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산중한담 청빈지정 산에서 펼치는 마음 길 원문보기 글쓴이: 빛구름-혜운
실상사 석등 (實相寺 石燈) 보물 35호 지정일 : 1963. 1. 21
실상사는 지리산 천왕봉의 서쪽 분지에 있는 절로,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에 홍척(洪陟)이 선종 9산의 하나로 실상산문을 열면서 창건하였다. 이 석등은 실상사 보광명전 앞뜰에 세워져 있다.
석등은 불을 밝히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밑에 3단의 받침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는데, 평면은 전체적으로 8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받침부분의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8장의 꽃잎을 대칭적으로 새겼다. 화사석은 8면에 모두 창을 뚫었는데, 창 주위로 구멍들이 나 있어 창문을 달기 위해 뚫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붕돌은 여덟 곳의 귀퉁이가 모두 위로 치켜올려진 상태로, 돌출된 꽃모양 조각을 얹었다. 머리장식에는 화려한 무늬를 새겨 통일신라 후기의 뛰어난 장식성을 잘 보여준다.
이 석등은 규모가 커서 석등 앞에 불을 밝힐 때 쓰도록 돌사다리를 만들어 놓았으며, 지붕돌의 귀퉁이마다 새긴 꽃모양이나 받침돌의 연꽃무늬가 형식적인 점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보인다.
경내(境內) 대광명전(大光明殿) 앞 원위치(原位置)를 고수(固守)한 이 석등(石燈)은 전형적(典型的)인 양식(樣式)에서 벗어난 고복형계(鼓腹形系)이다. 이는 전부재(全部材)를 완전히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등계(燈階)까지 구비(具備)하고 있다. 8각의 지대석(地臺石) 위에 폭좁은 기대석(基臺石)을 안치(安置)하고 각 측면에 안상(眼象)을 조식하였다.
귀꽃을 갖춘 하대연화석(下臺蓮華石)은 폭(幅)이 넓으며 판(瓣)안의 자엽(子葉)은 단형(短形)으로 선각(線刻)하였다. 고복형(鼓腹形) 간주석(竿柱石)의 중간고형(中間鼓形) 표면(表面) 중앙(中央)에는 3조(三條)의 대(帶)를 두르고 8곳에 4엽문장식(四葉紋裝飾)을 한 고견(鼓肩)에 16판(瓣)의 앙·복련(仰·覆蓮)을 장식하였다. 상·하(上·下) 양고(兩鼓)의 표면장식도 동일하다.
이 석등(石燈)에서 주목(注目)되는 것은 옥개석(屋蓋石)으로 귀에는 귀꽃을 구비하고 낙수면(落水面)에는 8엽단판연화(八葉單瓣蓮華)로 전면(全面)을 덮은 것이다. 정상(頂上)에는 복발형(覆鉢形)의 노반(露盤)이 놓이고 그 위에 고복형(鼓腹形)의 간(竿)과 8각의 보개(寶蓋)와 보주(寶珠)가 장식되었다.
이 석등은 보림사석등(寶林寺石燈)(국보 제44호)과 담양(潭陽) 개선사지석등(開仙寺址石燈)(보물 제11호)의 장단점(長短點)을 뽑아 절충한 양식이며 조성시기(造成時期)는 9세기말로 추정(推定)된다.
실상사의 주법당인 보광전은 1884년(고종 21)에 월송대사가 세운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의 건물이다.
건물 안에 모셔진 삼존상 중 본존불은 조선시대에 조성한 것이고, 좌우의 관음, 세지 두 보살은 원래 극락전에 아미타불과 함께 봉안되었던 것으로 월씨국(베트남)에서 모셔왔다고도 한다.
현재는 단청이 되어 있지 않아 소박한 모습으로 실상사를 찾는 사람들을 맞이하고 있다. 그렇지만 조선후기의 건축양식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로써, 보광전 주변에는 83평을 추정케 하는 주춧돌이 남아 있어 굉장한 규모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1991년 동국대 박물관에 의한 보광전 주변 발굴에 의한 보광전 주변 발굴에서 이미 증명된 적이 있다.
불상 뒤에는 아미타여래도가 있고, 불단 오른편에는 1981년에 만든 신중불화와 산신불화가 있다.
칠성각
극락전
극락전의 옛이름은 부도전(扶道殿)으로 계오대사가 1684년(숙종 10)에 건물을 짓고 부도전(浮屠殿)이라 하였다. 이와 같이 부도전이라 한 것은 근처에 홍척국사와 수철화상의 부도가 있기 때문이다. 1751년(영조 27)에 포문비구(抱文比丘) 한심(漢諶)이 옛 연하당(蓮荷堂)과 금당(金堂)의 기와를 사용하여 요사채를 수리하고 부도전(扶道殿)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788년(정조 12년)에 금파 관오대사가 대시주 이휘와 별좌 홍찬, 재민과 더불어 중수하였다. 1832년(순조 32)에 의암대사가 기봉, 처윤과 함께 중건하여 극락전으로 이름을 바꾸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극락전은 명면 3칸, 측면 2칸인 맞배지붕의 목조건물로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 45호이다. 불단 위에는 아미타여래좌상이 있으며, 그 좌우에는 목조보살상이 있었으나 몇 년 전에 분실하였다.
극락전 요사채는 1932년에 남성법(南性法) 스님이 영원사(靈源寺)에서 옮겨 세운 것으로, 지리산의 기운이 솟아오르는 명당으로 알려져 수행납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실상사 극락전 (實相寺 極樂殿) 시도유형문화재 45호 지정일 : 1974. 9. 27
지리산에 위치한 실상사는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에 홍척이 처음 지은 절이다. 당나라에서 공부를 하고 돌아온 홍척은 풍수지리학적으로 이곳에 절을 세우지 않으면 우리나라의 정기가 일본으로 건너간다고 하여 이 절을 지었다고 한다.
극락전은 조선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불에 탔다가 다시 지어졌다. 절의 역사를 기록해 놓은 자료에 의하면 순조 31년(1831)에 지어졌다고 한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건물로,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가운데 칸에는 세짝의 문을 달았고 양쪽은 한짝 씩의 문을 달았다. 건물 안은 바닥에 마루를 깔고, 뒤쪽 높은 기둥 사이에 후불벽을 설치하고 불단 위에는 아미타불이 모셔져 있다.
이 건물은 조선시대(朝鮮時代) 말기(末期)의 규모가 작은 건축물로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집이다. 공포(공包)를 기둥 위에만 짜 올린 주심포식(柱心包式)이나, 평방(平枋)이 있는 것은 원래 다포(多包)집인 이 전각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주간포작(柱間包作)을 생략한 것이라 여겨진다. 정면의 길이는 6.55m, 측면은 4.88m인데 정칸(正間)은 3.15m로서 세 장의 빗살창호를 달고, 좌우칸은 너비 1.7m로 외짝 빗살창호를 달았다. 내부는 중칸에 고주(高柱)를 세워 전후에 퇴보를 걸고, 내주(內柱)에 연하여 불단을 짜고 그 위쪽에 중종보(中宗樑)에 붙여 우물천장을 달았다. 이 건물은 사적기(事蹟記)에 조선 순조(純祖) 31년(1831) 건립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실상사 증각대사 응료탑비 (實相寺 證覺大師 凝蓼塔碑) 보물 39호 지정일 : 1963. 1. 21
실상사에 있는 증각대사의 탑비이다. 증각대사는 일명 홍척국사 ·남한조사로 불리며, 통일신라 헌강왕 때에 당나라에 들어갔다가 흥덕왕 1년(826)에 귀국한 뒤 구산선문의 하나인 실상사파를 일으켜 세운 고승이다.
비는 비몸돌이 없어진 채 현재 거북받침돌과 머릿돌만이 남아있다. 받침돌은 용의 머리를 형상화 하지않고 거북의 머리를 그대로 충실히 따랐다. 머릿돌은 경주의 ‘태종무열왕릉비’계열에 속하는 우수한 조각을 보여주는데, 앞면 중앙에 ‘응료탑비(凝蓼塔碑)’라는 비명칭을 새겨 두었다.
9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경주의 신라 무열왕릉비와 같이 한국 석비의 고전적 형태를 잘 나타내고 있다. 대사의 묘탑인 실상사증각대사응료탑(보물 제38호)은 탑비의 뒤편 언덕에 세워져 있다.
이 비는 신라(新羅) 실상산문(實相山門)의 개산조(開山祖) 홍척국사(洪陟國師)의 묘탑에 대한 석비(石碑)이다. 현재 비신(碑身)은 없어지고 이수(이首)와 귀부(龜跌)만 남아 있는데, 이수 정면 중앙에는 '응료탑비(凝蓼塔碑)'라고 전자(篆字)로 새겨져 있다. 이 비는 경주(慶州)의 신라(新羅) 무열왕릉비(武烈王陵碑)와 같이 그 양식에서 한국 석비의 고전적 형태를 잘 나타낸 9세기 비이다.
실상사 수철화상 능가보월탑 (實相寺 秀澈和尙 楞伽寶月塔) 보물 33호 지정일 : 1963. 1. 21
실상사 안에 있는 극락전을 향하여 그 오른쪽에 서 있는 탑으로, 수철화상의 사리를 모셔 놓은 사리탑이다. 수철화상은 신라 후기의 승려로, 본래 심원사(深源寺)에 머물다가 후에 실상사에 들어와 이 절의 두번째 창건주가 되었다. 진성여왕 7년(893)에 77세로 입적하니, 왕은 그의 시호를 ‘수철화상’이라 하고, 탑 이름을 ‘능가보월’이라 내리었다.
탑은 신라 석조부도의 전형적인 양식인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삼아 맨 아래 바닥돌에서 지붕까지 모두 8각을 이루고 있다.
기단(基壇)은 아래받침돌에 구름과 용무늬와 사자가 새겨져 있으나 마멸이 심하다. 윗받침돌에는 솟은 연꽃무늬가 삼중으로 조각되어 둘러져 있다. 8각의 탑몸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고, 각 면에는 문(門) 모양과 사천왕상(四天王像)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얇고 경사가 완만하며, 처마부분에는 엷은 곡선을 이루고 서까래를 새겼다. 지붕 경사면에는 기와골을 표시하였고, 그 끝에는 막새기와까지 표현함으로써 목조건축의 지붕 양식을 충실히 모방하였다. 꼭대기에는 몇 층의 단이 있고, 그 위에 원형이 작은 돌에 있을 뿐 모두 없어졌다.
탑 옆에는 탑비가 건립되어 있어서 이 부도의 주인공을 비롯한 여러 관련된 내용을 알 수 있다. 비문에 의하면, 수철화상이 진성여왕 7년(893)에 입적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탑을 세운 시기를 이 즈음으로 추측하고 있다.
팔각원당(八角圓堂)을 기본형으로 삼고 있는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의 부도탑(浮屠塔)이다. 높이는 3m로 특히 옥개석(屋蓋石)에서 목조건축(木造建築)의 세부 양식을 충실히 모각(模刻)하였으며, 탑신부(塔身部) 각 면에는 사천왕입상(四天王立像)이 양각(陽刻)되어 있다.
실상산문(實相山門)의 제2조사(祖師)인 수철화상(817∼893)은 신라 진성여왕(眞聖女王) 7년(893)에 입적(入寂)하였는데, 이 부도는 그 당시에 건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실상사 수철화상 능가보월탑비 (實相寺 秀澈和尙 楞伽寶月塔碑) 보물 34호 지정일 : 1963. 1. 21
실상사에 위치한 수철화상의 탑비이다. 수철화상은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로, 본래 심원사에 머물다가 뒤에 실상사에 들어가 수도하였다. 진성여왕 7년(893) 5월 77세로 이 절에서 입적하자 왕이 시호와 탑명을 내렸다고 한다. 비문에는 수철화상의 출생에서 입적까지의 행적과 사리탑을 세우게 된 경위 등을 기록하고 있다. 그는 실상사에서 입적하였으나 심원사의 승려이었기 때문에 비문에는 ‘심원사수철화상’으로 적고 있다. 비문을 짓고 쓴 사람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마멸과 손상이 심한 편이다.
탑비의 형식은 당시의 일반적인 탑비 형식과는 달리 거북모양의 받침돌 대신 안상(眼象) 6구를 얕게 새긴 직사각형의 받침돌을 두어 그 위로 비를 세웠다. 비를 꽂아두는 비좌(碑座)에는 큼직한 연꽃을 둘렀다. 머릿돌에는 구름 속에 용 두마리가 대칭하여 여의주를 다투는 듯한 모습이 조각되어 있고 그 앞면 중앙에는 ‘능가보월탑비’라는 글이 새겨져 있는데, 조각수법이 형식적이고 꾸밈이 약화된 경향이 뚜렷하다. 비의 건립 연대는 효공왕(재위 897∼912)대로 추정되고, 글씨는 당대를 전후하여 성행한 구양순체를 따랐다.
석비 상부의 이수(이首) 중앙에는 '능가보월탑기(楞伽普月塔記)'라 전자(篆字)로 새기고, 그 위에 쌍룡이 구슬을 다투는 모습을 조각하였다. 높이는 2.9m이다. 수철화상(817∼893)은 홍척국사(洪陟國師)의 제자로서 실상산문(實相山門)의 제2조사(祖師)이다.
신라 진성여왕(眞聖女王) 7년(893)에 입적(入寂)한 수철화상의 부도탑비(浮屠塔碑)로 비문에는 수철화상의 출생(出生), 수계(受戒), 득도(得道), 세속 교화, 입적, 조탑(造塔)에 이르는 경위 등을 기록하고 있다.
실상사 증각대사 응료탑 (實相寺 證覺大師 凝蓼塔) 보물 38호 지정일 : 1963. 1. 21
홍척국사의 사리를 모신 탑으로,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삼고 있는 전형적인 팔각원당형 부도이다. 홍척은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로 시호는 ‘증각’이다.
탑은 기단(基壇)은 8각형의 석재를 여러층 쌓은 뒤 연꽃이 피어있는 모양의 돌을 올렸다. 각 면의 조각들은 닳아 없어져 거의 형체를 알아보기가 힘들고 윗받침돌의 연꽃잎만이 뚜렷하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로 구성되었는데 낮은 편이다. 몸돌은 기둥 모양을 새겨 모서리를 정하고 각 면에 아치형의 문(門)을 새겼다. 그곳에 문을 지키고 있는 사천왕상(四天王像)을 돋을새김하였다. 지붕돌에는 목조건축의 처마선이 잘 묘사되어 있다. 전체적인 조형과 조각수법으로 보아 9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증각은 홍척국사(洪陟國師)의 시호(諡號)이다. 팔각원당형(八角圓堂型)의 부도탑(浮屠塔)으로 높이가 2.4m이며 특히 옥개석(屋蓋石)에 목조건축(木造建築)의 각부를 모각하였으며 탑신(塔身)의 각 면에 신장상(神將像)이 조각되어 있다.
이 부도는 신라(新羅) 구산선문(九山禪門) 가운데 최초의 산문(山門)인 지리산(智異山) 실상산문(實相山門)의 개산조(開山祖) 홍척국사의 사리탑(舍利塔)으로 신라말인 9세기 후반의 우수한 조각수법(彫刻手法)을 보여 주고 있다.
출처: 산중한담 청빈지정 산에서 펼치는 마음 길 원문보기 글쓴이: 빛구름-혜운
첫댓글 혜운선생 함께했던 시간이 설명을 붙힌 사진으로 다가오니 새롭습니다. 감사합니다.
같이 한 시간을 정리하면서 흥겨웠습니다.
모든것 탁 털어버리고 장단맞추면
더 더욱 살맛날텐데요.
인생이 바람잘날없고
바다가 파도가 없으면
어이 바다 일 수 있나 싶어서 그냥 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