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8년 5월 일지: 5월 후반기, 노조 총파업
[대학문제에서 노동문제로, 그리고 정치문제로]
- Chronologie des événements de mai - juin 1968 -
- 프랑.위키(fr.Wiki): 2022년 4월 14일(le 14 avril 2022 à 18:20.) 기록.
- {논1953천야22Q혁명68일지01}, {논1953천야22Q혁명68일지02}에서 이어짐*-
5월 13일 월요일 Lundi 13 mai
오전: 사설 라디오 두 곳이 파업에 들어갔다. 라디오-텔레 룩상부르(RTL)에서 기자들은 “중대한 사건들을 제외”라는 것, 13시와 19시에 보도 시간대의 모든 속보들은 15분간 두 꼭지[면, 난]로 제한 하는 것을 제거하기로 결단 내렸다. 보도 면[꼭지]들은 오후에 룩상부르 보도국으로부터 오후에 보장되었다. [라디오 방송] ‘유럽 1’에서, 기자들은 정보 속보들만을 내보내기로 결단 내렸다. 그리고 오후에 예견된 시위만을 다루기 위해 ‘유럽-미디’(Europe-Midi : 프로그램)를 제외하기 결단 내렸다.
오전: 일간지 꽁바(Combat)의 경영진의 성명이 나왔다. “직원들은 주문을 받아서 말하게 된다. 노동총연합(CGT)에 가입한 노조기구에 의해 주문된 것을 말하게 되는데, 이들이 메당의 인쇄소에 갔었다. 직원들은 악시옹(Action)의 인쇄를 직접 멈출 것을 요구했다. 물론 꽁바(Combat)의 특별호의 인쇄는 거부되었다. 적어도 3시간의 긴 토론이 있은 후에, 동일한 대표자들은 끝내 악시옹의 인쇄를 수용하기로 하였고, 우리의 특별호의 인쇄는 계속해서 완강하게 거부되었다.”
오전: 하루의 총파업이 프랑스의 약간의 도처에서 시작하였다. 폭력적 영상들은 충격을 주었다.
정오: 기술자들로 통일되어 있는 노동조합도, 최소한의 서비스를 보장하면서, 운동에 결합하였다.
오후: 파리에서 20만의 행진에서, 추정에 따르면, 100만으로 늘어났다. 그리고 지방의 다른 대도시에서 30만이 행진하였다. 오베르뉴의 도시들와 프로방스의 도시들이 매우 강한 동원이 되었으며 또한 낭뜨와 낭뜨 교외에서, 그리고 리용과 리용 교외에서, 또한 뚤루즈에서도 캉의 도시에서도 행진이 있었다. - [전국화가 중심 문제를 바꿀 것이다. 학생들의 교육문제에서 노동자들의 생존문제로.]
오후에, 거대한 시위들이 완성되었을 때,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의 편성위원회의 총괄 책임자인 뒤뽕(Jean Dupont)[?]과 책임자들은 줌으로(Zoom: émission de télévision) 방영되는 잡지의 중요한 연쇄[화면]의 영사[회]에 참석하였다. 그 화면은 시위들에 관하여, 유일하게 현존하는 것으로, 시간대별 현장보도이었다. 이 공동제작자들은, 습관 대로, 모순적인 논쟁들 예견했었을 것이다.
5월 14일 화요일 (Mardi 14 mai)
이른 아침에, 모젤 지방에 있는 클라스 드 와피 공장의 5백명의 야금공들(métallos)이 작업을 중단했다[파업].
저녁에, 르와르 아틀란틱 지방에 있는 쉬드-아비아시송 드 부게네 공장에서 점거하여 무제한 파업에 들어갔다. 프랑스에서 첫째로 점거된 공장이다. 끌레르몽-페랑에서 젊은 노동자 그룹들은 새로운 소식[뉴스]로 이끌기 위해 대학에 들어갔다.
낭떼르에서 미쇼[교수]와 콘-벤디트 사이에 말다툼(Accrochage)이 있었다.
저녁: “줌” 텔레비전 방영의 앞서서 몇 시간 동안에, 상반된 자들이 연합하여 토론하는 첫 논쟁에 참석자들이 선정되었다. 상반된 자들이란 드골주의자이며 의원인 팡똥(André Fanton, 1928-)과 고등사범 학장인 카뻴(Jean Capelle, 1909-1983), 또한 소바조와 게스마르(이들이 개입은 현장보도에서 삭제되었다)이다. 그 당시에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은 이 논쟁을 방영하도록 허가할 준비가 아직 되어 있지 않았던 것 같다고 표현하면서 르몽드지는 폭로할 것이다. “이 조건들 속에서 ‘줌’의 제작자들은 토론이 끝까지 이어져야 연속장면이 의미를 가질 뿐이라고 추정하였기에, 그들은 아마도 방영을 중지할 것을 시도했을 것이다.” 석간신문은 덧붙였다. (55TMA)
5월 15일 수요일 (Mercredi 15 mai)
오전: 릴에서 또 깔레에서도 일간지는 없었다. 이 두 도시에서 신문이 발행되지 않은 날은 월요이었는데, 그러나 서적 노동자들은, 연속해서 2일을 신문 없이 지냈기 때문에, 작업할 것을 수용했었다. 그러고 나서 그들은 화요일 파업을 했다.
파업은 끌레옹의 르노 공장에도 있었다. 거기에서 3백여 젊은 노동자들은 열명정도의 간부들을 감금하였다. 그와 같은 순간에 센-마리띰(Seine-Maritime) 주에 있는 끌레베르 꼴롱브 엘뵈프(Kléber-Colombes d'Elbeuf)와 로끌렌 드 생-에띠엔 뒤 루브레(La Roclaine de St-Étienne du Rouvray)의 공장들이 파업에 들어갔다. 끌레옹의 노동자 그룹은 루앙에 있는 몽-생-떼냥의 새 캠퍼스로 밀려들어갔다.
사회 안전의 행정조치에 반대하여 ‘노동총연합’(CGT)과 ‘민주프랑스 노동연합’(CFDT)은 “국민적 행동의 날”을 선언했다.
저녁: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의 기자들의 연합조합은 “정보의 객관성을 존중하기 위하여” “영속 위원회("comité permanent")”를 창설하였다. 그리고 이 조합은 위원회가 텔레비전 제작자들과 접촉할 것이라고 표현했고, 위원회는 제작자들의 항의를 시인했다.
학생들의 의해 오데옹 극장의 점령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5월 21일까지는 “중단 없는 회합[토론]의 장소로 변형되었다. - [일주일간 자유발언과 자유 토론은 국민대토론회였다.]
‘혁명적 학생 연맹’(FER)은 임금노동자의 파업을 밀고나갈 것을 호소하다. “우리는, 노동운동의 교훈을 멸시하면서 이들이 말하는 대중들의 실재적 운동 속에 해체되는 ‘청년 혁명 공산주의자’(JCR)처럼 행하지 않을 것이다. (...) 낭뜨에서 노동자들은 쉬드-아비아시옹( Sud-Aviation) 공장을 점거하였다. 소르본에서 그것은 자선바자회(la kermesse)이다.”라고 쉬스레(Claude Chisserey, 1943-1981)는 1968년 5월 15일자 월간지 봉기(Révoltes)에서 강조했다. 이 월간지는 낭뜨 점거의 시작 바로 몇 시간 이후에 출판되었다.
5월 16일 목요일 (Jeudi 16 mai)
프랑스에서 점거된 공장은 50곳이었다. 그 중에 르노 공장이 다섯(Billancourt, Le Mans, Cléon, Flins, Sandouville)곳이고, 르 아브르 도시에서만 10곳이었다.
5시: 생-마리띰에 있는 끌레온 르노 공장에서, 아침 작업조는 문이 닫혀있음을 발견했다. 파업은 5월 14일 5시에 촉발되었다. 야간 작업조의 봉급자들 수십명이 행정본부 건물 속에 갇혀 있었다. 공장장은 기업을 떠나는 것을 거절 했다.
8시: 보베에 있는 록히드 봉급자들 1천 8백명이 5월 15일 수요일 전날에 시작된 파업을 따르기로 결정했다.
8시: 오를레앙에 있는 위니렉 공장의 봉급자들 1천 2백명도 파업을 시작했다.
소르본 점거위원회(comité)는 프랑스 모든 공장들의 직접점거를 그리고 노동자 심의회(conseils ouvriers)를 형성할 것을 호소했다.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의 직원 노조들 전체의 공동성명 : 구조적인 이유에서 “한 번 더,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은 국민의 정보제공 역할을 저버리지 않았다.” 그리고 “권력없는 행정 심의회”의 이유로 “복종하지 않을 것을” 결단 내렸다. 노조들은 그들의 해임을 요구했다. 그리고 “지금부터 벌써 직원의 대표들은 더 이상 자리에 연연하지 않을 것을 결심했다” 그리고 “총회에 직원 일체를” 소집할 것을 고려했다.
13시: 채널1에서 방영된 일과소식(뉴스)은, 그저께부터 점거당한 낭뜨에 있는 쉬드-아비아시옹 공장에 관한, 현장보도를 내보냈다. 이 일과소식(뉴스)은 채녈2의 방속에서도 19시 30분에 나왔다.
16시 15분 : 르망의 르노 공장도 무제한의 파업과 공장 점거를 결정했다.
18시 30분 : 에꼴 폴리테끄니끄 사령관(le général commandant)은 교문을 닫기로 결정했다. 그랑제꼴의 학생과 대학생 3백명이 들어가고자 했으나 포기했다.
저녁 무렵(début de soirée): “고교생행동 위원회”, ‘과학탐구 국립연구소’(CNRS)의 파업위원회, ‘3월 22일 운동’ 등의 기자회견에서 알랭 게스마르는 “우리는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의 직원들, 기자들, 기술자들과 연대하여 시위를 할 것이다. 사람들은 우리의 운동을 최소화하려고 하고, 그 운동을 웃음거리로 만들려고 한다.”라고 알렸다. 기자회견 후에, 그들은 “‘투쟁하는 자들을 위하여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의 내부에 표현의 자유”를 주장하는 전단지를 뿌렸다. 그리고 5월 17일 19시에 꼬냑-제 거리[파리 7구]에의 촬영소들(les studios) 앞에서시위를 호소하는 전단지를 뿌렸다.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의 경영진은 불안했고,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의 직원들과 만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시작에 앞서 한 시간을, 샹젤리제 가까이에 있는 역사적 장소(un site historique)인 “프랑스와 1세 거리의, 상트르 드베제”로 향하는 꼬냑-제 거리의 ‘대학 연단’(Tribune de l'Université[좌담회, 토론회])방송을 분산하기로 결정 했다. 그 장소에는 “라디오-파리”가 1927년 8월 1일에 설립되었다.
20시: 마띠뇽 총리 공관을 알렸다. 조르쥬 뽕삐두가 21시 30분에 담화를 라디오-텔레비전으로 할 것이다.
20시 15분: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의 제1채널을 향한 ‘대학 연단’의 방속 시작에서, 르 몽드지는 이렇게 보고하였다. “그 논쟁이 정부 전략의 계통 속에 위치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아주 재빨리 드러났다. 꾸방 씨(M. Couband)로 지칭되는 자와 마찬가지로 3명의 석유방화범("pétroleurs")을 불신하는 것이었다. 사람들이 ‘분노해(enragés)’있다는 것을 잘 생각하게 하는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몇 분후에 조르쥬 뽕삐두가 나타나는데, 르 몽드지에 따르며 “이런 해석을 확정하기에 넘칠 정도로” 충분했다. 20시 뉴스 판의 마지막에, 사회자 끌로드 꾸방(Claude Couband, s.d.)이 방영하고, 초대자들을 소개했다. 학생들 편에서는 ‘3월 22일 운동’의 다니엘 콘-벤디트, ‘프랑스학생 국가통합’(UNEF)의 부의장인 쟈끄 소바죠, ‘고등교육국민노조’(SNE-Sup)의 사무총장 알랭 게스마르 였다. 신문기자들로서 피가로의 미셀 바시(Michel Bassi), 프랑스 스와르(France Soir)의 장 페르니오(Jean Ferniot), 파리-프레스(Paris-Presse)의 삐에르 샤르피 이다. 다루어진 주제들은 휴업중인 학생들의 요구 사항들, 시험들의 제거, 선발, 시위때 체포된 학생들의 사면[석방], 학생들에 의해 오데옹 극장의 점거 등이다. 이 방영으로부터, 언론은 좀 덜 퍼진 2채널에서 5월 14일의 방영보다 더 신중하게 반향을 얻었다. 그리고 “어떤 이들은 이 방영을 통해서 공적인 여론 측면에서 학생들이 자격이 모자라는 것으로 지각하였다.”
21시: 노동총연합(CGT)는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에 대항하는 시위가 “선동의 방식을 취해야”한다고 평가하였다.
21시 30분 : 조르쥬 뽕삐두는 헌병의 예비군을 소집을, 그리고 오페라좌와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과 에펠탑 주위의 감시 강화를, 알렸다. 이런 사실들의 계획에서, 담화문은, 아마도 적어도 원칙적으로, “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이 취한” 의도에 맞게 또는 방송국 스튜디오 앞에서 시위하는 것의 의도에 맞게, 학생운동의 몇몇 아마추어들에게 거부하게 하는 효과를 얻었다고 르몽드지의 비앙송-뽕떼(Pierre Viansson-Ponté, 1920-1979)가 기사를 썼다. 그는 노동조합들과 ‘프랑스 공산당’(PCF)이 노동자 파업을 향해 조명들(서치라이트)을 이동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22시 : 르노[자동차]-상두빌의 노동자들은 사옥들을 점거하기로 결정했다.
밤중에(soirée) : ‘맑스레닌 공산주의 청년 통합’(UJCml)는 커다란 현수막(플랑카드)를 들고서 르노-비앙꾸르로 향하여 즉석에서 행진하였다. 현수막에는 “노동자들은, 학생들의 연약한 손들로 만들어진, 반(反)-인민 체제에 대하는 깃발을 들것이다.”
22시 : 노동총연합(CGT) 사무총장인 세기(Georges Séguy, 1927-2016)는 상황을 “노동자와 민주주의 힘 대 정치적 파산앞에 위치한 권력 사이에 투쟁”이라고 규정하였다.
자정: 고등교육국민노조(SNE Sup)와‘프랑스학생 국가통합’(l'UNEF)는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 향한 행진을, 그들로부터 연대를 풀면서, 취소하였다.
파리의 ‘정치연구소’(IEP)의 학생들은, 학생회 선거들과 새학기에 시험들의 보고서를 위하여 협상을 열었다(5월 19일에 약정되었다).
5월 17일 금요일 (Vendredi 17 mai)
프랑스에서 파업자들이 20만이나 되었다. 운동은 푸죠 자동차 공장의 핵심인 몽벨리아르-소쇼(Montbéliard-Sochaux)로, 브장송으로 또한 서남쪽으로 확장되었다.
직업자격증(CAP, Certificat d’aptitude professionnelle)을 지닌 젊은 청년들은 낙오되었다고 스스로를 평가하였다.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은 ‘노동총연합’(CGT)의 보루인 르노-비앙꾸르의 닫힌 문(입구)들 앞에서 제자리걸음하는 수천 학생들의 영상을 내보냈다.
16일 목요일에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의 시위는 유야무야 되었다. 그리고 ‘프랑스학생 국가통합’(l'UNEF)에 의해서 오데옹 극장의 함락은 철회되었다.
오전: ‘노동총연합’(CGT)는 연합사무국의 특별한 집회에 이어서, 팡땡의 젊은이 페스티발(le Festival de la jeunesse de Pantin[파리북서부 도시])을 취소했다. 그리고 공장 점거 파업은 확장되고, 노동작업장의 수천명의 집회와 파업을 조직화할 것을 호소했다고, 조르쥬 세기가 선언했다.
‘프랑스학생 국가통합’(l'UNEF)은 오데옹 극장의 점거를 철회했다.
5월 18일 토요일 (Samedi 18 mai)
정오에는 시위대가 100만이 되었다. 오후의 마지막에는 200만이 되었다.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의 영상들은 노동조합들과 좌파 정당들 가운데서 대혼잡을 창조해 냈다. 5월 19일부터 좌파정당들은 판본들(versions, 이론들)에 따라 운동 속에 들어가, 운동을 흐르게 하고 또 회수하기를 시도했다. 파업 중인 공장들 가운데서, 45 공장은 중 야금공업에 속하며, 19곳은 자동차에, 17곳은 전기기술에, 15곳은 음식재료에, 13곳은 항공산업에 속한다.
5월 19일 일요일 (Dimanche 19 mai)
칸 페스티발(필름 국제 페스티발)은 파업자들과 연대할 배려로 그리고 여러 감독들의 압력으로 중단되었다. 반체제 영화인들으로서 특히 뜨뤼포(François Truffaut, 1932-1984), 베리(Claude Berri, 1934-2009), 르루(Claude Lelouch, 1937-), 고다르(Jean-Luc Godard, 1930-2022)과 몇몇 심사위원들로서 루이 말(Louis Malle, 1932-1995), 로망 폴란스키(Roman Polanski, 1933-) 등은, 사건들이 진행 중인 것을 알면서도, 페스티벌을 계속하는 것이 몰염치하다고 판단했다. 페스티벌은 5월 24일에 끝났는데, 그 귀결로서 상은 수여되지 않았다.
5월 20일 월요일 (Lundi 20 mai)
월요일 오전: 전단살포들과 토론들의 주말을 지낸 후, 파업자들의 수는 전직업들로서, 간부들과 기술자들을 포함해서 400만을 도달했다.
5월 21일 화요일 (Mardi 21 mai)
[원문에 기록이 없고, 날자만 있음]
5월 22일 수요일 (Mercredi 22 mai
- Article détaillé : Grève des techniciens et journalistes de l'ORTF en mai-juin 1968.
제1채널에서, 정규 프로그램이 저녁까지 중단되었다.
파업자들이 800백만에 이르다.
콘-벤디트는 “혁명적 전환”을 하기 위하여 프랑스를 떠났다. 내무부 장관은 콘-벤디트가 프랑스에서 체류가 이제부터 금지된다고 알렸다. [콘-벤디트는 국적 선택에서 독일국적을 선택했었다. 알제리와 전쟁하는 군대에 가지 않기 위해서 라고 했다.]
5월 23일 목요일 (Jeudi 23 mai)
고등교육국민노조(SNE Sup)의 대회의가 76개 섹션으로 5월 23일 열렸는데, 전알에 파리에서 ‘프랑스학생 국가통합’(UNEF)의 시위가 있었다. 대다수의 논의자들은 투표에 의한 방향정립의 논쟁의 결론을 내리지 말자고 결의 했다.
5월 24일 금요일 (Vendredi 24 mai)
이른 아침: 파리에서 데제꼴 거리의 바리케이드 위에서, 사람들은 공격용 수류탄의 폭발로 부상을 입은 26살의 마뜨롱(Philippe Matheron)을 발견한다. 시체해부는 비밀로 남았다. - [드골 권력이 폭압적으로 살아있다는 증거일까?]
승천절(l'ascension: 예수 승천절) 목요일 저녁에, 대통령 샤를 드골(Charles de Gaulle, 1890–1970)[당시78세]은 텔레비전 인터뷰를 했다. 그는 참여를 위한 미래[다음] 선거를 예고했다. 저녁에 담화 후에, 시위자들은 “그의 담화, 신경 안써(Son discours, on s'en fout)”를 외쳤다.
다음날, 도지사들은 그에게 전보를 통해서 각 지역의 반작용[반응]들을 보냈다.
에스 지방의 느와르 꾸르[파리 서북부 도시]에서, 시행정은 투표를 조직화하는 것을 거부한다는 것을 알렸다.
리용에서 학생들은 5월 24일에서 25일 밤에 봉기를 했다. (55RMB)
5월 25일 토요일 (Samedi 25 mai)
- Article détaillé : Grève des techniciens et journalistes de l'ORTF en mai-juin 1968.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의 직원들 파업을 시작하다.
금요일, 승천절(l'ascension: 예수 승천절) 다음날, 파업자들이 9백만에 이르다.
전후 30년의 영광의 과정에서 산업화되었던 프랑스에서, 1936년 앞시대의 가장 큰 파업의 기록(600만)이 크게 무너졌다.
전화, 우편, 자동차 기름도 더 이상 없다. 파업에도 불구하고, 매체들 속에서 기자들은 사건들을 계속해서 은폐하였다.
음악가들은, 사람들이[파업자들이] 춤추고 축구하는 공장에, 무료로 연주하러 왔다.
노동조합과 정부의 첫 협상이 그르넬 거리(rue de Grenelle)에서, 조르쥬 뽕삐두에 의해 열렸다.
5월 26일 일요일 (Dimanche 26 mai)
낭뜨에서, 파업 중앙 위원회는 소[상인] 식료 거래들에게 연료 전표[채권]를 배부하였다. 그리고 오물 수거를 조직화하였다.
(오뜨-사브와 지역) 끌뤼즈에서, 파업자들에 의해 발행되었고 상인들이 삼켜버린 잔돈은 10프랑의 전표로 소통되었다.
솜 주[파리 북쪽에 있는 주, 주도는 아미앵]에서, 채권[전표]를 발행했던 면행정기관들은 살뢰(Saleux), 삑끼니(Picquigny), 생-소뵈르(Saint-Sauveur), 플릭세꾸르(Flixécourt) 등이었다.
5월 27일 월요일 (Lundi 27 mai)
그르넬 협약의 원안이 밤을 세운 후에 오전 7시 경에 확정되었다.
프랑스 전역에, 기름도 전화도 없었는데, 트랜지스터들의 리듬에 맞추어 숨 쉬었다.
여러 총회들(Les assemblées générales)이 이변을 연출했는데, 이 협정들을 거부하고 또하루 동안 파업을 계속하자는 투표가 있었다. 심지어 비앙꾸르의 르노의 공장에서 노동총연합(CGT)은 직업적인 선거에 60%가 넘어서, [파업에] 휩쓸려가게 되었다.
오후에, 거대한 모임이, (파리 남쪽에 있는) 샤를레티 경기장에서 이루어졌는데, 프랑스학생 국가통합(UNEF)의 학생들, 그리고 ‘민주프랑스 노동연합’(CFDT), ‘국민교육 연맹’(FEN) 노동자의 힘(FO), 일부 극좌 그룹들의 운동가들과 지도자들이 모였다.
5월 28일 화요일 (Mardi 28 mai)
노동총연합(CGT)는 “단일대오의 대규모 시위”를 다음날 조직하자고 제안했고, 동의를 얻었다.
미테랑(François Mitterrand, 1916-1996)가 망데스(Pierre Mendès France, 1907-1982)에게 임시정부를 맡을 것을 제안하였다.
[노동계의 통합이 어려웠다. 문제는 정치 문제로 넘어갔다.]
5월 29일 수요일 (Mercredi 29 mai)
드골(Charles de Gaulle, 1890–1970)이 사라졌다. 그러나 그는 독일의 바덴바덴에 독일주둔군 사령관 있는 마쉬(Jacques Massu, 1908-2002)에 상의하러 갔다고 알려졌다.
프랑스 공산당(PCF)과 노동조합의 호소에, 2만명이 파리의 거리에서 시위를 하였다.
5월 30일 목요일 (Jeudi 30 mai)
드골 대통령이 다시 나타났다. 그는 14시 30분에 조르쥬 뽕삐두를 접견했고, 15시에 장관회의를 소집했으며, 16시 30분에 라디오 방송으로 의회 해산과 입법의원 선거를 알렸다.
전날 예고했던 사회 운동에 반대하고 공화국 대통령을 지지하는 시위는 샹젤리제 거리와 꽁꼬드 광장에서 20만이 모였다.
5월 31일 금요일 (Vendredi 31 mai)
뽕삐두가 행정부를 새로이 조각하였다.
# 1968년 6월
6월 4일 화요일 (Mardi 4 juin)
‘프랑스 전기 가스 회사’(EDF-GDF), 운송, 우편-전보-전화국(PTT)과 같은 몇몇 분야들의 활동이 다시 시작하였다.
6월 5일-6월 7일 (5 juin - 7 juin)
공공기관에서 업무들이 다시 시작하였다.
6월 7일 (7 juin)
플랭에서 파업자들과 르노 공단 사이에, 학생들과 경찰력에 의해 지원받아서, 맹렬한 대치가 있었다.
6월 10일 (10 juin)
고등학생이자 마오주의 운동가인 질 또땡(Gilles Tautin, 1950-1968)이 죽었다. 그는 묄랭에 있는 르노 플랭 공장에 접근에서 공안헌병의 체포를 피하기를 시도하다가 센 강에서 익사하였다.
6월 11일 (11 juin)
소쇼-몽벨리아르 푸조 공장에서 ‘공화국 보안대’(CRS) 대원 한명이 9밀리미터 총알로 열쇠공 노동자인 벨로(Pierre Beylot, 1944-1968)를 죽였다(여러 노동자들이 총알에 맞았다). 다른 노동자 한 명, 블랑셰(Henri Blanchet, 1919-1968)가 공격용 수류탄에 의해 균형을 잃고, 난간에서 떨어져, 두개골 파열로 죽었다. [정부의 반격이 강했다.]
6월 12일 (12 juin)
[드골 대통령에 의해] 조직들과 그룹들의 해체를 시행하는 1968년 6월 12일 법령이 나오다. 정부는 모든 영토에서 시위들을 금지했다.
6월 14일-16일 (14 - 16 juin)
소르본 대학과 오데옹 극장의 시위대를 철수시켰다. 고등학교에서 강의가 재개되었다.
6월 15일, ‘고등교육국민노조’(SNE Sup)의 행정위원회(CA)는 중단된 회의 이래로 처음으로 다시 모였다.
6월 19일 (19 juin)
‘고등교육국민노조’의 행정위원회(La commission administrative du SNESup)는 중단된 위원회 이후로 처음으로 모였고, 알랭 게스마르의 사무국행동을 찬성 28 반대 26, 기권 8로 매우 작은 다수에 의해서 시인했다. 그러나 소수에게 사무국의 확장의 요구는 부결되었고, 예외적인 회의가 7월 12, 13, 14일에 고정되었다.
6월 23일-30일 (23 - 30 juin)
의회 선거가 있었다. ‘공화국 민주주의 통합’(UDR)의 드골주의자들과 그들의 동맹이 승리를 거두었다. 그들은 의석의 절대적 다수를 차지했다. 반대편은 큰 울림의 좌절을 감당했다.
# 1968년 7월 (Juillet)
7월 10일(10 juillet) :
뮈르빌(Maurice Couve de Murville, 1907-1999) 총리가 죠르쥬 뽕삐두를 대체하여, 새로운 행정부를 구성했다. 포르(Edgar Faure, 1908-1988)가 교육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크리빈(Alain Krivine, 1941-2022) 체포 당하다.
7월 11일(11 juillet) : 새로운 국회의 구성에 부합하여 15일간 개회되었다. 델마(Jacques Chaban-Delmas, 1915-2000)가 의장에 재선출되었다. ‘공화국 민주주의 통합’(UDR)과 독립공화파들 사이에 분쟁이 생겼고, 데스땡(Valéry Giscard d'Estaing, 1926-2020)는 재정위원회 위원장에서 물러났다. .
7월 11일 : ‘프랑스 라디오-텔레비전 방송국’(ORTF)의 기자들의 파업이 끝났다.
7월 13일-16일 : 라틴 구역과 바스띠유에서 시위대와 경찰 사이에 사고들이 있었다.
7월 13일-16일 : 아비뇽 페스티발에서 사고들이 있었다.
7월 17일 : 뮈르빌(1907-1999)이 의회에서 행한 정치일반의 선언에서, 그는 프랑스 경제의 균형을 확립하기 위해 18개월이 필요하다고 하고, 연말에 앞서 지원되어야 할 “대 개혁”을 정확히 설명했다.
7월 24일 : 알제리에 관한 사실들을 위한 사면법을 발표하다.
[7월 시위와 파업은 사그러들고, 정치로 넘어갔다. 드골은 표면적으로 승리한 것 같지만, 다음해 1969년 불신임으로 대통령직을 사임한다.]
(10:01, 55TMC)
***
1890 드골(Charles de Gaulle, 1890–1970) 카톨릭, 프랑스 군인, 대독 자유프랑스 힘(Forces françaises libres, FFL) 지도자, 5공화국 건설(1958)과 5공화국 대통령(1959–1969)
1907 망데스(Pierre Mendès France, 1907-1982) 급진 사회주의자. 총리를 지냄
1907 뮈르빌(Maurice Couve de Murville, 1907-1999) 프랑스 고급공무원. 드골 마지막 재임시 총리 (10 juillet 1968 au 20 juin 1969),
1908 포르(Edgar Faure, 1908-1988) 드골 마지막 재임시 교육부 장관 지냄
1908 마쉬(Jacques Massu, 1908-2002) 프랑스 군인, 68당시 독일 주둔군 사령관이었다.
1909 카뻴(Jean Capelle, 1909-1983) 고급공무원, 정치가, 고등교육확립에 관여했다. ENS출신으로 수학교수자격. 고등사범 학장 플라스리에르(Robert Flacelière)의 후임
1911 미쇼(Guy Michaud, 1911-2006), 문학교수
1915 델마(Jacques Chaban-Delmas, né Jacques Delmas, 1915-2000) 레지스탕스, 장군, 프랑스 정치가, 총리(20 juin 1969 au 5 juillet 1972).
1916 미테랑(François Mitterrand, 1916-1996) 프랑스 대통령(21 mai 1981 au 17 mai 1995). 전쟁말기 사회민주당 소속 레지스탕스,
1920 비앙송-뽕떼(Pierre Viansson-Ponté, 1920-1979) 프랑스 기자. 특히 르몽드 정치부장과 편집장을 지냄
1926 데스땡(Valéry Giscard d'Estaing, 1926-2020) 프랑스 정치가, 공화국 대통령(1974 à 1981)
1927 세기(Georges Séguy, 1927-2016) 프랑스 정치가, 레지스탕스, 노조원. 공산당원으로 출발, 노동총연합(CGT) 사무총장(1967-1982). 저항하다(Résister : de Mauthausen à Mai 68, 2008)
1928 팡똥(André Fanton, 1928-) 프랑스 정치가. 우파로서 ‘새로운 공화국 통합’(L'Union pour la nouvelle République (UNR)에 속한다.
1930 고다르(Jean-Luc Godard, 1930-2022) 프랑스-스위스 영화인
1932 트뤼포(François Truffaut, 1932-1984) 프랑스 영화감독 새물결(la Nouvelle Vague)을 주도했던 영화노트 Cahiers du cinema의 주역들 중의 한사람이다. 1968년에 친 아버지를 찾았다. 벨포르(Belfort) 도시의 유태인 레비(Roland Lévy)란다. 어머니는 1933년에 롤랑 트뤼포(Roland Truffaut)와 결혼하였다.
1932 루이 말(Louis Malle, 1932-1995) 프랑스의 영화감독. 신선한 영상감각에 의한 현실추구로 당시 누벨바그의 대표작가. 대표작《연인들》에서 보여지는 심미적(審美的) 경향이 영상의 특징이다. 주요작품 《사형대(死刑臺)의 엘리베이터》(1957) 《연인들》(1958)
1933 폴란스키(Roman Polanski, 본명 Raymond Thierry Liebling, 1933-) 프랑스-폴란드 배우, 영화감독 제작자. 연극 연출가.
1934 베리(Claude Langmann, dit Claude Berri, 1934-2009) 프랑스 영화감독, 배우, 제작자.
1937 르루(Claude Lelouch, 1937-) 프랑스 감독, 영화제작자. 시나리오작가.
1938 뒤뽕(Jean-Marie Dupont, 1938-) 프랑스 기자. 보르도 정치고학 학위후에 릴의 기자그랑제꼴(École supérieure de journalisme de Lille) 출신. 1959년 ‘프랑스학생 국가통합’(l'UNEF)의 부회장을 했다. 그런데 68년의 기록은 안보인다. 르몽드에서 경력.
1941 크리빈(Alain Krivine, 1941-2022) 프랑스 극좌 정치가. 우크라이나 유태계 이민가족. 레지스탕스 출신가족. 파리문학부 학생, 1956에 프랑스 공산주의 청년 운동(Le Mouvement jeunes communistes de France (MJCF)에 가담, 그리고 프랑스 공산당(PCF) 활동. 유로의원을 지냄.
1943 쉬스레(Claude Chisserey, 1943-1981)[서른여덟] 조합주의자. 정치가. ‘국제공산주의 조직’의 책임자(OCI Organisation communiste internationaliste 트로츠키파). UNEF 운동가. 68년에는 (Comité de liaison des étudiants révolutionnaires (CLER, trotskiste)의 책임자, 68년 4월 말에는 FER에 속한다.
1950 또땡(Gilles Tautin, 1950-1968) 플랭 쉬르 센(Flins-sur-Seine)에서 익사. 맑스레닌 공산주의 청년 통합(UJCML: l'Union des jeunesses communistes marxistes-léninistes) 회원이다.
*
룩상부르-라디오-텔레(RTL) 1933년에는 라디오(Radio Luxembourg (1933-1966))였다가 1966년 이후로 RTL (depuis 1966) Radio-Télé-Luxembour이 되었다. 사기업이다.
유럽1(Europe 1) 라디오 방송이며 1955년에 미셀송(Charles Michelson)과 메를랑(Louis Merlin)에 의해 창설되었다. 첫 명칭(Europe n° 1: 1955-1983)에서 현 명칭(Europe 1: 1983 이후)
과학탐구 국립연구소(CNRS Le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과학탐구에 있어서 프랑스에서 가장 큰 공공기관. 인식(지식)의 영역에서 활동한다. 1939년 10월(19 octobre 1939)에 설립되었다.
정치연구소(IEP Institut d'études politiques), 시앙스 포(« Sciences Po »), 10개의 프랑스 고등교육 공공 설립기관의 명칭이다 .
CAP. 1. 직업자격증(Certificat d’aptitude professionnelle), 2. 초등 교원자격증(Certificat d’aptitude pédagogique).
공화국 보안대(CRS, Les compagnies républicaines de sécurité) 프랑스 국립 경찰의 특수 부대이다. / ‘공화국 보안 기동대’(les compagnies républicaines de sécurité: CRS)는 1944년 창설되었고, 1947년에 시위, 파업, 소요를 진압하기 위하여 국가를 보위하는 조직이었다. 68년 5월에 다시 등장한다. - CRS, S,S = 독일 친위대(S.S. Schutzstaffel)를 의미하는데, 공화국 보안기동대를 지칭하는 약자로 쓰는데 CRSS라고도 한다. 그런데 68년 벽보에서 CRS아래에 SS라고 썼다.
*
프랑스 공산당(PCF, Le Parti communiste de France, 1919) 또는 공산당(Parti communiste, PC), 뻬리까(Raymond Peyricat)에 의해 1919년에 창설된 무권위주의 극좌파 맑스 정당이었다가, 1921년 사라졌다.
현 공산당(PC)은 1920년에 창설된 ‘국제 공산주의 프랑스 분국(Section française de l'Internationale communiste)을 계승하고 있다.
청년 혁명 공산주의자’(La Jeunesse communiste révolutionnaire, JCR) 크리빈(Alain Krivine, 1941-2022)에 의해 조직되었다. 주로 트로츠키주의자들.
혁명적 학생 연맹(La Fédération des étudiants révolutionnaires (FER, 1968) : 반파시즘대학전선(Front universitaire antifasciste)이 창설된 직후에, 1961년 ‘혁명적 학생들 연결 위원회’(Comité de liaison des étudiants révolutionnaires (CLER)에서 1968년 4월 대회에서 재건설 되었다. 주간지 봉기(Le Révolté)를 배포했다. 중요한 것은 랑베르 분국의 트로츠키 분파는 ‘(제4) 국제코뮤니트스트 조직’(OCI: l'Organisation communiste internationaliste)과 결합되어 있었고, 이 분파는 사회주의 청년 동맹(Alliance des jeunes pour le socialisme)으로 이름을 다시 붙였는데, 학생들에게 더 이상 충실하지 않기 위해서 였다.
맑스레닌 공산주의 청년 통합(UJCML, UJCml, l'Union des jeunesses communistes marxistes-léninistes) 마오주의자들에 의해 1966년 결성되었다.
SNE Sup. 고등교육국민노조(Syndicat national de l'enseignement supérieur), 이 노조는 통합노조연맹의 국민노조들 중의 하나(un des syndicats nationaux de la Fédération syndicale unitaire, FSU)이며, 현재로는 (Le SNESUP-FSU)이다.
이는 국민교육 연맹(FEN: Fédération de l'Éducation nationale)에 가입되어 있다.
노동총연합(CGT: La Confédération générale du travail): 프랑스 봉급노동자 노조. 1895년 9월 23일 창설. 노동총연맹은 프랑스의 봉급자 다섯 노동조합으로 연합되어 있다. 1909년부터 월간 새로운 노동자의 삶(La Nouvelle Vie ouvrière)을 발간. - 좌파노조.
‘공화국 민주주의 통합’ (UDR: Union des démocrates pour la République) 드골주의 정당.
출판 인쇄 총노조(Syndicat général du livre et de la communication écrite CGT (SGLCE-CGT): 언론, 편집, 이에 연결된 생산작업: 제작, 출판, 판매에 관한 작업을 하는 노동자들의 노조.
프랑스 전기 가스 회사(EDF-GDF, Électricité de France et Gaz de France), 전기가스분배회사(Électricité-Gaz de France Distribution (EGD) - 전기가스 두 기업의 공동 이사회.
우편 전보 전화국(PTT: Postes, télégraphes et téléphones) 다양한 우편 국가기관들을 지칭한다.
프랑스학생 국가통합(l'UNEF: Union nationale des étudiants de France, 1962)
*
행동(Action), 샬리(Jean Schalit)에 의해 창간된 1968년 5월에 운동권 신문. 첫발간은 “총파업과 영속적 봉기를 호소”하는 68년 5월 7일이다. 69년 6월까지 발간되었다(총 47호)[주간지?].
마띠뇽 호텔(L'hôtel de Matignon), 파리 7구, 바렌 거리 57번지이다. 프랑스 내각 수반(총리)의 집무실이다.
아비뇽 페스티발(Le festival d'Avignon), 1947년부터 개최, 연극, 공연예술(spectacle vivant), 춤, 음악을 다룬다.
(12:29, 55T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