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래산
산높이 : 약300 M
위치 : 경기 시흥시 신천동 ~대야동
제1 코스: (1시간 소요) 자동차 주차 공간이 넉넉한 점이 특징이다.
인천대공원 동문(만의골)주차 - 만의골- 고압선 철탑(소래터널) - 우측(갈림길 좌-성주산 우-소래산) - (무인안내방송 갈림길 직진-정상최단거리 좌- 마애불상 우 -정상(계단) - 소래산 정상
제2 코스: 관모산-거마산-성주산- 소래산 연계 코스 (4시간 30분 소요) - 등산을 즐길 수 있다.
만의골 - 인천대공원 관모산입구 - 거마산정상-갈림길우측(인천중앙병원쪽 성주산(전진@) 방향) - 전진아파트(6번종점) - 약수터 - 수려사 - 하우고개 부천역방향 - 성주산 약수공원 - 팔각정 - 하우고개 구름다리 - 성주산정상 - 소래터널(고압선 철탑) -갈림길 좌 (마애불상쪽 정상방향) - 청룡약수터(수질오염 심함) - 헬기장 - 산불감시초소 - 소래산 정상 - 김재록 묘 방향 하산
제3 코스: (1시간 소요) 가족끼리 산책할 만한 코스이다.(내원사 입구에서부터 마애불상까지 완만한 산책로)
내원사입구 - 내원사 - 쉬어가는숲 - 만남의 숲 - 청룡 약수터 - 마애불상 - 헬기장(공수부대 훈련장) - 소래산 정상 ? 갈림길 - 마애상 - 청룡약수 - 산림욕장입구 - 한국가스안전공사앞(또는 소래자동차학원앞)
제5 코스: (소래산-성주산-할미산 종주, 2시간 소요) 주변 거주민들의 운동 코스
내원사입구 - 내원사 - 쉬어가는숲 - 바위전망대 - 헬기장 - 산불감시탑 - 소래산 정상 - 갈림길 - 소래터널(고개) - 성주산 ? 하우고개 - 팔각정 - 여우고개 - 할미산 - 소사동 하산
제6 코스 (소래산-성주산-거마산 종주, 원점회귀산행, 2시간 30분 소요)
내원사입구 - 내원사 - 쉬어가는숲 - 바위전망대 - 헬기장 - 산불감시탑 - 소래산 정상 - 갈림길 - 소래터널(고개) - 성주산 - 전진아파트(6번종점) - 약수터 - 거마산 - 만의골 - 도로 - 42번국도 ? 내원사입구
'소래'란 지명은 첫째 지형이 소라처럼 생겼다는 설과 둘째 냇가에 숲이 많다 즉, 솔내(松川)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셋째 지형이 좁다 즉 솔다 → 좁다 등의 이유로 비롯되었다고 한다.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는 신라 무열왕 7년(660)에 당나라 소정방이 나당연합군의 일원으로 군사를 친히 이끌고 백제를 공략하기 위하여 중국 산동성의 래주(萊州)를 출발하여 덕적도를 거쳐 이 산에 머물렀다고 한다.
그 뒤부터 소정방의 '소(蘇)' 자와 래주의 '래(萊)' 자를 합쳐 '소래산'으로 불리우기 시작했다고 한다.
휴일이면 인근의 인천, 부천 시민까지도 찾아와 즐길 정도로 자연경관이 빼어난 소래산은 바쁜 일상 속에서도 약간의 짬만 낸다면 쌓인 피로와 긴장을 기분좋게 풀어줄 휴식처로 시민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날씨가 맑은 날에는 육안으로도 서울 시가지와 서해바다가 선명하게 내려다보이는 소래산 삼림욕장은 1992년에 시흥시가 시민의 보건향상과 정서생활 함양을 위해 1억 5천만원의 사업비를 투자하여 조성하였다.
내원사 입구에서 정상까지의 5km에 달하는 기존 산책로는 각종 체육시설, 독서하는 숲, 원목 로프를 이용한 힘기르는 숲으로 정비되어 있다.
또한 소암천 약수터와 청룡 약수터 등은 양질의 물을 제공해 줌으로써 소래산 산림욕장을 찾은 모든 이들의 갈증을 해갈시켜 준다.
산기슭에는 조선 세종 때 영의정을 지낸 하연의 묘소가 있고 동쪽 산중턱에는 고려 초기의 것으로 알려진 우리나라 최대의 마애보살입상이 병풍바위에 선각되어 있어 자녀들에게는 훌륭한 자연학습장이자 역사의 산실이 되기도 한다.
잣나무와 소나무 등으로 녹음이 우거진 숲을 1시간 30분 가량 걷다 보면 나무로부터 발산된 피톤치드라는 방향성 물질에 의해 심신의 안정을 찾을 수 있어 자연건강요법을 이용한 휴양지로 이만한 곳도 없다.
또한, 주말이면 가끔씩 소래산 창공을 수놓는 행글라이더의 시연은 매니아에겐 새로운 세계를 일반인들에겐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출처 : 다음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