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Wave Club (웨이브 클럽 댄스스포츠)
 
 
 
카페 게시글
▒ 이사와식 댄스학습법 양쪽 어깨를 뒤로 당겨 유지한다
겨울나그네 추천 1 조회 1,194 09.05.04 09:16 댓글 1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9.05.04 14:18

    첫댓글 노력없인 아무것도 얻을수 있는게 없는것 같아요...몸만들기 과정이 부지런하고 끈기인내심이 없이는 안될것같아요...노력열공열공오늘도낼도 열공합시다...

  • 작성자 09.05.05 11:21

    몸을 만드는 과정에서 양쪽 어깨를 뒤로 당겨 유지한다는 것은 상당한 요령과 다른 근육과 연계해서 근육을 사용하는 기술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전문 강사의 도움이 필요한 자기 트레이닝 이라 생각됩니다...열공

  • 16.08.12 16:21

    @겨울나그네 ^끙^~ 등근육이 경직되면 고통이 엄청나다~! 조심조심~ 서서히~!!

  • 09.05.06 11:03

    골짜기가 생길 정도로 뒤로당겨서 첨에 연습햔 관계로 다소 근육이 생겨서인지 지금은 도움이 많이 되는것같아요 프레임이 4~5분 정도 유지한다는건 상당히 어려운데요 요즘은 다소 요령이 생겨서 항아리 안기를하면서 부담이 덜가고 경직된 자세가 좋아지더군요~~룰루

  • 작성자 09.05.07 10:21

    잘 못 양 쪽 어깨를 뒤로 당기면 자칫 어깨 라인이 제껴지는 불편한 자세가 나올 수 있어요..양쪽 견갑골은 조이면서 팔 뒷꿈치는 바깥 쪽으로 당겨야 하기에 많은 연습이 필요하지요....항아리 안는 동작...좋습니다...^^*~

  • 09.05.06 15:28

    (1) 걷기 달리기 등, 다른 스포츠와 댄스의 가장 큰 차이가 바로 ``어께의 움직임`` 에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거의 모든 스포츠가 팔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서 어께도 많이 움직이게 되어 있습니다만,,, 댄스는 파트너와 홀딩을 해서 체중 이동해 나가야 함으로, 양 어께가 고정 되어 있어야 합니다. 홀딩의 주 역활을 하는 어께 팔 손이 만들어 내는 ``프레임``, 이 프레임 중에서도 어께가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습니다. 초급에서는 주로 손과 팔로 리드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급, 고급으로 올라 갈 수록 어께가 중심이 된 프레임으로 추게 되지요. 안정된 어께를 만들기 위한 방법을 위 글에서 논하고 있는겁니다.

  • 09.05.06 15:36

    (2) 가만히 서 있는 자세에서는 누구나 별로 어렵지 않게 ``어께 뒤로 당김`` 을 잘 하실 수가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파트너와 홀딩한 자세에서 어려운 Step 를 밟아 나가는 과정에서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Dancing 해야하는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움직이는 상테에서 훈련이 되어야 보다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양발을 어께 넓이로 벌리고 양팔을 홀딩 자세로 해서 어께는 뒤로 당겨 놓은 상태로(* 프레임을 만들어 놓은 상태가 되겠습니다.) 프레임을 고정 시켜 놓은 상태대로, 즉 프레임이 위아래 또는 앞뒤로 움직이지 않게해서, 상체를 수직으로 Up-Down 을 하는 연습, 이 연습을 처음에는 10회로 시작해서 점차,,,

  • 09.05.06 15:43

    (3) 점차 회수를 증가해 나갑니다. 저의 경우 최고 2시간 10분, 마라톤 대회 중계방송을 보면서 1등이 골인해 들어 올 때까지 해 봤습니다. 제가 마라톤을 하니까, 한번 시도해 봤습니다. 자신있게 이 방법을 권해 드리고 싶습니다. 훨씬 안정된 어께를 만들 수가 있습니다. 아령을 들고 하셔도 됩니다. 움직이는 상태에서 훈련이 되어야 효과적이라는 말씀을 강조해 드리고싶습니다.

  • 작성자 09.05.07 10:16

    자세한 해설 감사합니다....댄스에 있어서 중요한 설명입니다...이런 단단한 상체의 프레임 유지가 춤을 아름답고 편안한 춤사위가 됩니다..이런 프레임이 없으면 상대를 밀고 당기고 누르는 팔과 어깨라인이 되지요...라틴이던 모던이던 춤은 특히 뒷 근육을 잘 사용하여야 멋지고 편안하고 아름다운 실루엣이 된다고 합니다..감사합니다..조이 댄싱~

  • 10.10.24 13:54

    견갑골 뒷쪽을 골짜기를 만들면 견갑골로부터 앞족은 스트레칭되는데 둥근형(홀드)가 이상하게 보이지 않을까요^^어께까지뒤쪽을 ^^견갑골로부터 팔꿈치 팔꿈치에서손목까지 텐션이걸려 있어야 되는것같은데요,..의문점이 있어 질문합니다,조언 부탁해요 ^^

  • 작성자 10.10.25 10:05

    이사와님의 이론은 「양쪽의 견갑골을 골짜기를 만드는 기분으로 척추에 당긴다.」입니다... 이 동작만 하게되면 상체가 이상하고 불편해지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상체를 제낀다는 기분보다는 견갑골을 척추에 당기면서 항아리를 안는다는 기분으로 앞 가슴을 조정해야 할것 같습니다...경험으로 홀드는 머리는 상부로, 어깨는 아래로 스트레치 하면서 견갑골은 척추로..팔끝(엘보)은 바깥으로 스트레치를 하여야 손목의 텐션이 자유로워지고 든든한 상부 프레임을 이룰수 있습니다..바디부위도 마찬가지이지만 근육을 한쪽으로만 스트레치를 하는것이 아니라 어느 정점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스트레치를 하여야 한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 10.10.26 15:02

    감사합니다.겨울나그네님 감사합니다.^^더욱더 웨이브클럽 사랑해요^^고수님감사합니다,저는경남창원에 있어 정말댄스를사랑하지만 고수님들만나뵙기가힘드는데 이렇게 좋은카페가 있어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