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냉동/냉장실 온도조정은 어떻게 하나요? |
 | 1) 냉동/냉장 온도조절위치는 제품 출하시 "중"으로 선정되어 있으므로 설치후 고객님이 원하시는대로 조정하면 됩니다. 2) 중 → 중강 → 강 → 약 → 약중 순서로 전환하여 원하는 온도를 설정합니다. 3) 중에서 내용물이 추가되어 많아지면 온도를 "중강" 또는 "강" 으로 전환 해주고 량이 적을 경우 "약중" 또는 `약` 으로 설정하여 사용 하십시오 |
 | 파워냉동/파워냉장이 저절로 꺼져요 |
 | 1) 파워냉동/파워냉장을 선택시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OFF되며, 온도조절은 이전 설정위치로 자동 복귀합니다. 2) 파워냉장 : 냉장실의 온도가 현재 온도에서 4.0℃가 내려가면 시간에 관계없이 자동으로 OFF되며, 이전 설정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합니다. |
 | 냉동/냉장 기능이 안되는 것 같다 |
 | 1) 집안에 전등불이 켜져 있는지, 누전차단기가 내려 갔는지를 확인하여 주세요 2) 110V 전원일 경우 승압트랜스의 출력전압이 정상으로 나오는지 확인하세요 3) 전원코드는 꼽혔는데 가동이 안되면 냉장고 코드를 빼고 다른 전자제품을 콘센트에 꼽아 동작상태를 확인하고, 콘센트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 주세요. 그래도 확인이 되지 않을 경우는 아래 연락처로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
 | 보관식품중 아이스크림이 녹는다 |
 | 아이스크림은 보관온도가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아이스크림에 표시된 적정 보관온도를 확인하여 주십시오. (보통의 경우 -16℃입니다) 1) 온도조절기를 "약"이나 "중"에 놓고 사용 한다면 "강"위치에 맞추어 사용 하십시오. 2) 냉동식품을 너무 과다하게 보관하면 냉기순환이 안되어 온도가 약해집니다. 3) 보관위피는 냉동실 문에 위치한 다용도칸보다는 냉동실 하단 선반에 넣어사용하세요.(사용설명서 참조) |
 | 냉장실 보관식품이 언다 |
 | 1) 온도조절기는 계절 및 식품의 량에 따라 조절이 가능 하므로 "중"이나 ''약"으로 재설정하여 사용 하십시오. 2) 차가운 냉기가 나오는 주위에 음식물을 보관하면 음식물이 얼 수 있으므로, 수분이 많은 두부,수박,야채,과일은 앞쪽으로 보관하여 주세요 3) 주위온도가 5℃ 이하일 경우에는 냉장식품이 얼 수 있으므로, 설치 장소를 변경하셔야 합니다. |
 | 요즘 냉장실이 너무 약하다 |
 | 1) 냉장식품이 많거나 계절에 따라 약하다 느낄 때는 ''강"으로 맞추어 사용 하십시오. 2) 냉장식품을 과다하게 보관하면 냉기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온도가 약해지게 되므로 냉장실의 음식량을 조절하여 주십시오. 3) 주위온도가 5℃ 이하 이거나, 햇볕등 직사광선을 받거나 가스렌지등 열기구 가까이 있는지 확인하여 주세요. 4) 뜨거운 식품을 식히지 않고 곧바로 넣지는 않았습니까? |
 | 디스펜서 물 안나와요. |
 | 1) 냉장고 정수필터와 연결된 수로관 밸브가 잠겨 있는지 확인하시고, 밸브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려 주세요. 2) 수로관밸브를 확인후 워터레바를 2 ~ 3분 가량 누른 상태에서 냉장실내에 있는 물통(1.2리터)에 물이 가득 차야 나옵니다. 3) 기존에 사용중인 정수기 중 수압이 낮은 정수기(위에서 아래로 물이 흐르는 정수기)는 가압펌프를 필히 설치하셔야 물이 나오게 되며, 가압펌프가 고장이 났을 경우에도 물이 나오지 않습니다.(가압펌프 확인)
 |
 | 얼음 정지시에는 각 얼음이 안나와요? |
 | 1) 얼음 선택 버튼을 정지시켜 놓으면 자동 제빙기가 얼음 만드는 기능은 중지되나 이미 만들어져 얼음박스에 저장된 얼음은 조각얼음으로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
 | 정수필터에 대하여...... |
 | 내장형 Aqua-Pure 필터는 미국 국가위생협회(NSF)로부터 공식 인증 받은 정수필터입니다(CUNO사의 정수필터) 1) 허용수압 : 125psi ( 8.6Kg/㎤ ), 허용온도 : 100F F℃ ( 38℃ ), 용량은 ( 1500gaiion ) 교환주기는 6개월 정도입니다. 2) 용도 : 수돗물의 속의 부유물인 (녹.염소.유기물.불쾌한 맛.냄새)를 제거하고 물 속의 미네랄 등은 통과시키고, 항균 효과로 미생물 증식을 억제함 3) 냉장실 내의 뒷벽에 장착되어 시원한 물 공급및 위생성을 향상시킵니다. 4) 정수기 교환이 필요할 경우는 가까운 서비스센타로 연락하시면 서비스 기사가 방문하여 교환해 드립니다(정수필터 비용은 고객이 부담하셔야 합니다) |
 | 간헐적으로 뚝뚝/딱딱 소음이 나는데 왜 그런가요? |
 | 냉장고 안이 차가워지거나 문을 여닫았을 때 내부 온도가 올라가면서 여러 부품들이 늘어나거나 줄어 들 때, 자동 성에 제거 장치가 작동할 때 "뚝","딱" 소리가 날수 있으며, 냉장고 내부의 압축기나 냉각펜을 가동시키기 위해 전자 제어창지(릴레이)등이 작동할 때 전기가 끊어지거나 연결되면서 나는 소리입니다 이는 고장이 아니므로 안심하고 사용하십시오. |
 | 꼬로록/칙칙소음 물 흐르는 소리가 나요. |
 | 냉동실과 냉장실 냉각 파이프에 냉매가스가 흐르면서 압축기 정지시 또는 운전이 시작 될 때 꼬르륵 소리, 물 흐르는 소리가 들릴수 있습니다. 이는 고장이 아니므로 안심하고 사용하십시오. |
 | 냉장고에서 웅 하는 소리가 들려요. |
 | 냉장고의 압축기와 모터가 돌아갈때 발생하는 소리입니다. 특히 냉장고의 문을 자주 열거나, 주위 온도가 올라갔을 경우 냉장고 내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압축기와 모터가 동시에 돌면서 발생하는 소리입니다. 그리고 냉장고 설치장소에 따라 벽면에 반사되어 웅하는 소리가 들릴수 있습니다. 이는 고장이 아니므로 안심하고 사용하십시오. |
 | 냉장고에서 시계소리 또는 멜로디 소리가 들려요 |
 | 냉장고밑 바닥부분에 유아용 장난감(멜로디폰등)이나 시계 등이 들어가 있는지 확인하시고 꺼내 주세요 |
 | 드르륵, 덜커덕, 웅 하는 소리가 들려요 |
 | 냉장고 운전시에는 압축기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됩니다. 운전을 시작 할 때나 끝날 때 "덜커덕","드르륵","웅" 하는 소리가 납니다. 이는 자동차와 비교해 보면 처음 시동을 걸때 소리가 크게 나지만 차츰 소리가 적어지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동을 끌때도 "드르륵" 하고 순간적으로 멈추는 것과 같은 소리입니다. 이는 고장이 아니므로 안심하고 사용하십시오. |
 | 냉장고 구입후 처음 설치시 소리가 크게 들립니다. |
 | 구입후 처음으로 냉장고를 운전시켰을 떄는 냉동실이나 냉장실 온도가 높기 때문에 압축기 및 모터가 온도를 빨리 낮추기 위해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소리가 크게 들립니다. 냉동실 및 냉장실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고, 설치조건이 안정되면 소리는 점차적으로 적어집니다. |
 | 문이 열려 있어도 경보음이 안나요 |
 | 1) 문이 살짝 열려 있을 경우에는 문 열림상태를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경보음이 울리지 않습니다. 2) 경보음이 정상적으로 나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문을 열고 2~3분 정도 시간이 지나면 경보음이 날 것입니다. |
 | 초기 설치한 냉장고에 이상한 냄새가 납니다. |
 | 1) 냉동실, 냉장실이 차거워지기 전에 음식물을 넣으시면 냄새가 베어들기 때문입니다. 2)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물에는 냄새가 강한 음식물이 많아 장기간 보관하고 유통과정을 거치면서 내부의 여러가지 프라스틱 부품들의 화학성 냄새가 남아 있기 때문에 초기 구입을 하면 반드시 환기를 시켜야 합니다. 3) 냄새가 날수있는 내부 부착물 테이프류는 제거한 후 사용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4) 참고로 초기 가동후 2시간 후에 음식물을 보관하는 것도 냄새를 방지할 수 있는 지혜입니다. |
 | 냄새 방지를 위한 일상관리는 이렇게 해야 합니다 |
 | 1) 선반이나 병꽂이 등에 음식물이 흘러 내린 경우 곧바로 청소를 깨끗이 하여 냄새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2) 정기적으로 고내 내용물을 꺼내고 고내를 깨끗이 청소 해야 합니다. 3) 세척시는 냄새가 강한 세척제(락스,알코올)등을 사용치 말아야 하고 과일류 세척용 세제를 이용 깨끗이 청소를 해야 합니다. 4) 프라스틱 용기는 자주 세척하여 뚜껑을 반드시 덮어 사용합니다. 5)음식물중 냄새가 심한 음식(김치류등)은 랩으로 밀봉하여 보관하시길 바랍니다. 6) 냉장실 온도조절 위치는 중강/강위치로 전환하여 사용을 하면 냄새를 줄일 수 있습니다. |
 | 전기세가 많이 나와요 |
 | 전기요금은 사용량에 따라 누진제 적용으로 가정마다 다르게 나옵니다.
1. 냉장고의 소비전력량 표기방법 냉장고 소비전력량(월간소비전력량) 표기는 KSC9305에 준하여 시험을 실시하며 "한국공업진흥청"에서 월간소비전력량(KWh/월)등급 및 표기치를 인증 받아서 냉장고에 소비전력량 등급 및 표기치를 소비자가 잘 보일수 있도록 라벨을 부착하여 표기토록 되어 있음.
2. 냉장고 소비전력량 산출방법 주위온도 30±1℃, 습도75% 조건에서 냉장고를 가동한 동안 개폐를 하지않는 상태로 1일 소비전력량(KWh/일) 산출하여 365일로 계산한 다음 12개월로 나눈 값으로 표기토록 되어 있음
· 월간 소비전력량(KWh/월) = | Wd X 365일 |
| 12개월 |
※Wd : 주위온도30±1℃에 있어서 1일 소비전력량(KWh/일)
· 한국전력의 전기요금 안내 Web-site - www.Kepco.co.kr/cyber/cmain.html |
 | 냉장고를 사용후부터 전기세가 많이 나와요 |
 | 1) 제품에 표기된 소비전력량 값은 한국공업규격 소비전력량 시험 규정에 준하여 산출된 값이므로 냉장고 실사용 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 냉장고내 내용물이 많을 경우 강쪽 방향으로 적은 경우 중정도로 전환하여 실용적으로 사용하면 전기세가 적게 나올 수 있습니다. 3) 에너지 소비효율등급 1등급으로서 기존 일반 냉장고와 달리 용량이 큼으로 전기료가 좀더 나올 수 있습니다. 또한 전기료는 누진제를 적용함으로 댁에서 사용하는 전기사용량에 따라서 많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
 | 냉장고 옆면, 측면부가 뜨거워요 |
 | 1) 냉장고를 차갑게 해주고 열을 외부로 보내는 방열 파이프가 좌.우측면에 배열되어 있어 열전도에 의해 뜨거워지는 현상으로 고장이 아닙니다. 2) 냉장고의 압축기 운전이 정지된 시간에는 온도가 내려 갔다가 압축기가 재가동이 도면 다시 뜨거워지게 되는 현상이 반복됩니다. 3) 특히 무더워 여름철에는 열의 방출량이 많아 온도가 높기 때문에 얇은 피부가 닿지 않도록 유의하세요. |
 | 냉동/냉장실 도아 다용도칸(병꽂이)은 어떻게 분리하나요? |
 | 1) 냉동실 냉장실 문의 내측 병꽂이를 두손으로 좌.우측 잡고 윗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분해가 됩니다. 2) 삽입시에는 병꽂이를 좌.우잡고 좌.우 걸림턱 부위에 완전히 밀착후 홈에 일치 시킨다음 아래로 눌러 내리면 삽입 완료됩니다. |
 | 냉동.냉장실 서랍이 잘 안 빠져요 |
 | 1) 냉동.냉장 서랍을 빼낼 때는 손잡이를 잡고 전면으로 당기면서 걸리는 부분에 닿으면 앞부분을 들어 올리면서 잡아당기면 서랍이 빠집니다. |
 | 탈취기는 어떻게 빼면 되나요 |
 | 1) 567.617리터의 경우 탈취기의 위치는 우측 그림의 화살표 부분을 들어 올리면서 앞으로 잡아 빼내면 카바와 함께 안쪽에 흙갈색의 탈취촉매가 나옵니다.
2) 650리터급 이상은 탈취기는 우측그림의 동그란 부분을 잡고 반대 방향으로 돌려 앞으로 잡아 당기면서 빼내면 됩니다. |
 | 냉장고 전면 바닥부 다리덮개는 어떻게 분리 하나요? |
 | 1) 다리덮개 분해는 덮개 전면부 3개의 나사를 +드라이버를 이용 좌측으로 돌려 빼낸 후 카바를 분해합니다. 2) 고정시는 덮개를 먼저 손을 이용 잡고 나사를 중간부터 드라이버로 우측으로 돌려 체결 후 왼쪽 또는 오른쪽 순으로 나사를 고정 체결을 합니다.
 |
 | 냉장고 와인걸이는 어떻게 분리 하나요? |
 | 1) 와인걸이는 공장 출하시에는 냉장실 도아 병꽂이 부분에 넣어져 있습니다.필요시에 고객님께서 냉장실 벽면의 고정걸이에 고정시켜 사용하시는데,분해는화살표부분의앞뒤부분을 잡고 앞으로 잡아 당겨빼내시면 됩니다.(결합은 분해의역순으로 하시면 됩니다). |
 | 냉장고를 후면 벽쪽으로 바짝 부쳐도 되나요 ? |
 | 냉장고 설치시 벽쪽으로 가까이 설치하면 통풍이 잘되지 않으므로 방열의 효과가 떨어져 냉동,냉장 온도가 높게 나올 수 있으므로 냉장고를 후면과 좌.우 벽면을 최소 5 ㎝이상 이격시켜 주어야 냉장고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전기세도 줄일 수 있습니다.(사용 설명서 내용을 참조하여 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