이 한군데 있기는 한데 6시부터 개점을 하지만
아무래도 무거운 음식들이라 별로 내키지가 않다
그래서 이런저런 주전부리와 생맥주 한통 소주 1병
사들고 들어가 TV보면서 먹다보니 잠도 안오고
또 하얗게 밤을 세운다
산에만 가면 오랜 습관으로 병인 것 같다 병이야 병~~
|
첫댓글
산행기
어째 마음이 영 짠하네요
세월에
선배님
올핸 꼭 건강 찾으십시요,
뭘 짠할 것 까지야
관리 잘못하면 누구나 연식 오래되면 그리 되는 것이고
느끼한 음식 못먹는 것이야 습관이고
역류성식도염때문이니 의사 못만난 내복이라^^
건강이야 되찾아질까마는
그래도 고생하며 세월 좀 지나면
자연적으로 반치유는 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염려 해 주셔서 고마워요
복을 삼태기로 퍼담으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