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도 매미성 -위치 : 거제시 장목면 시방1길82-3 (지번) 장목면 대금리 산 28 -찾아가는 길 : 거가대교- 대금/외포IC-100M 복항-도로변 주차-도보로 10분-매미성 거제대교- 고현-연초-거제부산자동차도로(거가대교)-대금/외포IC- 100M 복항-도로변 주차-도보로 10분-매미성 (걸어서 5분) - 주변 볼거리 : 이수도, 흥남해수욕장, 대금산, 김영삼생가,외포항, 매미성의 성주 백순삼씨 우리나라는 여름이면 큰 태풍이 한 번씩 몰고 지나간다. 그 대표적인 것이 1959년 사라호태풍, 1987년 쎌마태풍, 2003년 9월12일‘매미’태풍이다. 그 위력이 대단하여 우리나라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성주인 백순삼씨도 태풍 매미로 한꺼번에 농작물이 유실되어 자신의 토지를 지키기 위하여 성을 쌓다보니 기발한 아이디어가 떠올라 설계도도 없이 성을 지어나갔다. 그러던 중 2011년8월 ‘SBS 세상이 이런 일이’방송된 이후 거제도 명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대우조선 연구원으로 근무 중인 백순삼씨가 주말과 휴일을 이용하여 직접 손으로 성을 쌓고 있다. 처음에는 2~3명이 같이 쌓기도 했으나 뒤에는 혼자 쌓았다. 2004년부터 12년째 이일을 하고 있는 백순삼씨는 올해61살로 아마 조선소에는 퇴직을 한 것으로 안다. 돌 한 개의 무게가 50kg이나 되는 무거운 것을 1만 여장이나 이동하여 쌓는다는 것이 보통 사람은 하기 힘든 일이다. 의지력도 있어야 하고 돈도 있어야 하고, 기발한 아이디어도 있어야 하고 가정의 협조도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원래는 2015년 완공하려고 했으나 내가 보기로는 한 2~3년은 더 가야 할 것 같다. 그리고 마무리는 성 주변 고구마 밭을 성과 어울리는 카페를 만들어 관광객의 휴식처를 만드는 것이 최종목표가 아닐까? 지금은 거제를 찾는 관광객들이 심심찮게 찾는 곳이며 가끔 웨딩촬영도 하는 곳이다. 특히 성과 저 멀리 거가대교를 배경으로 하는 사진은 한 폭의 그림을 연상케 한다. 주변에 다른 시설은 없고 화장실은 마련되어 있다. 관광객이 매미성을 찾는 이유? 첫째 방송에 소개되었기 때문이다. 2011년8월 ‘SBS 세상이 이런 일이’방송된 이후 수많은 방송에서 소개되었기 때문이다. 보통 사람 같으면 둑을 쌓고 시멘트를 발라버렸을 것이다. 그런데 성주 백순삼씨는 아마 돈키호테적인 기질이 있었는지는 몰라도 외국 다양한 성들을 인터넷으로 서핑하면서 창의적으로 성을 축조해나갔다. 2~3km되는 실제의 성을 1/100로 축소하여 재현한다는 것은 분명 보통사람은 할 수 없는 일이다. 둘째 위치가 빼어나기 때문이다. 이곳은 선창이 없으며 커다란 바위들이 해변을 장식한다. 그 웅장하고 장대한 모습에 누구나 매료된다. 그리고 바다 저편에는 거가대교 사장교가 보이며 다른 쪽에는 이수도가 받쳐주고 있다. 성위에서나 성 아래 어느 곳에서 촬영하여도 좋은 그림이 나온다. 매미성 둘러보기 거가대교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대금/외포IC로 빠져나와 외포 방향으로 100미터 가면 복항마을이란 팻말이 나오고 매미성에 대한 간판이 보인다. 차도는 있으나 협소하기에 도로변에 주차를 하고 약 5분가량 걸어가면 바닷가에 작은 성이 보인다. 현재 진척율은 90% 정도로 거의 완성단계에 있다. 아주 작은 너무나 작은 성이나 아기자기하게 잘 꾸며져 있다. 이곳저곳을 돌아보며 검푸른 바다와 거가대교를 배경으로 멋진 사진을 찍어본다. 바닷가로 내려가서 바위 위에서 촬영도 하고, 성을 배경으로 촬영도 해본다. 성(城)이라는 개념 속에서 이곳을 찾았다면 다소 실망 할 수도 있으나, 매미성은 보여주기 위한 아름다운 성을 만든 것이 아니라 농작물을 지키기 위해 바다의 위협으로부터 안전성을 담보하는 축대를 쌓은 것이니 멋이라는 개념보다 인간승리에 찬사를 보내야 할 것이다. 거가대교 일출과 멋진 조화를 이루는 그날을 생각하며 불철주야 발품을 팔아볼 것이다. 대금리 복항(洑項)마을이란? 거제에서 북쪽에 대표하는 산이 대금산이고 그 옆에 상금산과 중봉산이 있고 외포 쪽으로 중봉이 있다. 상금산 아래에는 대금마을과 복항마을이 있다. 대금산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대금마을이라 이름 짓고, 그 옆에 있는 작은 마을은 상금산 아래에 보고랑이 있어 보목, 본목이라 부르다가, 물이 스며 흐를 복이라 하여 복항이라 부르고 있으나 복항(洑項)에서 쓰여진 한문은 복항이 아니고 물댈 보(洑)이다. 고로 복항이 아니라 보항이라고 불어야 마땅하다. 이 마을은 바다와 접해있으나 어업하는 사람이 없고 선착장도 없다. 그 이유는 파도가 심하여 배를 간수하기가 어려워 시방 방파제를 이용했다. 매미성이 있는 곳을 보목개라 하는데 이는 예전에 전답에 물을 대는 보(洑)가 있었다. 그 보의 모가지에 있는 재란 뜻에서 보목개라 부르게 되었다. 다른 볼거리는 거의 없고 바닷가 다달아서 마을 수호신이 노거수 팽나무가 동네를 지키고 있다. ~관광은 볼거리가 많고 아름다움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작은 것, 보잘 것 없는 것에서도 미(美)를 찾는 것이 아닐까?~













성주 백순삼씨의 완전 무장한 모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