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업의 정의 :
의도적인 행위
부처님이 가르치신 업은 의도적인 행위만을 의미
비구들이여, 의도가 업이라고 나는 말한다.
중생은 의도를 가지고
몸과 말과 마음으로 업을 짓는다
ⅱ업의 특징
1. 업의 원칙
1) 영원성 : 아라한이 될 때까지 계속 지음
과거생애도 지었고 현재생에도 짓고 있고 미래생에도 짓는다.
즉 선업과 악업을 계속 지으므로 행복과 고통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오직 아라한만이 업을 짓지 않는다.
2) 유사성
불선한 업은 불선한 업 자체와 유사한 과보를 낳는다.
불선한 업은 좋아할 만한 과보를 가져오지 않는다.
유익한 업은 유익한 업 자체와 유사한 과보를 맺는다.
유익한 업은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맺지 않는다.
즉 유익한 업이 안 좋은 과보를 가져오거나 불선한 업이 좋은 과보를 가져오는 경우는 없다.
3) 동일성
어떤 자가 행한 '행위를 구성하는' 일련의 업들은 동일함. 다른 모든 속행들이 동일하다는 것.
2. 업을 지은 때와 과보의 시기
1) 현생에 과보를 받는 업
2) 내생에 과보를 받는 업
3) 기한이 정해져 있지 않는 무기한으로 과보를 받는 업
4) 소멸된 업
2- 1 세부적 구분
1) 과거의 업
(1) 과거의 업, 과거의 과보
(2) 과거의 업, 과거의 결과없음 (과보의 성취나 실패를 통해서)
(3)과거의 업, 현재의 과보
(4)과거의 업, 현재의 과보없음
(5)과거의 업, 미래의 과보
(6)과거의 업, 미래의 과보 없음
2) 현생의 업
(1)현생의 업, 현생의 과보
(2)현생의 업, 현생의 과보 없음
(3)현재의 업, 미래의 과보
(4)현재의 업, 미래의 과보 없음
3)미래생의 업
(1)미래의 업, 미래의 과보
(2)미래의 업, 미래의 과보 없음
3. 과보를 받는 순서 : 무거운 업 -> 습관적인 업 -> 임종 가까이 지은 업 -> 이미 지은 업
1) 무거운 업
(1) 해로운 무거운 업 : 조정 불가능, 확실하게 지옥에서 태어남. 다만 6은 죽을 때까지 사견을 계속 가지고 있을 때만 적용.
① 어머니의 생명을 빼앗은 경우
② 아버지의 생명을 빼앗은 경우
③ 아라한의 생명을 빼앗은 경우
④나쁜 의도를 가지고 여래의 피를 흘리게 한 경우
⑤ 승가를 분열시키는 경우
⑥ 견고한 사견을 가지고 있는 경우 : 죽음의 순간에 업의 작용을 부정하는 사견을 가지고 있는 경우
(2)유익한 무거운 업 : 8가지 증득
①1~4 4가지 색계 선정
②5~8 4가지 무색계 선정
2) 습관적으로 지은 업
(1)해로운 습관적인 업
(2)유익한 습관적인 업
3) 임종에 다다라 지은 업
죽음 근처의 유익한 업 : 평생 망나니 일 하다가 사리불 존자에게 공양 올린 땀바다 띠까 망나니.
*특이 케이스, 아주 많은 해로운 업을 짓다가 죽음에 이르러 유익한 업을 떠올릴 수 있다고 착각하면 안됨
죽음 근처의 해로운 업: 매일 500명의 비구들에게 공양올리다 죽을 때 해로운 것을 떠올려 7일간 지옥에 간 말리까 왕비
4) 이미 지은 업
(1)10가지 악업:
①신(살생,도둑질,삿된 음행),
②구(거짓말,비방(이간질) , 험담,실없는 말),
③의(탐욕,악의,사견(업, 다시 태어남, 다른 존재의 세계 등 부정)
(2)10가지 선업:
①신(살생하지 않음, 훔치지 않음, 잘못된 성행위 하지 않음),
②구(거짓말 안함, 비방 안함, 욕설 안함, 실없는 말 안함)
③의(집착안함, 모든 존재에 대한 선의 가짐, 정견을 지님(업의 작용, 다시 태어남, 다른 존재의 세계에 대한 확신을 가짐)
4. 과보의 기능
1) 생산업: 태어나는 순간과 그 생에서 다섯 무더기(정신-물질)들을 생산하는 기능을 한다
2) 강화업(돕는 업): 자기 스스로 결과를 만들어 내지는 않지만 생산업의 결과를 돕는 기능. 해로운 업은 해로운 업 강화, 유익한 업은 유익한 업 강화.
3) 방해업: 좌절하고 방해하는 기능. 다른 업의 과보를 좌절시킴. 해로운 업은 유익한 업 방해, 유익한 업은 해로운 업 방해
-예) 유익한 업을 지어 인간으로 태어났으나 방해업으로 선천적 질병 가지고 태어남.
4) 파괴업: 해롭거나 유익한 업을 파괴시킴
(1) 미약한 업 파괴
(2) 보다 힘이 약한 업 파괴. 그리고 다른 업들이 과보 만드는 것 허용
(3) 보다 약한 업 파괴. 그리고 자신의 과보를 만듦
4. 성취와 실패
4-1 4가지 성취
1) 태어날 곳의 성취 : 행복한 곳에 태어난다. 천신이나 인간의 세계
2) 외모의 성취: 잘생기고 매력적이며 건강한 신체를 갖는다.
3)시기의 성취: 훌륭한 통치자와 이웃들이 있는 곳에 태어난다.
4)수단의 성취: 몸과 입과 마음이라는 바른 수단을 통해 유익한 행위를 성취 (살생하지 않음(친절하고 자비), 훔치지 않음, 삿된 음행 안함, 음주 안ㅇ함, 거짓말 안함, 비방안함, 공손하게 말함, 아첨 안함, 탐욕 없음, 악의 없고 바른 정견 지님)
4-2 4가지 실패
1) 태어날 곳의 실패 : 지옥, 아귀, 축생, 악마의 세계에 태어남
2) 외모의 실패: 매력적이지 않음 외모, 신체 불구자로 태어남
3) 시기의 실패 : 나쁜 통치자와 나쁜 이웃이 있는 곳, 시기적으로 나쁜 시기에 태어나는 것
4) 수단의 실패: 몸,말,마음으로 해로운 행위를 짓는 것: 위의 수단의 성취의 반대
4-3 성취와 실패의 작용
1) 성취
(1) 무력화 : 성취가 해로운 업 무력화
① 태어날 곳을 성취하면 해로운 업은 무력화
② 외모의 성취가 해로운 업을 무력화
③ 시기의 성취가 해로운 업을 무력화
④ 수단의 성취가 해로운 업을 무력화
*수단의 성취는 행복만을 만듦
(1) 힘을 줌: 성취는 유익한 업에게 힘을 줌
①태어날 곳의 성취는 유익한 업에게 힘을 줌
②외모의 성취가 유익한 업들에게 힘을 줌
③시기의 성취는 유익한 업에게 힘을 줌
④수단의 성취가 유익한 업들에게 힘을 줌
2) 실패
(1) 해로운 업 움직임: 해로운 업 움직이게 함
① 태어날 곳의 실패가 해로운 업들을 움직이게 함
② 외모의 실패가 해로운 업을 작동시킴
③ 시기의 실패가 해로운 업을 움직이게 함
④ 수단의 실패가 해로운 업을 움직이게 함
(1) 선업 무력화
① 태어날 곳의 실패가 유익한 업들을 무력화
② 외모의 실패가 유익한 업들을 무력화
③ 시기의 실패가 유익한 업들을 무력화
④ 수단의 실패가 유익한 업들을 무력화
============================================================
파욱 사야도가 쓰신 <업과 과보의 법칙: 원제 The working of Kamma >의 특정 부분을 간단히 정리만 했습니다.
첫댓글 사두사두사두
사두 사두 사-두
사두 사두 사두 _()()()_
사두 사두 사두
사두 사두 사~두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