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2장
曲則全, 枉則直, 窪則盈, 敝則新, 少則得, 多則惑. 是以聖人抱一爲天下式. 不自見, 故明, 不自是, 故彰, 不自矜, 故長, 不自伐, 故有功. 夫唯不爭, 故天下莫能與之爭. 古之所謂曲則全者, 豈虛言哉. 誠全而歸之.
(무위가 이르는 바가) 천하의 곳곳이게 되면, (천하가 무위와 더불어 어우러지는 바가) 오롯해지게 되고, (천하 곳곳의 유위가) 굽혀지고 작아지게 되면, (천하 곳곳의 무위가) 펴지고 커지게 되며, (천하가 몸을 씻고 옷을 빠는 아래에 자리하는) 연못이 되면, (위에 자리하는 무위가 흘러들어) 가득 차게 되고, (천하 곳곳의 유위가) 낡아지게 되면, (천하 곳곳의 무위가) 새로워지게 되며, (천하 곳곳의 마음과 의지가 가지는 바가 있는 유위가) 적어지게 되면, (일삼는 바가) 얻어지게 되고, (천하 곳곳의 마음이 가지는 바가 있는 유위가) 많아지게 되면, (천하 곳곳의 의지가 유위에게) 치우치게 (되고, 따라서 일삼는 바가 얻어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유위가 적은 바가 지극한 바인) 하나(一; 無爲·自然·命·性·德·道)를 품는 바가 천하가 법칙으로 삼는 바가 되도록 일삼았다. (따라서 천하는) 저절로 그러하게 (유위를) 드러내 보이지 않게 되었고, 따라서 (천하는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가) 밝게 되었으며, (따라서 천하는) 저절로 그러하게 (자신이) 옳다고 여기지 않게 되었고, 따라서 (천하는 저절로 그러하게 자신의 옳음이) 드러나 보이게 되었으며, (따라서 천하는) 저절로 그러하게 잘난 체하지 않게 되었고, 따라서 (천하는 저절로 그러하게 몸이 오래 살고) 오래 보여지게 되었으며, (따라서 천하는) 저절로 그러하게 우쭐하지 않게 되었고, 따라서 (천하는 저절로 그러하게) 공功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 따라서 (천하는) 오로지 (저절로 그러하게) 다투지 않게 되었고, 따라서 천하는 (저절로 그러하게) 다투는 바를 더불어 하고 잘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되었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에 일컬어졌던 바, “(무위가 이르는 바가) 천하의 곳곳이게 되면, (천하가 무위와 더불어 어우러지는 바가) 오롯해지게 된다”는 말, 어찌 헛된 말이겠는가? (정말로, 무위가 이르는 바가 천하 곳곳이게 되는 바가) 참되고 오롯하게 되면, (천하 곳곳이 무위로) 되돌아가게 된다.
天下, 皆知利之, 爲利. 而不知夫不利之, 爲利博也. 天下, 皆知益之, 爲益, 而不知夫損之, 爲益全也. 此章, 專發明以損, 爲益之義. 盖老氏一篇之關鍵也.
(노자가 살았던 당시의) 천하는 모두 알아차렸다. (유위有爲를) 날카롭게 하는 일이 이로움을 일삼는다고. 그러나 (당시의 천하는 모두) 알아차리지 못했다. (유위有爲를) 날카롭게 하지 않는 일이 이로움이 넓어지게 되는 바를 일삼는다는 것을. (또한, 당시의) 천하는 모두 알아차렸다. (유위有爲를) 더하는 일이 (이로움을) 더하는 바를 일삼는다고. 그러나 (당시의 천하는 모두) 알아차리지 못했다. (유위有爲를) 덜어내는 일이 (이로움을) 더하는 바가 오롯해지게 되는 바를 일삼는다는 것을. (따라서) 이 장은 오롯하게 하고, 피어나게 하며, 밝아지게 한다. ‘(유위有爲를) 덜어내는 일이 (이로움을) 더하는 바를 일삼는다’는 뜻을. (이것이) 노자가 지은 이 한 권의 책이 일삼는 요지이다.
曲, 如中庸致曲之曲. 猶言偏隅也. 吳幼淸曰, 專攻其所偏. 則擧一反三. 而後必會其全. 欲遂求生, 則志大心勞, 終不能全矣.
곡曲은 『중용中庸』(이 제23장에서 일컬은) “(무위無爲가) 천하 곳곳에 이르게 된다”(라는 말)의 “천하 곳곳”이다. (천하의) 변두리, 귀퉁이라는 말과 (뜻이) 같다. (따라서 중국 원元나라 때) 오징(吳澄, 1249~1333)은 (『도덕진경주道德眞經註』 제19장 주註에서) 일컬었다. “그 (천하의) 변두리(偏; 有爲)를 다스리는 바를 오롯하게 해야 한다. 비유컨대, (그 천하의 가운데인) 하나(一; 無爲)를 들어 올림으로써, (천하의 변두리인) 셋(三; 有爲)을 (하나로) 되돌아가게 해야 한다. 그렇게 한 다음에야, 반드시 그 (셋이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와 (더불어) 어우러지게 된다. (그러나 그 셋이 일부러 일삼아 그 하나에게) 이르게 되는 바를 일삼고자 하거나, (그 셋이 그 하나에 대해 일부러 일삼아) 살아가는 바를 구하게 되면, (그 셋의) 의지가 (유위有爲를 가지는 바가) 커지게 되고, (그 셋의) 마음이 (유위有爲에 대해) 수고로워지게 된다. (따라서 그 셋이) 끝끝내 (무위無爲에 대해) 오롯해질 수 없게 된다.” 〔곡曲을 ‘일상의 소소한 사안’으로 해석해도 의미가 통하는 듯하다. 홍석주가 인용한 『중용中庸』 제23장의 해당 부분은 다음과 같다. “그렇게 한 다음에야, (무위無爲가) 천하 곳곳에 이르게 된다. (무위無爲가) 천하 곳곳에 이르게 되면, (천하 곳곳이 무위無爲가) 참된 바를 가지게 할 수 있게 된다. (천하 곳곳이 무위無爲가) 참된 바를 가지게 되면, (천하 곳곳이 무위無爲가 참된) 모습을 갖추게 된다. (천하 곳곳이 무위無爲가 참된) 모습을 갖추게 되면, (천하 곳곳에서 무위無爲가) 드러나게 된다. (천하 곳곳에서 무위無爲가) 드러나게 되면, (천하 곳곳에서 무위無爲가) 밝아지게 된다. (천하 곳곳에서 무위無爲가) 밝아지게 되면, (천하 곳곳에서 무위無爲가) 일삼아지게 된다. (천하 곳곳에서 무위無爲가) 일삼아지게 되면, (천하 곳곳의 유위有爲가 무위無爲로) 달라지게 된다. (천하 곳곳의 유위有爲가 무위無爲로) 달라지게 되면, (천하 곳곳이 무위無爲와 더불어) 어우러지게 된다. 이른바, (곳곳의) 천하가 (무위無爲가 참된 바에 이르게 되면, (곳곳의 천하가 무위無爲와 더불어) 어우러지기를 잘하는 바를 일삼게 된다其次, 致曲. 曲, 能有誠. 誠, 則形. 形, 則著. 著, 則明. 明, 則動. 動, 則變. 變, 則化. 唯天下, 至誠, 爲能化”〕
枉則直, 屈小, 以伸大也.
왕즉직枉則直은 (천하 곳곳의 유위有爲가) 굽혀지고 작아지게 되면, (천하 곳곳의 무위無爲가) 펴지고 커지게 된다는 말이다.
窪, 坎也. 汙下之池, 水, 所聚也. 窪則盈, 謙之, 受益也.
와窪는 (비유컨대 천하 곳곳이 몸을 씻고 옷을 빠는 아래에 자리하는) 연못이 된다는 말이다. (비유컨대, 천하 곳곳이 몸과 옷을) 씻고 빠는 아래에 자리하는 연못이 되면, (저절로 그러하게 위에 자리하는 시내)물(水; 無爲)이 흘러들게 된다. (따라서) 와즉영窪則盈은 (천하 곳곳이 무위無爲를 자신의 위로 높이고, 자신을 무위無爲의 아래로) 낮추게 되면, (무위無爲가 저절로 그러하게 흘러들어) 더해지는 바를 받아들이게 (되고, 따라서 무위無爲가 저절로 그러하게 가득 차서 넘치게) 된다는 뜻이다.
少, 則所務者, 約. 故志壹, 而事得. 多, 則所應分於外, 而所守眩於內, 所以惑也.
(천하 곳곳의 마음이 가지는 바가 있는 유위有爲가) 적어지게 되면, (그 마음이 무위無爲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에) 힘쓰게 되고, (따라서 그 마음이 무위無爲와 더불어) 어우러지게 된다. 따라서 (그) 의지가 (무위無爲에 대해) 오롯해지게 되고, 따라서 (그) 일삼는 바가 (저절로 그러하게) 얻어지게 된다. (그러나 천하 곳곳의 마음이 가지는 바가 있는 유위有爲가) 많아지게 되면, (그 마음이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는 바와 (더불어) 어우러지게 된다. 밖(外; 有爲)에 대해. 따라서 (그 마음이 일부러 일삼아) 어두워지는 바를 지키게 된다. 안(內; 無爲)에 대해. 따라서 (그 의지가 유위有爲에게) 치우치게 된다. (따라서 그 일삼는 바가 저절로 그러하게 얻어지지 못하게 된다)
少則得以上五句, 皆功效. 唯多則惑一句, 反言其害. 推類, 而反其隅. 則求全者, 必缺, 揭直者, 必折, 滿者, 招損, 新者, 易渝, 可知矣.
(이른바) 소즉다少則得 이상의 5개의 문장은 모두 (그 천하 곳곳이 무위無爲함에 따른 이로움의) 공능功效(을 일컫는 문장)이고, 다즉혹多則惑 1개의 문장은 반대로 그 (천하 곳곳이 유위有爲함에 따른) 해로움(의 공능)을 일컫는 (문장이)다. (5개의 문장이 일컬은 이로움의 공능의) 무리를 (반대로) 미루면, 그 (1개의 문장이 일컬은 해로움의 공능의) 귀퉁이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른바, (천하 곳곳이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를 구하게 되면, 반드시 (그 반대로 무위無爲의 이로움의 공능이) 이지러지게 되고, (천하 곳곳이 유위有爲가) 곧은 바를 들어 올리게 되면, 반드시 (그 반대로 무위無爲의 이로움의 공능이) 꺾이게 되며, (천하 곳곳이 유위有爲를) 가득 채우게 되면, (그 무위無爲의 이로움의 공능이) 덜어지는 바를 불러들이게 되고, (천하 곳곳이 유위有爲를) 새로워지게 하면, (그 무위無爲의 이로움의 공능이 넘치던 바가 그 반대로 유위有爲의 해로움의 공능이) 넘치는 바로 바뀌게 됨이 알아차려지게 될 수 있다.
一者, 少之至也. 式, 法也. 言所守者, 約, 而天下, 歸之也.
(포일위천하식抱一爲天下式에서) 일(一; 하나)은 (유위有爲가) 적은 바가 지극한 바(至; 無爲·自然·德·道·命·性)이다. 식式은 법칙으로 삼는다는 말이다. (따라서 포일위천하식抱一爲天下式은) ‘(천하가 하나一를 품는 바를) 지키게 하고, (하나一를 품는 바와 더불어) 어우러지게 한다’, ‘천하가 (하나一를 품는 바) 그것으로 되돌아가게 한다’는 뜻이다.
見, 示也. 長, 久也. 或曰, 爲人長上也.
견見은 (유위有爲를) 드러내 보인다는 말이다. 장長은 (저절로 그러하게 몸이 오래 살고) 오래 보여지게 된다는 말이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주석했다. “(장長은 세상 사람들의 우두머리와 위로 일삼아지게 된다는 뜻이다.” (나는 이 주석을 따르지 않는다)
曲則全以下, 盖古語. 專言曲則全者, 擧一, 以包五也.
곡즉전曲則全 이하 (문장 5개)는 (아주 먼) 옛날(에 일컬어졌던) 말이다. 그런데 곡즉전曲則全, (이 문장) 1개를 들어 올리면, (이하 문장) 5개가 포괄된다. (이것이 이 장의 마지막 문장에서 노자가 “고지소위곡즉전자古之所謂曲則全者, 기허언재豈虛言哉. 성전이귀지誠全而歸之”라고 일컬은 까닭이다)
或曰, 老氏, 所謂枉則直者, 與陳氏, 所謂枉尺而直尋者, 有以異乎. 曰, 彼, 以邪正言, 行一, 不義而得天下者是也. 此, 以屈伸言, 屈於一人之下, 而伸於萬人之上者是也.
어떤 사람이 물었다. “노자가 (이 장에서) 일컬은 바인 ‘굽히게 되면, 펴지게 된다’는 말은 진대陳代가 (『맹자孟子』 「등문공장구하滕文公章句下」에서) 일컬은 바인 ‘1척을 굽힘으로써, 1심(尋; 8척)을 편다’는 말과 더불어, 다른 점을 가지는 것이 있는가?” (나는) 답했다. “(노자의) 저 말은 (천하의 무위無爲를) 어긋난 바(邪; 有爲)와 (천하의 유위有爲를) 바르게 하는 바(正; 無爲)에 관한 말로서, (자신의 몸은) 하나(一; 無爲·自然·德·道·命·性)를 일삼는데, 뜻하지 않게(不義; 無爲·自然), 따라서 (자신처럼, 하나一를 일삼는) 천하를 얻게 된다는 뜻이다. (진대의) 이 말은 (자신의 몸을 일부러 일삼아 타인에게) 굽히는 바와 (자신의 몸을 일부러 일삼아 타인에게) 펴는 바에 관한 말로서, (자신의 몸을) 굽힘으로써, 한 사람의 아래가 되면, (자신의 몸이) 세상 사람들의 위가 되는 바를 펴게 된다는 뜻이다.” 〔홍석주에 따르면, 노자의 “왕즉직枉則直”은 목적(결과)과 과정(방법)이 무위적無爲的이지만, 진대의 “왕척이직심枉尺而直尋”은 목적(결과)과 과정(방법)이 유위적有爲的이라는 것으로서, 상호 분별된다〕
處坎者, 以忍辱爲亨, 遇謗者, 以無辯爲白, 皆近乎枉則直者. 然聖人, 未嘗言枉也. 但曰, 尺蠖之, 屈以求伸也而已.
(비유컨대, 천하가 몸을 씻고 옷을 빠는 아래에 자리하는) 연못에 머무는 사람, (천하가) 욕되게 하는 바를 참아내는 바로써, (천하로 하여금 무위無爲에 대해) 거침없게 하고, (천하가) 비난하는 바를 맞이하는 사람, 논쟁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로써, (천하로 하여금 무위無爲에 대해) 밝아지게 하는데, 모두 (노자가 일컬은) “왕즉직枉則直”에 가까운 사람이다. 따라서 (노자와 같은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자신의 몸을 일부러 일삼아 타인에게) 굽히는 바(와 자신의 몸을 일부러 일삼아 타인에게 펴는 바)에 대해 일컬은 적이 일찍이 (한 번도) 없었다. 다만,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1척의 자벌레나 (앞으로 나아가게 하기 위해, 자신의 몸을 일부러 일삼아) 굽히는 바로써, (자신의 몸을) 편다”라고 일컬었을 따름이다. 〔1척의 “자벌레”의 예시는 자신의 몸을 일부러 일삼아 타인에게 굽히는 바로써, 자신의 몸을 일부러 일삼아 타인에게 펴는 일은 옳지 않다는 뜻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