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극존칭(極尊稱) |
보통 존칭(普通尊稱) |
보통 비칭(普通卑稱) |
극비칭(極卑稱) | |
제1인칭 |
나 |
저·나 | ||
제2인칭 |
어르신·어른·당신 |
당신·귀하 |
자네·그대 |
너 |
제3인칭 |
당신 |
이분·그분·저분 |
이사람·그사람·저사람 |
이애·그애·저애 |
제3인칭 부정칭 |
아무·아무개 |
|||
제3인칭 미지칭 |
어떤이·어느분 |
누구 |
지시 대명사(指示代名詞) [편집]
사람 이외의 사물이나 처소를 대신하여 가리키는 말로 사물 대명사와 처소 대명사로 나뉘며, 방향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도 있다. 또한 가까운 데를 가리키는 근칭(近稱), 약간 떨어진 데를 가리키는 중칭(中稱), 먼 데를 가리키는 원칭(遠稱) 등이 있다.
사물 |
처소 |
방향 | |
근칭 |
이·이것 |
여기 |
(이리) |
중칭 |
그·그것 |
거기 |
(그리) |
원칭 |
저·저것 |
저기 |
(저리) |
부정칭(不定稱) |
아무것 |
아무데·어떤데 |
|
미지칭(未知稱) |
무엇 |
어디 |
의문 대명사(疑問代名詞) [편집]
순우리말로 대체하여 '물음대이름씨'라고 한다. 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대명사. ‘누구’, ‘무엇’, ‘어디’ 따위가 있다.
3)수사(數詞) [편집]
사람이나 사물의 수량 또는 차례를 나타내는 단어로, 양수사(量數詞)[=기수사(基數詞)]와 서수사(序數詞)로 나뉜다. 수사는 단독으로 쓰이거나 조사와 결합하여 문장 안에서 여러 가지 기능으로 쓰인다.
분류 |
구별 |
보기 |
양수사 |
정수(整數) |
하나·둘·셋·넷·열·스물·서른·마흔……일·이·삼·사·십·이십·백·천…… |
부정수(負整數) |
한둘·두셋·서넛·너더댓(네댓)·대여섯·예닐곱·일여덟·여남은·몇…… | |
서수사 |
정수 |
첫째·둘째·셋째·넷째·열네째·서른째……제일·제이·제삼·일호·이호·삼호…… |
부정수 |
한두째·두세째·서너째·너더댓째·여남은째·몇째…… |
2.용언 [편집]
용언(用言)은 문장에서 주어의 동작이나 작용, 성질이나 상태 등을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품사로 어미를 취하여 굴절하는 단어이다. '무엇이 어찌하다' '무엇이 어떠하다'에서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어찌하다',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어떠하다'에 해당되는 단어가 곧 용언이다. 용언에는 동사·형용사가 있다.
• 동사(動詞)는 사물의 움직임을 주로 나타내는 품사이며, 명령형과 청유형의 어미변화를 할 수 있는 용언이다.
• 형용사(形容詞)는 사물의 상태와 성질을 나타내는 품사이며, 활용을 하지만 명령형과 청유형의 어미변화를 할 수 없다.
보조 용언(補助用言)과 본용언(本用言) [편집]
홀로 쓰이지 못하며 반드시 다른 용언에 기대어 그 말뜻을 더해 주는 용언을 '보조 용언'이라고 하며, 보조 용언의 도움을 받는 용언을 '본용언'이라 한다. 보조 용언에는 보조 동사와 보조 형용사가 있다.
용언(用言)의 활용(活用) [편집]
용언은 끝이 여러 모양으로 바뀌는 특성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활용'이라 한다.
종류 |
성격 |
어미 형태 |
보기 |
종결어미(終結語尾) |
평서형(平敍形) |
-(는)다, -ㅂ니다 |
나는 밥을 먹는다. |
감탄형(感歎形) |
-는구나, -도다 |
밥을 맛있게 먹는구나. | |
의문형(疑問形) |
-(느)냐, -는가 |
밥을 맛있게 먹었느냐? | |
명령형(命令形) |
-어라, -게 |
밥을 맛있게 먹어라. | |
청유형(請誘形) |
-자, -ㅂ시다, -세 |
밥을 맛있게 먹자. | |
연결어미(連結語尾) |
대등적(對等的) |
-고, -며, -면서 |
밥을 먹고, 물을 마신다. |
종속적(從屬的) |
-니, -니까, -면, -서 |
밥을 먹으니, 배가 부르다. | |
보조적(補助的) |
-어/아, -게, -지, -고 |
밥을 먹고 있다. | |
전성어미(轉成語尾) |
명사형(名詞型) |
-(으)ㅁ, -기 |
밥을 빨리 먹기가 어렵다. |
관형사형(冠形詞型) |
-ㄴ, -은, -는, -ㄹ, -을 |
밥을 다 먹은 사람은 일어서라. | |
부사형(副詞型) |
-이, -게, -도록 |
밥은 항상 맛있게 먹어라. |
어간(語幹)과 어미(語尾) [편집]
'살다', '오다' 등의 동사는 '동사 활용의 보기' 표와 같이 여러 모양으로 변한다. 이 경우 '살다' '오다'는 기본형 (원형)이며, 변하지 않는 '살' '오'와 같은 부분을 '어간'(줄기)이라 하고, 여러 모양으로 변하는 부분을 '어미'(끝)라고 한다.
어말 어미(語末語尾)와 선어말 어미(先語末語尾) [편집]
활용하는 어미에서 맨 뒤에 오는 어미를 '어말 어미'라고 하며, 어말 어미 바로 앞에 놓인 어미를 '선어말 어미'라고 한다. 어말 어미는, 기능에 따라 하나의 문장 서술을 끝맺는 종결 어미, 다음 문장에 연결시켜 주는 연결 어미, 단어의 성격을 바꾸어 다른 품사의 구실을 대신하는 전성 어미가 있다. 선어말 어미는 어간과 어말 어미 사이에 끼여들어 놓이는데, 시간을 나타내는 시제 선어말 어미와 높임의 뜻을 나타내는 높임 선어말 어미가 있다.
구분 |
기능 |
형태 |
보기 |
시제(時制) 선어말어미 |
현재 |
-는-/-ㄴ- |
읽는다, 밟는다, 참는다, 솟는다 |
과거 |
-았-/-었- |
읽었다, 밟았다, 참았다, 솟았다 | |
과거 (회상) |
-더- |
읽더라, 밟더라, 참더라, 솟더라 | |
추측 |
-겠- |
읽었겠다, 밟았겠다, 참았겠다, 솟았겠다 | |
미래 |
-겠- |
읽겠다, 밟겠다, 참겠다, 솟겠다 | |
미래 (의지) |
-리- |
읽으리라, 밟으리라, 참으리라 | |
높임 선어말어미 |
주체 높임 |
-(으)시- |
잡으시고, 뽑으시고, 참으시고, 드시고 |
공손(恭遜) |
-삽-, -옵- |
웃삽고, 가옵고, 그러하옵고, 기쁘옵고 |
1)동사(動詞) [편집]
사물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단어를 동사라고 한다. 주로 서술어의 구실을 하며, 어미 활용을 통하여 여러 가지 기능을 한다.
규칙 동사(規則動詞)와 불규칙 동사(不規則動詞) [편집]
어간이 변하지 않고 어미만 규칙적으로 활용하는 동사를 규칙 동사, 어간이 불규칙적으로 활용하는 동사를 불규칙 동사라고 한다.
예)
• 웃다 → 웃고, 웃지, 웃어, 웃으니(규칙 동사)
• 묻다 → 묻고, 묻지, 물어, 물으면(불규칙 동사)
단, 불규칙적인 활용을 하더라도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규칙 동사로 본다.
• 으 탈락:어간 'ㅡ'가 어말 어미 '-어'나 '-어'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할 경우.
예) 뜨다 → 떠(뜨+어)
• ㄹ 탈락:어간의 끝소리 'ㄹ'이 'ㄴ·ㄹ·ㅂ·-오·-시' 앞에서 탈락할 경우.
예) 끌다 → 끄는, 끕니다, 끄오, 끄시오
자동사(自動詞)와 타동사(他動詞) [편집]
움직임이나 작용이 주어에만 그쳐 목적어가 필요없는 동사를 자동사, 움직임이 다른 대상에 미치므로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를 타동사라 한다.
예)
• 우리는 서부로 간다. (자동사)
• 그녀가 소설책을 읽는다. (타동사)
사동사(使動詞)와 피동사(被動詞) [편집]
주어가 동작을 하지 않고 남으로 하여금 동작을 하게 하는 동사를 사동사, 남의 동작이나 행동을 입게 되는 동사를 피동사라 한다. 타동사의 어근(語根)에 접사 '이·히·리·기'가 붙으면 피동사가 된다.
예)
• 선생님이 학생을 공부시킨다. (사동사)
• 토끼가 사자에게 먹히다. (피동사)
본동사(本動詞)와 보조 동사(補助動詞) [편집]
단독으로 서술어가 되거나 보조 동사의 도움을 받는 동사를 본동사,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동사에 기대어 그 말뜻을 도와 주는 동사를 보조 동사라 한다.
2)형용사(形容詞) [편집]
사물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단어로, 동사와 마찬가지로 어미 변화를 한다. 문장에서 주로 서술어 구실을 하고 부사어의 꾸밈을 받으며, 성상 형용사와 지시 형용사로 나뉜다.
성상 형용사(性狀形容詞) [편집]
사물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를 말한다.
예) 쓸개는 맛이 쓰다.
지시 형용사(指示形容詞) [편집]
지시 대명사처럼 문장 안에서 지시성을 지닌 형용사이다.
예) 그렇게 아름다운 장미도 있었구나.
규칙 형용사(規則形容詞)와 불규칙 형용사(不規則形容詞) [편집]
활용할 때 어간과 어미의 형태가 일정하거나 규칙적으로 변하는 형용사를 규칙 형용사, 불규칙적으로 활용하는 형용사를 불규칙 형용사라 한다.
예)
• 우물이 매우 깊다→깊어, 깊게, 깊고 (규칙 형용사)
• 날씨가 매우 춥다 →추워, 추우니 (불규칙 형용사)
종류 |
특징 |
보기 |
ㅅ 불규칙 |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ㅅ'이 탈락한다. |
낫다→나으니 |
ㅂ 불규칙 |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ㅂ'이 '오·우'로 바뀐다. |
가볍다→가벼워, 곱다 → 고와 |
르 불규칙 |
어미 '-어·-아' 앞에서 '으'가 탈락하고 'ㄹ'이 첨가된다. |
고르다→골라, 무르다→물러 |
여 불규칙 |
'어' 앞에서 '어'가 '여'로 바뀐다. |
편안하다→편안하여, 현명하다→현명하여 |
여 불규칙 |
'어' 앞에서 '어'가 '러'로 바뀐다. |
푸르다→푸르러, 누르다→누르러 |
ㅎ 불규칙 |
어미 'ㄴ·ㄹ·ㅁ·ㅂ' 위에서 'ㅎ'이 줄고 어간의 일부와 어미가 결합한다. |
누렇다 → 누럽니다, 말갛다→말간 |
보조 형용사(補助形容詞) [편집]
홀로 쓰이지 못하고 반드시 본용언에 기대어 말뜻을 더해 주는 형용사를 말한다.
예)
• 비둘기가 아직도 살아 있다.
• 오늘은 그만 쉬고 싶다.
•
3.수식언 [편집]
수식언(修飾言)은 문장에서 체언이나 용언 앞에 놓여 그 뜻을 꾸미거나 한정하는 말로, 격조사와 어미를 취하지 못한다. 수식언에는 관형사·부사가 있다.
• 관형사는 체언을 수식하는 품사이다.
• 부사는 용언을 수식하는 품사이다.
수식언만이 다른 품사를 수식하는 것은 아니다. 체언과 용언은 격조사나 어미를 통해 다른 품사를 수식하는 일이 많으며 이런 경우는 수식언에 포함하지 않는다.
1)관형사(冠形詞) [편집]
체언 앞에 놓여 그 내용을 자세하게 꾸며주는 단어를 말한다.
성상 관형사(性狀冠形詞) [편집]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가 어떠하다고 꾸며 주는 말.
새, 헌, 헛, 참, 뭇, 옛, 첫, 윗, 웃 …… 등.
지시 관형사(指示冠形詞) [편집]
어떤 대상을 가리켜 지시하는 말.
이, 그, 저, 그런, 다른, 무슨, 어떤 …… 등.
수 관형사(數冠形詞) [편집]
사물의 양이나 수를 나타내는 말.
한, 두, 세, 열, 첫째, 몇, 모든, 여러 …… 등.
관형사(冠形詞)의 특징(特徵) [편집]
1. 반드시 체언 앞에 놓여 그 체언만을 꾸민다.
2. 어떠한 조사도 붙을 수 없다.
3. 활용하지 않으므로 어간·어미로 나뉘지도 않고, 시제도 없다.
4. 문장 성분은 관형어로만 쓰인다.
관형사(冠形詞)와 다른 품사(品詞)와의 비교(比較) [편집]
5. 관형사와 대명사:'이·그·저' 등의 지시 관형사에 조사가 붙어 쓰이면 대명사(그는), 조사가 붙지 않고 체언을 꾸미면 관형사이다.
6. 관형사와 수사:수 관형사에 조사가 붙으면 수사, 조사가 붙지 않고 체언을 꾸미면 관형사이다.
7. 관형사와 형용사:'어떤' '다른'이 서술어로 쓰이면 형용사이고, 체언을 꾸미면 관형사이다.
8. 관형사와 접두사:접두사는 체언에 붙여 쓰고 관형사는 띄어 쓴다.
*접두사: 접사(接辭)의 하나로 어기(語基) 앞에 붙어서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형태소. 단독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항상 다른 단어의 앞에 결합하여 쓰인다. 그 뜻을 더하며, 품사를 바꾸어 놓는 일이 없다. 이 새로운 단어는 파생어에 속한다. ‘맨손’의 ‘맨-’, ‘들볶다’의 ‘들-’, ‘새하얗다’의 ‘새-’ 등이 있다. 접두사 ‘짓-’은 주로 ‘누르다, 밟다, 쑤시다, 이기다’ 따위의 행위성 동사에 붙어서 타동사를 파생한다.
*접미사 한국어 위키백과
접미사(接尾辭)는 어떤 단어(어근)의 뒤에 붙어 뜻을 첨가하여 하나의 다른 단어를 이루는 말을 이른다. 예: ‘선생님·군것질·기웃거리다’등에서 ‘―님’·‘―질’·‘―거...
2)부사(副詞) [편집]
주로 동사·형용사 앞에 쓰여 그 뜻을 세밀하고 분명하게 꾸며 주는 단어를 부사라고 한다.
종류 |
성격 |
보기 |
성상부사 |
'어떻게'라는 방식으로 용언을 꾸밈 |
잘 가는구나, 매우 힘들다, 빨리 오너라, 딸랑딸랑 울린다, 철썩철썩 때린다,……. |
지시부사 |
시간·처소, 또는 특정한 대상을 가리킴 |
이미, 내일(시간), 이리, 저리(처소), 그리(특정 대상) |
부정부사 |
용언의 뜻을 부정함 |
안(아니) 가다, 못 자르다 |
종류 |
성격 |
보기 |
양태 부사 |
말하는 이의 태도를 표현함 |
반드시 과연, 설마, 제발, 꼭, 결코, 모름지기,글쎄, 어찌, 아마, 정녕, 부디,……. |
접속 부사 |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이어 주면서 뒷말을 꾸며 줌 |
또는, 그리고, 및, 혹은→단어 접속 왜냐하면, 뿐만 아니라, 즉, 그러므로, 그러나, 하지만, 그리고→문장 접속 |
성분 부사(成分副詞) [편집]
문장의 한 성분을 꾸며 주는 부사로, 성상 부사·지시 부사·부정 부사 등이 여기에 속한다.
9. 성상 부사:'어떻게'라는 방식으로 용언을 꾸미는 부사로, '매우·빨리·잘' 등이 있다.
10. 지시 부사:시간·처소, 또는 특정한 대상을 가리키는 부사로, '이리·저리·그때·내일·일찍·이미' 등이 있다.
11. 부정 부사:용언의 뜻을 부정하는 부사로, '아니·잘못·못' 등이 있다.
12. 의성 부사:사물의 소리를 표현하는 부사로, '철썩철썩·딸랑딸랑·펑펑' 등이 있다.
13. 의태 부사:사물의 모양을 표현하는 부사로, '울긋불긋·꾸불꾸불' 등이 있다.
문장 부사(文章副詞) [편집]
문장 전체를 꾸며 주는 부사.
14. 양태 부사:말하는 이의 태도를 표현하는 부사로, '제발·설마·과연·만약·결코' 등이 있다.
15. 접속 부사:문장이나 단어를 이어 주며 뒷말을 꾸미는 부사로, '그러나·그리고·또는·즉·요컨대·및' 등이 있다.
부사의 특징 [편집]
형태가 변하지 않으며, 격조사는 취하지 않지만 보조사는 취한다.
4.독립언(獨立言) [편집]
독립언은 문장에서 다른 단어와의 호응이나 수식 관계에 얽매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쓰이는 품사인 감탄사를 이르는 말로, 어떤 품사를 수식하거나 아무 품사로 수식받지도 않는다.
1)감탄사(感歎詞) [편집]
말하는 이의 감동·부름·놀람·응답 등을 나타내는 단어를 감탄사라 한다. 감탄사는 형태가 변하지 않고 문장 성분에서 독립적으로 쓰이므로 독립언이라 한다. 문장 안에서 놓이는 위치가 비교적 자유로워 첫머리든 중간이든 끝이든 아무 곳에서나 쓰인다.
감정 표시 감탄사(感情表示感歎詞) [편집]
놀람이나 기쁨·슬픔 등을 나타내는 말. '아·아차·아이고·에그·원·참·어머나·얼씨구' 등이 있다.
의지 표시 감탄사(意志表示感歎詞) [편집]
말하는 사람의 뜻을 나타내는 말. '에라·예끼·옳지·천만에·글쎄요' 등이 있다.
호응 표시 감탄사(呼應表示感歎詞) [편집]
부름이나 대답을 나타내는 말. '여보세요·오냐·그래·예' 등이 있다.
5.관계언(關係言) [편집]
문장에서 자립 형태소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뜻을 더하는 의존 형태소를 관계언이라 한다. 관계언에는 조사가 있다(조사에는 격조사,접속조사,보조사).
1)조사(助詞) [편집]
체언이나 부사의 어미 뒤에 붙어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그 말의 뜻을 더해 주는 품사이다. 즉 조사는 일반적으로 체언 뒤에 붙지만 '일찍도 왔다'처럼 부사 뒤에 붙거나 '요'나 '고'처럼 어말 어미 뒤에 붙기도 한다.
1)격조사(格助詞) [편집]
체언과 다른 말과의 관계, 즉 '격(格)'을 나타내는 조사로,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가 있다.
16. 주격 조사(主格助詞):앞의 체언을 주어가 되게 하는 조사로, '이·가·께서·에서' 등이 있다.
17. 서술격 조사(敍述格助詞):서술어가 되게 하는 조사로, '이다' 하나뿐인데 어미 활용을 한다.
18. 관형격 조사(冠形格助詞):앞의 체언을 관형어가 되게 하는 조사로, '의' 하나뿐이다.
19. 목적격 조사(目的格助詞):앞의 체언을 타동사의 목적어가 되게 하는 조사로, '을·를' 등이 있다.
20. 보격 조사(補格助詞):앞의 체언을 보어가 되게 하는 조사로, '이·가' 등이 있다.
21. 부사격 조사(副詞格助詞):앞의 체언을 부사어가 되게 하는 조사로, '에·에서·에게' 등이 있다.
22. 호격 조사(呼格助詞):독립어로서의 호칭이 되게 하는 조사로, '야·여·아·이여·시여' 등이 있다.
2)접속 조사(接續助詞) [편집]
두 단어를 이어 주는 구실을 하는 조사로, '와·과' 등이 있다.
3)보조사(補助詞) [편집]
여러 성분에 두루 붙어 특별한 뜻을 더해 주는 조사로, 격조사가 올 자리에 쓰이거나 보조사 뒤에 다시 보조사가 쓰이기도 한다. '은·는·도·만·까지·조차·부터·마저' 등이 있다.
다른 분류 [편집]
개방 품사류와 폐쇄 품사류 [편집]
개방 품사류는 외래어 수용, 신조어 제작, 합성어 등을 이용해 지금 알려져 있거나 쓰이지 않은 어휘를 추가해 확장할 수 있는 품사를 말하며, 폐쇄 품사류는 현재 쓰이는 것 외에 더 늘어나기 어려운 품사를 말한다. 폐쇄 품사류에는 대명사, 수사, 조사 등이 있고 감탄사도 포함하기도 하며, 나머지는 개방 품사류라 한다.
기타 [편집]
수식관계 [편집]
▣ 五言의 文章成分과 品詞 數式配合關係
◼文章成分 主語[세움말ㆍ임자말]+敍述語[풀이말]+補語[기움말]+目的語[부림말]+副詞語[어찌말]+冠形語[매김말]+獨立語[홀로말]=五言(體言ㆍ用言ㆍ修飾言ㆍ獨立言ㆍ關係言)
◼品詞 體言[몸말ㆍ임자씨]={名詞[이름씨ㆍ임씨]=普通名詞[두루이름씨]+固有名詞[홀로이름씨ㆍ홀이름씨]=自立名詞[옹근이름씨]+依存名詞[꼴이름씨ㆍ매인이름씨ㆍ안옹근이름씨]}+{代名詞[대이름씨]=人稱代名詞[사람대이름씨]+指示代名詞[가리킴대이름씨]+疑問代名詞[물음대이름씨]}+{數詞[셈씨]=量數詞[셈낱씨ㆍ으뜸셈씨]+序數詞[셈매김씨ㆍ차례셈씨]}
本用言[뿌리풀이씨]+補助用言[도움풀이씨]=用言[풀이씨]={本動詞[으뜸움직씨]+補助動詞[도움움직씨]=自動詞[제움직씨]+他動詞[남움직씨]+使動詞[하임움직씨]+被動詞[입음움직씨]=規則動詞[바른움직씨]+不規則動詞[벗어난움직씨]=動詞[움직씨]}+{形容詞[그림씨ㆍ어떻씨ㆍ얻씨]=規則形容詞[바른그림씨]+不規則形容詞[벗어난그림씨]=性狀形容詞[속겉그림씨]+指示形容詞[가리킴그림씨]+補助形容詞[도움그림씨]}
修飾言[꾸밈말ㆍ꾸밈씨]={性狀冠形詞[그림매김씨]+指示冠形詞[가리킴매김씨]+數冠形詞[셈숱매김씨]=冠形詞[매김씨ㆍ어떤씨ㆍ언씨]}+{副詞[어찌씨ㆍ억씨]=性狀副詞(속겉어찌씨)+指示副詞[가리킴어찌씨]+否定副詞[아닐어찌씨]+擬聲副詞[소리흉어찌씨]+擬態副詞[꼴흉어찌씨]=成分副詞[이룬이찌씨]+文章副詞[글어찌씨]=樣態副詞[꼴어찌씨]+接續副詞[잇는어찌씨]}
獨立言[홀로씨]=感歎詞[느낌씨ㆍ늑씨]=感情表示感歎詞[놀랄느낌씨]+意志表示感歎詞[뜻느낌씨]+呼應表示感歎詞[좋을느낌씨]
關係言[서로씨]=助詞[걸림씨ㆍ토ㆍ토씨]=主格助詞[머리토씨]+敍述格助詞[펼자리토씨]+冠形格助詞[매김자리토씨]+目的格助詞[부림자리토씨]+補格助詞[기움자리토씨]+副詞格助詞[어찌자리토씨]+呼格助詞[부름자리토씨ㆍ호격]=格助詞[격토ㆍ자리토씨]+接續助詞[이음토씨]+補助詞[도움토ㆍ도움토씨]
품사와 문장 성분의 차이 [편집]
품사란 단어에 대한 분류로서, 항상 '-사'로 끝난다. 하지만 문장 성분은 단어와 구절 등의 단위를 포함하여, 항상 '-어'로 끝난다. 문장성분의 예로는 주어와 목적어 등이 있다.
또한 지시어와 접속어는 품사가 아니지만 중요한 단어이며 어미와 접두어와 접미어는 중요한 형태소다.
[숨기기] v • d • e • h 한국어 | |||||
공식어 |
대한민국의 공식어인 표준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식어인 문화어 | ||||
표기법 |
한글 · 향찰 · 이두 · 구결 · 한글전용과 국한문혼용 · 풀어쓰기 ·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 ||||
옛말 |
한국어의 시대 구분 · 고대 한국어 · 중세 한국어 · 근대 한국어 · 고구려어 · 발해어 | ||||
국어학 |
불규칙 활용 · 사이시옷 · 어절 · 절음 법칙 · 문장 성분 · 품사 | ||||
방언 |
|
끝.
시 詩의 행과 연
행 [行,幸]
실제로 해 나가다, 글의 가로 또는 세로의 줄
연3 [聯] 형태분석 : [聯] 검색결과【명사】
(1) [문학] 시에서, 몇 행(行)을 한 단위로 묶어서 구분한 부분. 또는 그 단위.
김소월의 <진달래꽃>은 총 4연으로 이루어져 있다.
(2) 한시(漢詩)에서, 짝을 이룬 두 구를 하나로 묶어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