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1
8. II Corinthians [kərínɵiənz 커린시언즈] : 고린도후서
* sources : “Good News Translation English Bible Overview” (GNT영어성경 개요)
(Korean Translation : Lee Chang-bok)
1) Ⅱ Corinthians Introduction (GNT Bible) : 고린도후서 소개
Paul's Second Letter to the Corinthians was written during a difficult period in his relations with the church at Corinth. Some members of the church had evidently made strong attacks against Paul, but he shows his deep longing for reconciliation and expresses his great joy when this is brought about.
고린도후서는 고린도교회와 바울과의 관계가 어려운 시기에 기록되었습니다. 분명히 교회 성도들 중 일부는 바울에게 강력한 공격을 가한 것으로 보이지만 바울은 화해에 대한 깊은 열망을 보이며 화해가 이루어지자 큰 기쁨을 나타냅니다.
In the first part of the letter Paul discusses his relationship with the church at Corinth, explaining why he had responded with severity to insult and opposition in the church and expressing his joy that this severity had resulted in repentance and reconciliation. Then he appeals to the church for a generous offering to help the needy Christians in Judea. In the final chapters Paul defends his apostleship against a few people at Corinth who had set themselves up as true apostles, while accusing Paul of being a false one.
편지의 첫 부분에서 바울은 고린도 교회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면서 왜 그가 교회로부터 받은 모욕과 반대에 격하게 반응을 보였는지 설명하고 이러한 격함이 결국 회개와 화해를 가져 왔다는 데 대하여 기쁨을 나타냈습니다. 그런 다음 그는 궁핍한 유대 기독교인들을 돕기 위한 후한 헌금을 교회에 요청합니다. 마지막 장에서 바울은 자신의 사도권을 부인하고 자신들이 참된 사도라고 자처하는 소수의 고린도교회 사람들에 맞서 자신의 사도권을 변호합니다.
2) Outline of Contents : 내용 개요
Introduction (1.1-11) : 소개 (1.1-11)
Paul and the church at Corinth (1.12—7.16) : 바울과 고린도 교회 (1.12-7.16)
The offering for the Christians in Judea (8.1—9.15) : 유대 기독교인을 위한 헌금 (8.1-9.15)
Paul's defense of his authority as an apostle (10.1—13.10) : 바울이 자신의 사도권을 변호함 (10.1-13.10)
Conclusion (13.11-13) : 결론 (13.11-13)
*** 요약 2
Summary
Summary of the Book of 2 Corinthians
This summary of the book of 2 Corinthians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title, author(s), date of writing, chronology, theme, theology, outline, a brief overview, and the chapters of the Book of 2 Corinthians.
요약
고린도후서 요약
이 고린도후서 요약은 고린도후서의 제목, 저자, 저술 날짜, 연대기, 주제, 신학, 개요, 간략한 개요 및 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Author
Paul is the author of this letter (see 1:1; 10:1). It is stamped with his style and contains more autobiographical material than any of his other writings.
저자
바울은 이 편지의 저자이다(참조 1:1; 10:1). 그의 스타일이 각인되어 있으며 그의 다른 어떤 저작보다 더 많은 자전적 자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Date
The available evidence indicates that the year a.d. 55 is a reasonable estimate for the writing of this letter. From 1Co 16:5-8 it may be concluded that 1 Corinthians was written from Ephesus before Pentecost (in the late spring) and that 2 Corinthians may have been written later that same year before the onset of winter. 2Co 2:13; 7:5 indicate that it was probably written from Macedonia.
연대
입수 가능한 증거를 바탕으로 보면 주후 55년이 이 편지를 작성한 합리적인 추정 연대입니다. 고전 16:5-8에서 고린도전서는 오순절(늦봄) 이전에 에베소에서 기록되었고 고린도후서는 같은 해 겨울이 시작되기 전인 같은 해 후반에 기록되었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고후 2:13; 7:5 은 그것이 아마도 마케도니아에서 쓰여졌음을 나타냅니다.
Recipients
The opening greeting of the letter states that it was addressed to the church in Corinth and to Christians throughout Achaia (the Roman province comprising all of Greece south of Macedonia; see map, 2288).
수신자
편지의 첫 인사는 그것이 고린도에 있는 교회와 아카이아(마케도니아 남쪽 그리스 전체를 포함하는 로마 속주; 지도, 2288페이지 참조) 전역의 그리스도인들에게 보낸 것이라고 말합니다.
Occasion
It seems that Paul wrote as many as four letters to the church at Corinth: (1) the letter referred to in 1Co 5:9 (see note there); (2) 1 Corinthians; (3) the "severe" letter (see 2Co 2:3-4; see also below); (4) 2 Corinthians. After writing 1 Corinthians Paul continued his ministry at Ephesus until he heard that his letter had not completely accomplished its purpose. A group of men had come to Corinth who presented themselves as apostles. They were false teachers who were challenging, among other things, Paul's personal integrity and his authority as an apostle (see 11:4; 12:11).
계기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네 통의 편지를 쓴 것으로 보인다: (1) 고전 5:9에 언급된 편지(해설을 보라); (2) 고린도전서; (3) "심각한" 편지(고후 2:3-4 참조; 또한 아래 참조); (4) 고린도후서. 고린도전서를 쓴 후 바울은 그의 편지가 그 목적을 완전히 이루지 못했다는 소식을 들을 때까지 에베소에서 사역을 계속했습니다. 자신을 사도라고 소개한 한 무리의 사람들이 고린도에 왔습니다. 그들은 무엇보다도 바울의 개인적인 고결성과 사도로서의 그의 권위에 도전하는 거짓 선생들이었습니다(참조 11:4; 12:11).
In the face of this serious situation, Paul decided to make a quick trip to Corinth (12:4; 13:1-2) to see whether he could remedy the situation. The visit turned out to be painful and did not accomplish its purpose. So when Paul returned to Ephesus, he wrote the Corinthians a severe letter "out of great distress and anguish of heart and with many tears" (2:4), probably sending it by Titus (12:8). Some identify this letter with 2Co 10-13. Others think it has been lost.
이 심각한 상황에 직면하여 바울은 상황을 호전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고린도로 급히 여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12:4; 13:1-2). 방문은 고통스러운 것으로 판명되었고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바울이 에베소로 돌아왔을 때 그는 고린도인들에게 "마음의 큰 괴로움과 고뇌로 많은 눈물을 흘리며"(2:4) 심각한 편지를 썼으며 아마도 디도가 보낸 것 같습니다(12:8). 어떤 이들은 이 편지를 고린도후서 10-13과 동일시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그것이 분실되었다고 생각합니다.
After writing the severe letter, Paul had second thoughts. He was deeply concerned about how the Corinthians might react to it. So after the riot caused by Demetrius and his fellow silversmiths (see Ac 19:23-41), he left Ephesus and set out for Macedonia by way of Troas. He expected to meet Titus in Troas to get news of the effect of his severe letter on the Corinthian church, but Titus was not there (see 2Co 2:12-13). Still deeply concerned and despite the fact that the Lord had opened up an opportunity to preach the gospel at Troas, Paul said good-by to the believers there and moved on to Macedonia, where he met Titus. To his relief, the news from the Corinthian church was basically good. The severe letter had brought its intended results (7:5-16). The encouraging report of Titus of the improved situation at Corinth is the immediate occasion of the writing of 2 Corinthians.
가혹한 편지를 쓴 후 바울은 다시 생각했습니다. 그는 고린도인들이 그것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지에 대해 깊이 염려했습니다. 그래서 데메드리오와 그의 동료 은장색들이 일으킨 폭동(행 19:23-41 참조) 후에 그는 에베소를 떠나 드로아를 거쳐 마케도니아로 갔습니다. 그는 드로아에서 디도를 만나 그의 가혹한 편지가 고린도 교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소식을 듣기를 기대했지만 디도는 거기에 없었습니다(고후 2:12-13 참조). 주님께서 드로아에서 복음을 전할 기회를 열어 주셨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마음이 아팠던 바울은 그곳에 있는 성도들과 작별하고 마케도니아로 가 그곳에서 디도를 만났습니다. 다행스럽게도 고린도 교회의 소식은 기본적으로 좋았습니다. 가혹한 편지는 의도한 결과를 가져왔습니다(7:5-16). 고린도의 개선된 상황에 대한 디도의 고무적인 보고는 고린도후서를 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How, then, does one explain the harsh tone of chs. 10 - 13, which is so different from the rest of the letter? Some think that when Paul had just completed writing the first nine chapters, a report came to him that a strong and vocal minority was still causing trouble at Corinth. So before sending off the letter he added the last four chapters to address this troublemaking group. Others hold that chs. 10 - 13 were written some time after Paul had sent the first nine chapters and that they constitute a separate letter. There is, however, no manuscript evidence that warrants splitting 2 Corinthians into two parts.
그렇다면 편지의 나머지 부분과 아주 다른 10-13장의 거친 어조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어떤 사람들은 바울이 처음 아홉 장을 다 썼을 때 강하고 목소리가 큰 소수가 여전히 고린도에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는 편지를 보내기 전에 마지막 네 장을 추가하여 문제를 일으키는 그룹을 언급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10-13장은 바울이 처음 아홉 장을 보낸 후 얼마 후에 기록되었으며 그것들은 별도의 편지를 구성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고린도후서를 두 부분으로 나누는 것을 보증하는 사본 증거는 없습니다.
Purposes
Because of the occasion that prompted this letter, Paul had a number of purposes in mind:
목적
이 편지를 쓰게 된 계기로 인해 바울은 여러 가지 목적을 염두에 두었습니다:
Structure
The structure of the letter relates primarily to Paul's impending third visit to Corinth. The letter falls naturally into three sections:
구조
편지의 구조는 주로 바울의 임박한 세 번째 고린도 방문과 관련이 있습니다. 편지는 자연스럽게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Unity
Some have questioned the unity of this letter (see above), but it forms a coherent whole, as the structure above shows. Tradition has been unanimous in affirming its unity (the early church fathers, e.g., knew the letter only in its present form). Furthermore, none of the early Greek manuscripts breaks up the book.
통일성
일부는 이 편의 통일성에 의문을 제기했지만(위 참조) 위의 구조에서 볼 수 있듯이 전체적으로 일관성이 있습니다. 전승을 통해 그것의 통일성을 만장일치로 확증해 왔습니다(예를 들어, 초기 교부들은 편지를 현재의 형태로만 알고 있었습니다). 더욱이 초기 그리스어 사본 중 어느 것도 책의 통일성을 깨뜨리지 않습니다.
Out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