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치(治)를 논(論)하다
산(疝)을 치료(治)하는 법(法)은 당연히 그 연유(:由)한 바를 살펴야 한다.
이는 비록 한(寒)을 받거나 습(濕)을 받거나 하여 산(疝)이 되었더라도, 색욕(色慾)이거나 노손(勞損)이거나 울노(鬱怒)이거나 음식(飮食)이나 주습(酒濕)의 후에 계신(戒愼)할 줄 모르거나 하여 한사(寒邪)를 받게 되면 음(陰)으로 음(陰)을 구하듯이 충임(衝任)의 혈기(血氣)의 해(海)로 유결(流結)하여 아래의 음분(陰分)으로 귀(歸)하니 결국 제산(諸疝)이 된다.
따라서 그 병(病)은 한(寒)을 만나 발(發)하거나, 울(鬱)이 구(久)하여 열(熱)하다가 열(熱)을 만나 발(發)하거나, 울(鬱)이 있어 기(氣)가 역(逆)하는데 울노(鬱怒)를 만나 발(發)하거나, 한(寒)으로 인하여 습(濕)이 체(滯)하였는데 습(濕)을 만나 발(發)하거나, 극히 피(疲)하여 근(筋)을 상(傷)하였는데 노고(勞苦)를 만나 발(發)하거나, 허사(虛邪)가 소음(少陰) 궐음(厥陰)에 있는데 색욕(色慾)을 만나 발(發)하거나, 음식(飮食)의 습(濕)이 양명(陽明) 태음(太陰)에 있는데 주락(酒酪)을 만나, 발(發)하게 된다.
오래되면 정기(正氣)가 함(陷)하여 불거(不擧)하고 사기(邪氣)가 유(留)하여 불거(不去)하니, 퇴(㿗)가 되거나 목(木)이 되어 낫기가 어려우니라.
따라서 이를 치료(治)하려면 반드시 그 원인(因)을 변별(辨)하여 치료(治)하면 손쓰는 대로 낫지 않음이 없다.
만약 망연(茫然: 아무 생각이 없다)하거나 혼연(混然: 뒤섞여 무지하다)하여 쓸데없이 하나의 편견(偏見)에만 집착(:執)하고 노(老)에 이르러서도 깨닫지(:寤) 못한다면 곧 같이 이야기(:談)하여도 결국 무익(無益)한다.
一. 산(疝)의 치료(治)는 반드시 먼저 기(氣)를 치(治)하여야 하므로 그 병명(病名)도 또한 산기(疝氣)라 하였으니, 이유(:謂)가 없는 것이 아니다.
한(寒)에는 한기(寒氣)가 있고 열(熱)에는 열기(熱氣)가 있으며 습(濕)에는 습기(濕氣)가 있고 역(逆)에는 역기(逆氣)가 있다. 기(氣)가 양분(陽分)에 있으면 기(氣) 중의 기(氣)가 있고 기(氣)가 음분(陰分)에 있으면 혈(血) 중의 기(氣)가 있다.
기(氣)가 실(實)하면 반드시 파기(破氣)하여야 하고 기(氣)가 허(虛)하면 반드시 보기(補氣)하여야 한다.
따라서 산(疝)을 치료(治)하려면 반드시 제증(諸證)에 모두 당연히 기약(氣藥)을 겸용(兼用)하여야 한다.
一. 산(疝)으로 폭통(暴痛)하거나 통(痛)이 심(甚)하면 반드시 기역(氣逆) 때문이다. 마땅히 먼저 여향산(荔香散)을 써야 한다.
기(氣)가 실(實)하여 체(滯)가 많으면 마땅히 보감천련산([寶鑑]川楝散)이나 천태오약산(天台烏藥散)으로 하여야 한다.
실사(實邪)가 있는 것이 아니면서 한(寒)이 승(勝)하면 마땅히 난간전(煖肝煎)으로 주(主)하여야 한다.
一. 한산(寒疝)은 통(痛)을 가장 잘 작(作)하니, 대부분 한사(寒邪)를 촉(觸)하므로 인하거나 생냉(生冷)을 범(犯)한 소치(所致)이다.
난(煖)한 것을 좋아하고 한(寒)한 것을 외(畏)하며 맥(脈)이 현세(弦細)하고 비첨(鼻尖) 수족(手足)이 대부분 냉(冷)하며 대소변(大小便)에 열(熱)이 없는 종류(類)가 모두 그것이다.
한(寒)이 미(微)하면 마땅히 여향산(荔香散) 난간전(煖肝煎) 신기환(腎氣丸) 신응산(神應散) 정향연실환(丁香楝實丸)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한(寒)이 심(甚)하면 마땅히 의림사신환([醫林]四神丸) 백일선방(百一選方) 십보환(十補丸) 호로파환(胡蘆巴丸) 침향계부환(沈香桂附丸)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일법(一法): 오적산(五積散)에 염초(鹽炒)한 오수유(吳茱萸), 소회향(小茴香) 각 1전(錢) 생강(薑) 5편(片) 총백(蔥白) 5촌(寸)을 가하여 같이 전(煎)하고 공심(空心)에 열(熱)하게 복용하면 기통(氣痛)으로 불가인(不可忍)하는 것을 크게 잘 치(治)한다.
一. 열산(熱疝)은 크게 통(痛)을 작(作)한다. 화사(火邪)가 음분(陰分)에 취(聚)하여 통(痛)하면 반드시 열증(熱證) 열맥(熱脈)이 있으니 혹 대변(大便)이 비결(秘結)하거나 소수(小水)가 열폐(熱閉)하여 불통(不通)하거나 창(脹)이 되고 만(滿)이 되면서 번열(煩熱) 희냉(喜冷)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마땅히 대분청음(大分淸飮)이나 인진음(茵陳飮)에 회향(茴香) 천련자(川楝子)를 가한 종류(類)나 가미통심음(加味通心飮) 규자탕(葵子湯)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또 신(腎)이 본래 허(虛)하지 않으면서 간경(肝經)에 습열(濕熱) 화왕(火旺)하여 경중(莖中)이 작통(作痛)하고 근(筋)이 급축(急縮)하며 혹 통(痛)하거나 양(痒)하거나 종(腫)하거나 정(挺)이 종(縱)하여 불수(不收)하거나 백물(白物)이 정(精)과 같은데 뇨(溺)를 따라 하(下)하면 이는 근산(筋疝)이다.
마땅히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으로 주(主)하여야 한다.
一. 습산(濕疝)은 대부분 중추(重墜) 창만(脹滿)한다. 그러나 또한 통(痛)하는 경우도 있으니, 마땅히 앞의 한(寒)과 열(熱)의 증(證)을 참고(參)하여 치료(治)하여야 한다.
통(痛)하지 않으면서도 오래 추(墜)하고 낫지 않으면 이는 곧 퇴산(㿗疝)의 속(屬)이니, 단(單)으로 마땅히 치습(治濕) 이기(理氣)하여야 한다.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이나 국방수효환([局方]守效丸)이나 창출산(蒼朮散)이나 삼층회향환(三層茴香丸)의 속(屬)으로 주(主)하여야 한다.
어떤 이는 이르기를 "퇴산(㿗疝)을 치료(治)하려면 방사(房事)와 후미(厚味)를 끊지 않으면 효과(效)를 취할 수 없다." 하였다.
一. 산병(疝病)이 주(酒)를 만나 발(發)하면 대부분 습열(濕熱)로 인하니, 당연히 먼저 그 습(濕)을 거(去)하여야 한다.
습(濕)하면서 열(熱)하면 대분청음(大分淸飮)에 회향(茴香) 천련자(川楝子)를 가한 속(屬)으로 하여야 한다.
습(濕)에 한(寒)을 겸하면 마땅히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으로 주(主)하거나 갈화해정탕(葛花解酲湯) 가감(加減)을 써야 한다.
一. 혈(血)이 소복(少腹)의 사이에 결(結)한 것은 혈산(血疝)이다.
단지 살펴서 기(氣)도 아니고 식(食)도 아니면서 소복(少腹)이 경(硬)하면서 형(形)이 있고 대변(大便)이 비결(秘結)하면서 흑(黑)하며 소수(小水)가 이(利)하면 반드시 혈적(血積) 혈산(血疝)의 속(屬)이다.
마땅히 도인고(桃仁膏)나 도인전(桃仁煎)이나 옥촉산(玉燭散)의 종류(類)로 하(下)하여야 한다.
一. 산(疝)이 색욕(色慾)을 만나 발(發)하면 이는 반드시 음허(陰虛)의 속(屬)이다.
만약 음허(陰虛)에 겸하여 상화(相火)가 동(動)하면 마땅히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에 황백(黃栢) 지모(知母) 산치(山梔) 회향(茴香) 천련(川楝)을 가한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만약 음허(陰虛)에 무화(無火)하거나 겸하여 한통(寒痛) 정허(精虛)하면 마땅히 이음전(理陰煎)이나 팔미지황탕(八味地黃湯)에 회향(茴香) 구기(枸杞)를 가한 종류(類)로 하거나 난간전(煖肝煎)을 써서 주(主)하여야 한다.
一. 산(疝)이 구(久)하면 반드시 허증(虛證)이 많다. 혹 원기(元氣)가 본래 허(虛)하면서 우연히 앓아도 허증(虛證)이 있다. 혹 노고(勞苦)를 불내(不耐)하면서 약간의 노(勞)에도 바로 발(發)하여도 허증(虛證)이 있다.
당연히 맥(脈)과 증(證)으로 변별(辨)하여야 한다.
허산(虛疝)을 치(治)하려면 당연히 그 허(虛)가 음분(陰分)에 있는지 양분(陽分)에 있는지를 살펴야 한다.
음허(陰虛)하면서 경(輕)하면 난간전(煖肝煎) 팔미지황탕(八味地黃湯)으로 하여야 하고 심(甚)하면 이음전(理陰煎) 보음익기전(補陰益氣煎)의 종류(類)로 하여야 하니, 참작(酌)하여 쓸지니라.
양허(陽虛)하면 마땅히 온위음(溫胃飮) 귀비탕(歸脾湯)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만약 양허(陽虛)가 지심(至甚)하면 반드시 육계(肉桂) 부자(附子) 천초(川椒) 건강(乾薑)을 쓰거나 육미회양음(六味回陽飮)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만약 허(虛) 중에 체(滯)를 협(挾)하면 마땅히 앞의 법(法)을 위주로 하고, 천련(川楝) 회향(茴香) 지실(枳實) 산사(山査) 치자(梔子)의 속(屬)인 소도(消導)하는 약(藥)을 가하여야 하니, 마땅함을 참작(酌)하여 좌(佐)로 써야 한다.
一. 산(疝)에 사실(邪實)이 있어 당연히 하(下)하여야 할 경우가 있으니, 뒤의 조(條)에 장자화(張子和)의 논(論) 중에서 상세히 기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