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의 음식 문화는 우리나라와는 많이 다르죠 ^^
몇가지 찾아보면
① 영국식 아침식사는 푸짐하다.
영국은 하루에 아침과 오후의 티타임을 매우 중시하는 나라이다. 대륙식 아침식사는 커피와 빵 종류로만 때우는데 비해 영국식 아침식사에는 과일주스, 시리얼, 베이컨과 달걀 혹은 소시지와 달걀프라이, 훈제 청어와 토마토 등 매우 실속있는 상을 차려먹는다. 그로부터 'English breakfast'라는 말이 유래된다.
② 빵은 베이킹파우더로 부풀린다.
영국의 빵은 주로 베이킹 소다를 이용하여 부풀림으로 공정이 간단하다. 그래서 영국에서는 빵이나 케이크, 쿠키, 크래커 등을 통칭하여 '비스킷' 이라는 단어를 쓴다.
③ 감자가 많이 생산되어 다양한 요리가 개발되었다.
기후가 적합하지 않아 프랑스나 남유럽의 여러나라 처럼 달고 맛있는 과일은 별로 생산되지 않는다. 오히려 서늘한 기후로 인하여 감자농사가 발달하였으며 감자는 스튜와 파이(shepherd's or sottage pie), 팬케이크, 튀김, 으깬감자 등 다양하게 이용되었다.
④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는 조리방식
'자연스로움'을 강조하여 음식자체의 맛과 향을 중요시하므로 남부 이하의 유럽 여러나라들에서와 같이 향신료를 많이 쓰지 않는다. 육류는 알맞게 잘라 가볍게 양념을 한 후 주로 굽거나 지져서 조리하며 우스터 소스(woscesteshire sauce;앤쵸비, 식초, 간장, 마늘, 각종 향신료를 섞어 만듬)를 고기위에 뿌려 먹는다.
⑤ 커피보다 차를 즐기는 사회
영국 음식문화의 특징 한 가지는 차문화이다. 오후 4시에 하던 일을 모두 그만두고 30분 정도를 tea break로 철저히 지켜나가는 관습으로 보아 차는 영국인들의 음식문화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요소이다. 영국의 차문화가 번성하게된 요인 중의중의 하나는 식민지로 통치하던 인도의 역할이 크다. 영국에서 주로 마시는 차는 인도산 차와 실론차이다. 상류 계층에서는 고급의 중국산 차를 마시는 경우도 잇지만 대개 아삼, 다아질링, 닐기리 등의 인도산 차를 주로 마신다.
영국의 음식
영국은 유럽 한가운데 있는 프랑스와 독일의 북서쪽에 대서양을 끼고 있는 섬나라로 두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 큰 섬은 국토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한 잉글랜드와 북쪽의 스코틀랜드, 웨일스와 북아일랜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동쪽의 평원과 구릉이 연속된 지대를 차지한 잉글랜드는 국토의 가장 좋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적 조건으로 여러 가지 농산물과 축산물이 발달하였고, 국토를 둘러싼 바다에서는 수산물이 풍부하게 생산된다.
[피시 앤 칩스]
대구나 가자미 등의 생선에 소금과 후추를 뿌리고 밀가루, 달걀노른자, 맥주, 우유 등을 넣어 만든 튀김옷을 입혀서 기름에 튀긴 요리로 소금이나 식초를 뿌려 먹는다. 곁들이는 포테이토 칩스는 감자를 막대모양으로 갸름하게 썰어서 튀긴 것으로 영국의 서민음식이다.
사면이 바다이므로 수산물이 풍부하였고, 서늘한 기후 조건으로 감자농사가 발달하였다.
[2] 요크셔 푸딩
짭짤한 맛을 가진 푸딩이다. 이 음식은 자주 로스트 비프와 함께 먹거나, 육즙이 있는 고기 요리나 그 자체로 먹는다. 육즙은 요크셔 푸딩을 전채로 먹을 때, 많은 사람이 기본적인 요소로 여기며, 양파 육즙은 다른 재료를 뛰어넘어 항상 사랑받아왔다. 요크셔 푸딩은 영국 잉글랜드의 요크셔 지방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지지만, 영국 전역에 걸쳐 인기있는 음식이다.
[3] 로스트 비프
영국은 목축업이 성하였으므로 낙농제품이 다양하게 쓰인다.
기름기 있는 쇠고기를 덩어리째 오븐에 구운 요리로 고기를 구울 때 나오는 육즙에 적포도주를 넣어 만든 그레이비 소스, 머스터드 등이 곁들여진다. 정통식 영국 로스트비프는 밀가루를 우유와 달걀로 반죽하여 우지나 돼지기름으로 구운 요크셔 푸딩을 같이 먹는다.
[4] 해기스
양이나 송아지의 내장을 작게 다져 향신료로 양념한 뒤 양의 위를 채워서 오래 끓여 만들고 그 즙으로 조리한 채소를 곁들여 내는 스코틀랜드 요리로 소시지와 비슷하다.
영국의 대표음식
영국의 음식 하면 Fish & Chips를 빼 놓을 수가 없습니다. 사실 영국 음식으 로 널리 알려져 있는 다른 요리는 없는 듯 합니다. 미국의 거대한 햄버거 문화가 영국 으로 들어오면서 작은 구멍 가게 위주의 Fish & Chips가 밀리는 경향이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습니다. Fish & Chips를 파는 곳을 Chippy라고 부르기도 하며, 아무리 작은 동네라도 하나 정도는 있습니다. 모든 것이 비싼 영국에서, 싸고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음식 중에 하나가 바로 Fish & Chips입니다.
요리방법
생선에 튀김가루를 입히고 감자를 길게 썰어서 기름에 튀긴 요리이며, 다른 여 러 가지 재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생선이 싱싱해야한다는 것과 적당한 시간동안 튀겨야 한다는 것입니다. 특히 감자는 튀기는 시간을 잘 맞추어야지 요리가 덜된 감자튀김은 설 익은 밥을 먹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영국사람들 쌀 요리 못한다고 불평하듯이 영국사람들은 외국사람들이 하는 감자튀김은 맛이 없다고 항상 불평입니다.
영국의 음식문화
아침에는 주로 씨리얼 (겨울에는 포리지 porriage, 오트밀 끓인 것)과 토스트에 버터를 바르고 마멀레이드를 발라먹습니다. (마멀레이드는 오렌지,레몬 종류의 잼입니다.) 이와 함께 커피를 마시는 사람도 있고 티를 마시는 사람도 있습니다. 영국 사람들 대부분은 티에 우유를 타먹습니다. 설탕을 넣어 먹는 사람도 있고 설탕 없이 우유만 넣어먹는 사람도 있고, 얼 그레이나 레이디 그레이 티에도 우유를 대부분 타 먹습니다. 레몬 넣어 먹는 사람은 적은 편이예요. 그리고 아침에 자몽 (Grape fruit) 쥬스를 마시거나 과일 자체를 먹는 사람들도 꽤 있어요.
이 외에 영국의 유명한 Cooked Breakfast는 토스트와 함께 접시에 따뜻한 음식(베이컨, 소세지, 달걀, baked beans, fried mushrooms, fried bread)가 나옵니다. 배 터집니다.
티 타임(Tea break)는 아침과 오후, 두번 정도 가지는데, 사실 더 자주 티를 마셔요. 일반적으로는 아침 열시반과 오후 세시반 정도에 삼십분 정도 티타임을 가지면서 티와 비스킷, 혹은 케잌 슬라이스를 함께 먹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차는 녹차 홍차 유자차 다양하지만 이들은 거의 tea라고 하면 영국식 black tea (그들은 ordinary tea라고도 부름) 에 우유를 넣은 것이죠.
생활 스타일에 따라 점심이 big meal인지 저녁이 big meal 인지 다를 수 있습니다. 점심이 dinner가 되는 경우에는 레스토랑에 가서 사 먹지 않고 집에서 먹는다면 세가지를 한 접시에 넣습니다. 탄수화물(감자나 chips, 쌀, 스파게티 등) + 단백질 (고기,생선 등) + 야채 (당근, 브로콜리 등) 그리고 샐러드도 꼭 테이블에 올리는 편입니다. 식사 뒤에는 꼭 후식 (pudding)을 먹는 편입니다. 영국에서는 디저트라고 하지않고 푸딩이라고 합니다. 푸딩은 과일, 케잌, 요거트 등 단 것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저녁은 dinner가 아니라 그냥 supper가 됩니다. 주로 빵과 잼 (저녁에는 마멀레이드 보다는 딸기잼 종류를 선호함), 그리고 치즈나 smoked salmon, ham slices 등을 테이블에 올려 티와 함께 아침보다는 푸짐하게 먹습니다.
크리스마스는 늦은 오후에 점심 식사를 주로 하는데 이유는 터키를 요리하는데 시간이 좀 걸리기 때문입니다. 보통 이 날은 아침에도 cooked breakfast를 먹죠. 주 dinner는 터키와 감자 (baked potatoes 그냥 삶지않고 반 삶은 감자를 오븐에 기름 둘러 익힌 것), parsnip(무 비슷한것, 감자와 같은 방식으로 요리), 당근, brussels/sprouts (보통 십자가로 칼집낸 후 찜) 등을 요리해 먹고 샐러드는 테이블에 필수입니다. 이럴 때는 티나 물이 아니라 샴페인 정도 같이 마시겠죠? 터키에는 cranberry sauce를 발라 먹습니다.
할로윈은 그다지 영국의 페스티발이 아닙니다. 차라리 미국의 행사이지요. 그러나 굳이 할로윈을 찾는 사람들은 호박 (pumpkin) 의 속을 파서 눈코입을 잘라내고 장식을 한 뒤 그 안에 촛불 등을 켜서 축제를 하는데, 그 호박속을 가지고 호박죽(pumpkin soup)을 끓여먹습니다.
영국에는 (자칭) 맛있는 음식이 없어서 다른 나라 음식들이 판을 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금요일에는 fish and chips를, 토요일에는 bangers and mash (소세지와 감자 으깬 것)을, 그리고 일요일에는 Roasts (소고기와 감자, 야채를 로스트roast한 음식)을 먹는 풍습도 아직 많이 남아있습니다
이것은 잉글랜드의 음식이고요..
아일랜드 음식은 영국과 비슷합니다. 주로 양고기와 고기류에 감자 튀김과 샐러드를 곁들인 것을 선호하며 외식문화가 발달되었습니다.
아일랜드는 섬나라이기 때문에 해산물을 이용한 음식이 많은 편입니다. 최근 들어 조개류에 대한 요리법과 소비가 많이 늘고 있는 추세이고,
조개와 함께 굴도 많이 소비하며 축제 기간 동안 먹는 별식이기도 합니다. 대구와 연어는 가장 많이 소비하는 생선에 속합니다.
아일랜드 전통음식은 대표적으로 세가지로 나눌수 있습니다.
아이리쉬 블랙퍼스트(Irish breakfast)
아일랜드의 아침 식사는 빵, 햄, 소세지, 계란 후라이, 토마토, 베이컨, Pudding 등으로 아침식사를 하는데 이러한 아침 식사 양식을 아일랜드식 아침식사(Irish breakfast)라고 합니다.
피쉬&칩스(Fish & chips)
가자미 생선을 일종의 튀김처럼 구운 것으로 아일랜드식 전통 딥소스와 감자 튀김과 함께 나옵니다.
기네스 스테이크&버섯파이(Guinness Steak & Mushroom Pie)
부드러운 쇠고기 등심이 버섯 모양의 파이 속에 들어있는 음식으로 으깬 감자ㆍ버터와 함께 살짝 익힌 완두콩들과 곁들여 나옵니다.
이외에도 등심을 덩어리째 구운 요리, 훈제연어요리, 로스트비프를 구울때 흘러나온 육즙을 부어 구운 빵, 계란을 주재료로 하여 고기,채소,과일등을 넣고 찌거나 구운 요리, 벨기에식 홍합요리를 즐겨 먹습니다.
우리나라에 여행 온 외국인이 김치, 떡볶이, 삼겹살을 안 먹어보고 여행을 마친다면 어떨까?
다른 나라를 여행하며 그 나라의 음식을 맛 보는 것은 큰 즐거움일 것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아일랜드는 영국과 마찬가지로 전통음식이나 먹거리가 크게 발달하지 않았다.
우스겟소리로 아일랜드인에게 대표적인 전통음식이 무엇인지 물어보면 감자나
피쉬엔칩스(Fish and Chips)라고 대답하는 경우가 많았다.
실제로 아일랜드의 거리에서는 수많은 샌드위치, 햄버거, 피자,
중국, 인도, 태국식 음식점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아일랜드 전통음식
1. 아이리쉬 스튜 (Irish stew)
사진 출처 : http://goodfoodie-keith.blogspot.ie/2011/03/irish-stew.html
아이리쉬 스튜는 양고기와 감자, 당근 양파로 만든 아일랜드의 전통 스튜이다.
보통 아이리쉬 스튜와 함께 소다로 만든 빵 (Soda Bread)이 함께 나온다.
소다브레드는 이스트를 써서 발효시키는 빵이 아니라, 소다를 써서 빠르게 굽는 빵의 일종이다.
기후가 좋지 않은 아일랜드에서는 이스트를 써도 잘 부풀지가 않아 대신 소다를 쓰게 되었다고 한다.
개인취향에 따라 양고기 냄새 때문에 비리게 느껴질 수도 있다.
아이리쉬 스튜 (영문) : http://en.wikipedia.org/wiki/Irish_stew
소다브레드 소개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fiennes&logNo=30095669772
2. 아이리쉬 브랙퍼스트 (Irish Breakfast)
사진 출처 : http://www.flickr.com/photos/anazar/5117595266/
베이컨, 소세지, 계란후라이, 푸딩, 토스트, 토마토, 버섯, 콩을 한 접시에 담아낸 아침 식사이다.
영국의 잉글리쉬 브랙퍼스트 (English Breakfast), 스코틀랜드의 스코티쉬 브랙퍼스트(Scottish Breakfast)와
비슷하며 아일랜드에서는 아이리쉬 블랙퍼스트라는 말을 사용한다.
사진에 보이는 검은색 순대 같이 생긴 것은 푸딩(Black Pudding)으로
우리나라의 순대와 같이 피를 첨가해 만든 푸딩이라고 한다.
참고 사이트 : http://en.wikipedia.org/wiki/Full_breakfast
3. 피쉬엔칩스 (Fish and Chips)
사진 출처 : http://www.blackiewarner.com/food/fish-and-chips/
피쉬엔칩스는 아일랜드 전통음식이라고 치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지만,
우리나라의 떡볶이처럼 흔한 음식이라 적어본다.
피쉬엔칩스는 말 그대로 생선튀김과 감자튀김을 뜻한다.
다만, 우리나라의 감자 튀김이 얇은것과 비교하여 아일랜드의
피쉬엔칩스는 감자튀김이 두꺼운 편이다.
먹을 때는 너무 느끼해서 다시는 안 먹겠다고 후회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피쉬엔칩스가 자신도 모르게 땡기는 떄가 온다.
참고 사이트 : http://en.wikipedia.org/wiki/Fish_and_chips#Ireland
아일랜드 맥주
4. 기네스 맥주 (Guinness)
사진 출처 : http://al-terity.blogspot.ie/2012/03/unexplained-mysteries-and-guinness.html
아일랜드를 대표하는 흑맥주. 한국에서도 수출되어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아일랜드 펍(Pub)에서 기네스를 시키면 기네스를 한번에 담아 주는것이 아니라
맥주컵의 4/5 정도만을 따르고 시간이 지난 후 거품이 가라앉으면 나머지 잔을 채워주는데
이렇게 맥주를 따라야만 진정한 기네스 맛을 느낄수 있다고 한다.
아일랜드 더블린에는 기네스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관련된 물건을 전시해놓은
기네스 하우스스토어(Guinness Storehouse)가 있다.
5. 벌머 (Bulmers)
사진 출처 : http://www.mahalo.com/answers/where-can-i-buy-bulmers-pear-in-the-greater-phoenix-scottsdale-area
사과맛이 나는 알콜 사이다.크게 사과맛과 배맛, 베리(Berry)맛이 있다.
알콜 도수가 4.5% 함유되어있지만 단맛이 강해 사이다 맛이 더 강하게 느껴진다.
이 벌머는 아일랜드 내에서는 Bulmers 라는 브랜드로, 아일랜드를 제외한 외국에서는
Magners 라는 브랜드를 사용한다. Magners 는 영국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 기네스보다 더 좋아하는 사이다(?) 단맛이 강해 많이 마시기는 어려운듯 싶다.
Bulmers 와 Magners 의 차이점
http://magners.com/about-us/faqs.asp
참고 사이트 :
http://en.wikipedia.org/wiki/Bulmers
http://en.wikipedia.org/wiki/Magners
6. 스미딕스(Smithwick's), 킬케니(Kilkenny)
사진 출처 :
http://www.pintley.com/beer/Kilkenny-Irish-Cream-Ale/4897/
기네스가 너무 유명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덜 알려지긴 했지만
스미딕스, 킬케니라는 아이리시 에일 맥주가 있다. 킬케니는 아일랜드의 지역 이름이기도 하다.
아이리시 에일(Irish Ale) 맥주
Irish Ale(아이리시 에일)은 부드럽고, 약간 달콤하면서도 붉은 빛을 띠는 에일 맥주(Ale Beer)로 아일랜드 이민자들에 의하여 세계 각국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86030&mobile&categoryId=2935
아이리시 펍 [ Irish Pub ]
아일랜드뿐 아니라 전 세계 어디를 가나 아이리시 펍을 만날 수 있다. 특히 아일랜드에서는 저녁 무렵 펍에 들러 맥주 한잔을 즐기는 것이 자연스러울 정도로 아이리시 펍은 아일랜드의 아이콘이자 아일랜드 사람들의 일상 가운데 한 부분을 차지한다.
아일랜드 전역에 퍼져 있는 아이리시 펍의 두드러진 모습 가운데 하나는 펍의 외관. 아이리시 펍은 건물이나 문이 모두 진한 빨간색, 초록색, 검은색 등 원색으로 된 곳이 많아 멀리서도 아이리시 펍을 쉽게 알아볼 수 있다. 한마디로 느낌이 강렬하다. 아이리시 펍 안쪽의 분위기는 대체로 묵직한 편이며, 역사가 오래된 아이리시 펍일수록 실내의 벽에 옛날 사진을 많이 걸어놓아 고풍스러운 분위기가 느껴진다.
아이리시 음악은 아이리시 펍과 뗄 수 없는 관계. 전통적인 아이리시 펍에 들어가면 항상 아이리시 전통음악을 들을 수 있다. 바(Bar)의 한쪽에 네댓 명으로 구성된 밴드가 자리를 잡고 벤조, 아코디언, 바이올린, 기타가 뒤섞인 아이리시 음악을 흥겹게 연주한다. 아이리시 음악을 들으면서 사람들이 주로 마시는 맥주는 역시 아일랜드 맥주인 스타우트 맥주. 이 가운데 기네스 스타우트가 대세다.
아이리시 펍은 전 세계에 퍼져 있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아이리시 펍을 만날 수 있는 것은 아일랜드의 이민 역사 때문이다. 19세기 중엽 아일랜드에서 ‘감자 기근’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자, 농민을 중심으로 수많은 이민자가 생겨났다. 1870년까지 아일랜드 인구의 반이 해외로 이민을 갔을 정도다.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로 이민을 떠난 아일랜드 사람들이 만든 맥줏집이 바로 ‘아이리시 펍’. 이런 연유로 전 세계 어디를 가도 아이리시 펍에서 맥주를 즐길 수 있게 된 것이다.
아이리쉬 커피 (Irish Coffee)
사진 출처 : http://www.examiner.com/article/classic-cocktails-irish-coffee
아이리쉬 커피 (Irish Coffee)
아이리시 커피(아일랜드어: Caife Gaelach, 영어: Irish coffee)는 블랙 커피와 위스키를 3대 2의 비율로 잔에 부은 다음, 갈색 설탕을 섞고 그 위에 두꺼운 생크림을 살짝 얹은 커피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에 아일랜드 서부에 있는 샤논(Shannon) 국제 공항의 한 술집 주인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다고 한다. 이 커피를 마실 때는 숟가락으로 크림과 커피를 섞어서는 안 되며, 크림 사이로 커피가 흘러나오도록 하면서 크림과 커피를 반드시 동시에 맛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