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동육아의 이념과 교육 실제에 대한 참고도서
<우리 아이들의 육아현실과 미래>, 탁아제도와 미래의 어린이 양육을 걱정하는 모임, 한울. 1991
<내가 살고 싶은 세상 ` 사회 운동과 나>, 정병호, "대안 교육의 길을 찾아서-야학에서 공동육아까지", 또 하나의 문화, 1994
<함께 크는 우리 아이>,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또하나의 문화, 1994
<강아지똥 선생님의 공동육아 이야기>, 이철국, 내일을 여는 책, 1998(절판)
<코뿔소 나들이 가자>,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또하나의 문화, 2000
<놀면서 자라고 살면서 배우는 아이들>,이부미, 또하나의 문화, 2001
<공동육아, 이웃이 있는 가족 이야기>, 류경희, 또하나의 문화, 2004
<함께 크는 삶의 시작>, 이부미 이기범 정병호 엮음, 또하나의 문화, 2006
<공동육아>,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소식지
* 공동체 교육
<작은 학교가 아름답다> 보리, 1997
<새로운 세상을 여는 공동체 이야기>, 하나후사 료스케, 내일을 여는 책, 1997(절판)
<잡초는 없다>, 윤구병, 보리
<희망의 이유>, 제인 구달, 궁리, 2000
<조화로운 삶>, 헬렌 니어링과 스코트 니어링, 보리, 2001
<두려움과 배움은 함께 춤출 수 없다>, 크리스 메르코글리아노, 민들레, 2002
<어린이 공화국 벤포스타>, 에버하르트 뫼비우스, 보리
<키노쿠니 어린이마을>, 호리 신이치로, 민들레, 2001
<이 세상 어디에도 내 집은 있다>, 조희연 외, 한겨레출판사, 2002
<가족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조한혜정 외 지음, 또하나의 문화, 2006
출처 : 공동육아와 공동체 교육 부모교육자료집 부록
첫댓글 어떤책부터 봐야할까요?
제가 읽은 '공동육아, 이웃이 있는 가족 이야기'가 쉽게 읽히고 재미있었어요~^^
오늘밤에 책읽기 방법을 정리해서 올릴게요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