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 1100도로
❍ 일시 : 2018. 1. 29. 13:00.
❍ 어데서 : 제주 1100도로
❍ 누구랑 : 막역지우(莫逆之友) 3820친구그리고가족
❍ 코스
용머리해변→한라산자연휴양림→1100도로 →제주공항☆ 제주1100 도로총 35.09㎞에 이르며, 제주시 구간은 14.2㎞, 서귀포시 구간은 15.99㎞, 구 북제주군 구간은 4.90㎞이다. 중용 구간은 1,550m로 오라 로타리에서 신제주 제성 마을 사이에 있는 도로를 말한다.도로의 시초는 일제 강점기에 일본군 이 제주도 일대를 전초기지로 삼으면서 건설된 것이다. 당시 제주도에는 약 20만명의 일본군이 제주도에 주둔하게 되었는데 물을 구하기 힘든 제주도 특성상 물이 있는 곳을 중심으로 도로가 건설되었다어승생 수원과 어승생봉을 중심으로 하여 마치 띠를 두르듯이 도로가 처음건설되었으며 이렇게 건설된 도로는 하찌마끼(일본어: 鉢巻き, 머리띠)도로 라고 불렸다서쪽 끝은 노루봉 뒤 영실 분기점인 법정악에서부터 시작해 영실, 한밝교, 수악교 상류, 논고악, 성판악,수장악, 관음사를 거쳐 동쪽 끝이 천왕사까지 이어졌다1968년 대한민국 정부가 폭력배를 대량으로 소탕하면서 이들을 교화시킬 목적으로 각종 공사현장에 노역을 보냈는데, 이 때 약 500명의인원이 국토건설단이라는 이름으로 배치되어 어승생저수지 북쪽에 천막을 친 후 격리 수용되어 도로 건설에 투입되었다. 당시 제주도지사였던 구자춘은 직접 한라산 밀림속을 수십 회 오가며 노선을 정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시작된 도로 공사는 해발 1,100m까지 이어지는 경사를 완만하게 다지는 등 난공사였기 때문에 착공된지 약 6년만인 1973년에 완공되었다. 도로 공사가 한창 진행중이던 1969년 4월 30일에 이 도로는 국도 제99호선으로 지정되었다. 이후 1974년 6월 유료도로로 지정되어 통행료를 징수했으며 1982년 12월 31일까지 받았다. 2008년 11월 17일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251조 제3항에 의해 국도 제99호선이 폐지되었으며, 지방도 제1139호선으로 격하되었다.오늘 함평골프고교동창 그리고 가족들과 2박3일 제주여행 마지막 날로 이도로를 넘다
출처: 백두대간의 1장3막 원문보기 글쓴이: 이규윤