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기행> 10. 허난성(河南省)<1>
허난성 위치 / 허난성 각 지역 / 황허(黃河)강
<1> 어머니의 강 - 황하(黃河)
허난성(河南省)은 중국의 양대강(兩大江/黃河, 揚子) 중의 하나인 황하(黃河)와 인접하고 있으며 그 남쪽에 있어 하남(河南)이라 이름이 붙여졌다. 면적은 16만 7천㎢로 우리나라 남북한 넓이보다 조금 작고, 인구는 9천 7백만으로 우리나라 남한 인구의 2배가량인 거대한 성(省)이다. 이곳은 명실공히 중국의 심장부라 하여 중원(中原)이라 불렸으며 중국문화(中國文化)의 발상지로 꼽힌다.
춘추전국시대, 중원(中原/허난성)을 장악하면 천하(天下)를 얻는다고 했다던가?
허난성(河南省)은 성도(省都)인 장저우(鄭州)를 중심으로 5.000년 고도(古都)인 낙양(洛陽)과 드라마 ‘포청천(包靑天)’으로 유명한 개봉부(開封府)가 있다. 또 등봉현(登封縣)의 숭산(嵩山) 소림사(少林寺), 중국 최초의 절이라는 백마사(白馬寺), 중국 3대 석굴 중 최고라는 용문(龍門)석굴, 황하 유람구 등 수많은 고대 유적지와 관광지가 있다. 그뿐 아니라 중국 문명의 발상지로 갑골문자(甲骨文字)가 발견된 은허(殷墟)가 있고, 근래에는 이곳에서 북경원인(北京猿人)보다 더 오래된 인류 유골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중국은 오악(五嶽)이라 하여 다섯 개의 산을 꼽는데 동쪽(東)은 태산(泰山), 서쪽(西)은 화산(華山), 남쪽(南)은 형산(荊山), 북쪽(北)은 항산(項山)이며, 중악(中嶽)은 이곳 하남성의 숭산(嵩山)을 꼽는다.
또 죽어서 간다는 천하 명당 장지(葬地)인 북망산(北邙山)도 이곳에 있고, 장가계(張家界), 원가계(袁家界)와 비견된다는 운대산(雲臺山) 자연풍경구(自然風景區)도 멀지 않다.
이곳은 조선족이 거의 없고 대부분이 한족이며 극소수의 회족이 이슬람 전통을 지키면서 살고 있다.
버스 차창으로는 붉은 진흙의 계곡이 곳곳에 보이는데 진흙 절벽마다 벌집처럼 구멍이 뚫려 있다.
이곳은 석기(石器)시대 원시인들이 살던 흔적(穴居)으로 지금은 주거용보다는 곡식 창고 등으로 간혹 사용되고 나머지는 버려진 채로 비어 있다고 한다. 수천 년의 역사와 애환을 간직한 실크로드의 출발점 또한 이곳 낙양(洛陽)이며, 아름다운 채색 토기인 당삼채(唐三彩)가 발전한 곳으로 거리에는 당삼채 전문 가게가 많이 눈에 띈다.
<2> 황하 유람구(黃河 遊覽區)
황제(皇帝)와 염제(炎帝)의 상(像) / 황하강변의 승마체험 / 당삼채 낙타 조상(造像)
강가에서 바라보면 황하(黃河)는 강인지, 호수인지, 흐름도 보이지 않으며 시뻘건 흙탕물이 펼쳐져 있고, 곳곳에 모래 언덕들이 이어져 있는데 희뿌연 흙먼지로 강 건너편은 보이지도 않는다.
중국인들이 어머니의 강이라고 사랑한다는 황하는 숱한 역사를 엮어내며 흘렀고, 또 상류의 흙을 실어 날라 비옥한 삼각주를 형성하여 문명을 꽃피운 중국의 젖줄이라고 하는데 겨울의 황하는 그런 역사적 의미보다는 쓸쓸하고 처량하다는 느낌밖에 들지 않는다.
희뿌연 안개 속에 강변 유람선 타는 곳으로 가는데 뒤쪽에 우뚝 솟은 돌산을 깎아서 조성한 거대한 조각상이 보이는데 중국 신화의 아버지인 황제(皇帝)와 염제(炎帝)의 두상(頭像)이라고 하며 높이가 106m로 미국 맨해튼의 자유의 여신상보다 몇 미터나 더 높다는 자랑이다.
사진을 몇 장 찍고는 서둘러 황하를 둘러보는 수륙양용인 호버크래프트(Hover Craft) 유람선에 올랐다.
열댓 명이 정원인 유람선은 배 밑바닥의 고무 튜브에 바람을 불어 넣더니 뒤쪽의 바람개비를 세차게 돌리며 육지에서 미끄러져 강물로 뛰어든다. 모래 언덕과 강물을 번갈아 넘나들면서 쌀쌀한 바람을 가르며 달리는데 아득히 보이는 산언덕과 강안(江岸)은 초한지(楚漢志)의 무대로 초(楚)의 항우(項羽)와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이 전투를 벌이던 장소라고 한다.
얼마쯤 더 달리다 모래 언덕에 올라 배를 멈추기에 내렸는데 십여 명의 말꾼들이 중국 돈 10위엔(1.200원 정도)에 말을 타라며 손짓 발짓을 한다. 이 황량한 강 가운데 모래 언덕에 움집을 짓고 살면서 관광객에 말을 태워주는 것을 직업으로 살고 있다니 측은한 생각이 들어 도와주는 셈 치고 말에 올랐다.
털썩거리며 10여 분 말에서 흔들리다 내려서 움집을 드려다 보았는데 모래 구덩이에 비닐로 지붕이랍시고 엉성하게 덮은 모양이 썰렁하기 이를 데 없고 이런 추운 날씨에 이런 곳에서 산다는 것이 신기하고 불쌍한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