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0회 대한민국한자급수자격검정시험문제
[4급 A형] 수험번호: 성명:
■ 다음 물음에 맞는 답의 번호를 골라 답안지의 해당 답란에 표시하시오.
※ 한자의 훈음으로 바른 것을 고르시오.
1. 仙( ② ) ①벼슬할 사 ②신선 선 ③맡길 임 ④선비 사
2. 餘( ① ) ①남을 여 ②마실 음 ③먹을 식 ④은 은
3. 誠( ② ) ①이룰 성 ②정성 성 ③재 성 ④성할 성
4. 浴( ④ ) ①씻을 세 ②사라질 소③호수 호 ④목욕할 욕
5. 板( ④ ) ①격식 격 ②돌이킬 반③맏누이 자 ④널빤지 판
6. 旅( ② ) ①겨레 족 ②나그네 려③놓을 방 ④손님 객
7. 害( ④ ) ①찰 한 ②살필 찰③베낄 사 ④해칠 해
8. 是( ② ) ①저자 시 ②옳을 시③보일 시 ④처음 시
9. 香( ② ) ①성스러울성 ②향기 향③그림 화 ④빛 색
10.災( ① ) ①재앙 재 ②재물 재③더울 열 ④될 화
※ 훈음에 맞는 한자를 고르시오.
11. 이를 치 ( ② ) ①改②致③放④到
12. 순할 순 ( ③ ) ①題②規③順④領
13. 본받을 효 ( ④ ) ①政②數③族④效
14. 구원할 구 ( ② ) ①舊②救③求④球
15. 헤아릴 량 ( ③ ) ①兩②良③量④里
16. 다툴 경 ( ① ) ①競②爭③景④鳥
17. 값 가 ( ③ ) ①賣②買③價④億
18. 섬 도 ( ② ) ①黃②島③都④度
19. 돌 회 ( ② ) ①向②回③凶④由
20. 밝을 랑 ( ① ) ①朗②新③使④曜
※ 물음에 알맞은 답을 고르시오.
21. “무거운 것은 힘을 주어야 움직인다”라는 뜻으로만들어진 한자는? ( ③ )
①運②移③動④秋
22. 밑줄 친 ‘將’의 의미가 다른 것은? ( ② )
①名將②將來③將兵④將軍
23. “할머니는 재산 一切를(을) 학교에 기부하셨다”에서
밑줄 친 ‘切’의 훈음으로 바른 것은? ( ③ )
①끊을절 ②고칠절 ③모두체 ④새길체
24. ‘擧’를 자전(옥편)에서 찾을 때의 방법으로 바르지않은 것은? ( ④ )
①총획으로 찾을 때는 ‘18’획에서 찾는다.
②부수로 찾을 때는 ‘手’부수의 14획에서 찾는다.
③자음으로 찾을 때는 ‘거’음에서 찾는다.
④부수로 찾을 때는 ‘手’부수의 13획에서 찾는다.
25. 한자의 뜻이 다른 것은? ( ④ )
①藝②術③技④件
26. ‘甘’과 반대(상대)되는 뜻의 한자는? ( ② )
①船②苦③樂④惡
27. “□男, □期, 席□”에서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는? ( ④ )
①角②定③早④次
※ 한자어의 독음이 바른 것을 고르시오.
28. 敗北( ① ) ①패배 ②효배 ③효북 ④패북
29. 住宅( ③ ) ①가택 ②주가 ③주택 ④왕댁
30. 急冷( ③ ) ①급령 ②급영 ③급랭 ④급냉
31. 敎卓( ④ ) ①식탁 ②식초 ③교단 ④교탁
32. 守則( ② ) ①수즉 ②수칙 ③촌즉 ④촌칙
33. 永久( ③ ) ①빙고 ②빙구 ③영구 ④영고
34. 可觀( ② ) ①가건 ②가관 ③가간 ④가곤
35. 果然( ① ) ①과연 ②과열 ③동연 ④동열
※ 한자어의 뜻으로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36. 獨步的( ① )
①남이 감히 따를 수 없을 정도로 뛰어남.
②자신만이 옳다고 믿고 행동하는 것.
③이익을 혼자서 차지함. ④혼자 걷는 것.
37. 通念( ③ )
①통지하여 알림. ②서로 서로 마음이 통함.
③일반적으로 널리 통하는 개념.
④몰아서 하나로 모음.
※ 낱말을 한자로 바르게 쓴 것을 고르시오.
38. 별세: 윗사람이 세상을 떠남. ( ① )
①別世②下山③別故④作別
39. 부군: 남의 남편을 높여 이름. ( ④ )
①兄夫②父君③大君④夫君
※ 밑줄 친 한자어의 알맞은 독음을 고르시오.
40. 그는 具體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다. ( ② )
①전체 ②구체 ③기체 ④기신
41. 夕陽에 타는 저녁놀이 아름답다. ( ④ )
①다양 ②석장 ③태양 ④석양
42. 그녀는 입학 願書를 제출하였다. ( ③ )
①서류 ②원고 ③원서 ④원주
※ 다음 면에 계속
[4급 A형] 대한검정회
※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바르게 쓴 것을 고르시오.
43. 갑자기 정전이 되어 교실이 어두워졌다. ( ② )
①停戰②停電③精電④精戰
44. 남의 일에 지나치게 간섭하는 것은 실례다.( ③ )
①失例②實例③失禮④實禮
※ 물음에 알맞은 답을 고르시오.
45. 한자어의 짜임이 다른 것은? ( ④ )
①正義②洋屋③鐵橋④注油
46. 비슷한 뜻으로 이루어진 한자어가 아닌 것은?( ③ )
①生産②養育③明暗④報告
47. 반대(상대)되는 뜻의 한자어 연결이 아닌 것은?( ① )
①出他↔外出②輕視↔重視
③無限↔有限④貧農↔富農
48. “語不成說”의 속뜻으로 알맞은 것은? ( ② )
①말속에 깊은 뜻이 있음.
②말이 조금도 사리에 맞지 않음.
③말수가 적음. ④말을 아주 잘함.
49. 先人들의 글을 대하는 태도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② )
①오늘날에 적용할 수 있는 方法을 생각한다.
②時代에 맞지 않으므로 무시한다.
③글 속에 담긴 속뜻을 잘 헤아린다.
④先人들의 좋은 가르침을 실천한다.
50. 1년은 모두 몇 節氣인가? ( ④ )
①12節氣②16節氣③20節氣④24節氣
■ 물음에 맞는 답을 답안지의 해당 답란에 쓰시오.
※ 한자의 훈음을 쓰시오.
51. 筆( 붓 필 ) 52. 選( 가릴 선 )53. 謝( 사례할 사 )
54. 週( 주일,돌 주 )55. 蟲( 벌레 충 ) 56. 武( 굳셀 무 )
57. 鼻( 코 비 ) 58. 增( 더할 증 )59. 葉( 잎 엽 )
60. 商( 장사 상 )61. 完( 완전할 완 ) 62. 基( 터 기 )
63. 端( 바를 단 )
※ 훈음에 맞는 한자를 쓰시오.
64. 다할 극 ( 極) 65. 비 우 ( 雨)
66. 낱 개 ( 個) 67. 착할 선 ( 善)
68. 맺을 약 ( 約) 69. 있을 존 ( 存)
※ 물음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
70. “過去”에서 밑줄 친 ‘過’의 훈음을 주어진 한자어의의미에 맞게 쓰시오. ( 지날 과 )
71. ‘陸’과 한자어를 이룰 수 있는 비슷한 뜻의 한자를쓰시오. ( 地)
72. “恩□, 醫□, □團”에서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 師)
73. “처음부터 끝까지의 과정”을 이르는 ‘自初至□’에서
□안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 終)
※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74. 患者( 환자 ) 75. 寒波( 한파 )
76. 特惠( 특혜 ) 77. 發給( 발급 )
78. 音質( 음질 ) 79. 考試( 고시 )
80. 貯金( 저금 ) 81. 合唱( 합창 )
82. 校監( 교감 ) 83. 萬歲( 만세 )
84. 雄志( 웅지 )
※ 한자어의 뜻을 쓰시오.
85. 處所( 사람이 기거하거나 임시로 머무는 곳. )
86. 着服(옷을 입음. 남의 금품을 부당하게 자기 것으로 함. )
※ 낱말의 뜻에 알맞은 한자어를 쓰시오.
87. 상품: 상으로 주는 물품. ( 賞品)
88. 목동: 풀을 뜯기며 가축을 치는 아이. ( 牧童)
89. 건승: 탈 없이 건강함. ( 健勝)
90. 혈안: 기를 쓰고 달려들어 독이 오른 눈.( 血眼)
※ 밑줄 친 부분의 알맞은 독음을 쓰시오.
나의 오랜 의문을 풀어준 것은 V.M. 코발료프가
쓴 러시아 91)料理, 그 92)傳統과 93)風習이라는
책이다. 놀랍게도 무는 人類가 먹어온 농작물 가운
데 가장 오래된 94)種類로, 고대 이집트에서는 피라
미드 건설에 동원된 노예들의 95)飮食이었다고 한
다. 또 고대 그리스에서는 아폴론 신전에 96)祭物을
올릴 때 사탕무는 은쟁반에, 무는 구리쟁반에 올렸
다고 한다.
<요네하라 마리 지음, 미식견문록(마음산책)>
91. ( 요리 ) 92. ( 전통 )93. ( 풍습 )
94. ( 종류 )95. ( 음식 ) 96. ( 제물 )
※ 밑줄 친 부분의 독음을 쓰시오.
97. 그는 노인의 복지 문제에 關心을 쏟아 왔다.( 관심 )
98. 우리는 서로의 일이 잘되도록 祝福을 빌었다.( 축복 )
99. 이달 자동차의 판매량이 減少되었다. ( 감소 )
100. 술로 건강을 해친 사람들을 許多하게 보았다.( 허다 )
♣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