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예초기 사고 572건, 9월에 209건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추석을 앞두고 예초기로 벌초 작업을 할 때는 보호 장비를 철저히 갖춰 다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최근 5년간(‘13~’17) 발생한 예초기 사고는 총 572건이며, 이 중 벌초 등으로 예초기 사용이 많아지는 9월에 209건(37%)으로 가장 많았다.
연령별 사고로는 50대가 172명(30%)으로 가장 많았다. 예초기 사고 10건 중 7건(394건·69%)이 50대 이상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초기를 사용하다 주로 다치는 부위는 하체 부분(엉덩이, 다리, 발)이 303건(53%)으로 가장 많았고 팔과 손 137건(24%), 머리와 얼굴 82건(14%) 순이다.
그리고 상해 유형은 칼날 등에 베이거나 찔려서 발생하는 사고가 406건(71%)으로 가장 많았고, 뼈가 부러지는 골절(38건, 7%)이나 눈으로 이물질이 튀어 들어가 발생하는 안구손상도 25건(4%)이 발생하였다.
예초기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칼날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나일론 칼날을 쓰고 작업의 목적과 주변 환경에 맞추어 적합한 칼날을 구분하여 사용한다. 이 때 예초기 칼날에는 보호덮개를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작업 전에는 반드시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안면보호구, 보호안경, 무릎보호대, 안전화, 장갑 등 보호 장비를 철저히 착용한다.
예초 작업 중에는 돌과 나뭇가지, 금속파편 등이 튀어 위험하니 작업 반경 15m 이내에는 가까이가지 않도록 한다.
특히, 작업 중 예초기 칼날에 이물질이 끼었을 때는 반드시 예초기 동력을 차단하고 장갑을 낀 후 제거한다.
김석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추석을 앞두고 예초기를 사용하여 벌초 작업을 할 때는 주변에 벌집 등 위험요소가 있는지 확인하고 음주 후에는 작업하지 말 것”을 당부하였다.

□ 예초기 구입 시 확인사항
ㅇ 보호덮개 제공 여부를 확인하고, 예초기 날과 보호덮개 모두 안전확인신고 표시(KC도안 및 안전확인신고번호*)가 확인되는 것을 선택한다.
* 인증정보 검색시스템(www.safetykorea.kr)을 통해 인증정보 확인 가능
ㅇ 가급적 일체형 2도날 보다는 나일론 날을 선택하거나 작업 목적에 적합한 예초기 칼날을 선택한다.
* 작업 목적에 적합한 예초기 날의 종류
연하면서도 키작은 잡초 → 나일론 날(2도날도 가능하나 나일론 날 권장)
비교적 키 작은 잡초 → 3도날, 키 작은 잡초 → 4도날,
억센 잡초 → 8도날, 직경 20mm이하의 관목 → 톱날
□ 예초 작업 전 준비사항
ㅇ 예초기 사용설명서를 잘 읽고 올바른 사용법과 주의사항 등을 숙지하도록 한다.
ㅇ 예초 작업의 종류 및 예초기의 날에 적합한 보호덮개를 부착하고, 일체형 2도날을 사용할 경우 안전판을 부착한다.
ㅇ 반드시 안면보호구, 보호안경, 무릎보호대, 안전화, 장갑 등을 착용하고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작업복을 입는다.
ㅇ 작업 장소에 돌, 나뭇가지, 금속파편 등 예초기의 날에 부딪혀 튈 수 있는 이물을 제거한다.
□ 예초 작업 시 준수사항
ㅇ 비산물이 튈 수 있으므로 작업 주의 반경(최소 15m)에는 사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조치한다.
ㅇ 일반적으로 예초기 날의 회전방향은 시계반대 방향이므로 작업자의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작업한다.
ㅇ 작업 중 예초기 칼날에 이물질이 끼었을 경우, 반드시 예초기 동력을 차단한 상태에서 장갑을 끼고 제거한다.
ㅇ 경사로 등에서 작업을 할 때는 미끄러지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작업 지형을 확인하고 안정된 자세로 작업한다.
□ 작업 후 관리 방법
ㅇ 에어크리너가 연료나 물에 젖어 있으면 시동이 걸리지 않을 수 있으므로 닦아서 건조시킨 후 장착해야 한다.
ㅇ 작업봉과 엔진부분을 연결하는 탄력 축(shaft)을 분리한 후 탄력 축을 호스에서 뽑아내어 전체를 오일로 바르고 재조립 후 캡을 씌어서 보관한다.
□ 장기간 보관 시
ㅇ 직사광선을 받지 않고 통풍이 잘되며,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ㅇ 연료가 들어있는 상태로 보관하면 침전물이 생겨서 기화기(carburettor) 등 주요 부품의 고장 원인이 되므로 반드시 연료를 뺀 후 보관한다.
ㅇ 녹 발생으로 성능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예초기의 각 부분을 청소하고 금속 부분에 오일을 발라서 보관한다.
□ 충전식 예초기 관리법
ㅇ 작업 후 배터리를 분리하여 충전한 후, 예초기 본체에 부착하지 않고 별도로 보관한다.
* 배터리는 완충하여 보관하고, 장기간 미사용시 6개월마다 충전한다.
ㅇ 플라스틱을 제외한 부분에 오일을 발라주고 플라스틱은 특성상 직사광선에 장시간 노출 시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한다. [출처: 한국소비자원]
<참 고> 예초기 보호덮개의 종류



정 재 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